• Title/Summary/Keyword: 토목 시설물

Search Result 30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asurement of real-scale tractive force using advanced shear plate (고성능 전단평판을 이용한 실규모 소류력 측정에 관한 연구)

  • Jung, Dong Gyu;Kim, Kwang Soo;Kim, Young Do;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4-14
    • /
    • 2021
  • 개수로에서는 반드시 자유수면이 있으며, 따라서 물과 공기와의 마찰은 관수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고, 개수로의 전단응력 분포는 관수로와 달리 근본적으로 비대칭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수로 바닥이나 측면에서만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평균 전단응력 개념은 흐름에 의해 경계면 구성재료가 이동하는 이동상 수리학에서 유사이송 능력을 해석하는 기준이 되며, 경계면의 전단응력은 힘으로 표시하여 통상 소류력이라 한다. 이러한 복잡한 유체거동은 하천시설물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있어서 구성재료의 보호능력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조건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국내 하천의 경우 한계유속과 한계소류력에 의해 하천설계에 적용되고 있다. 한계 유속의 경우 간단한 수식에 의해 산정될 수 있지만 실제 하천의 보호능력을 대표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한계소류력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한계소류력은 개수로 흐름에서 복잡하게 발생하는 이차류나, 난류 특성에 의해 산정하거나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한계 소류력 뿐만 아니라 하천을 구성하는 재질의 조도계수 역시 균일하지 못하고 매우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는 수리학적 요소에 대해 표준화된 실험수로에서 실험을 통해 평가하고, 체계화된 설계 지침이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천과 유사한 조건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수로와 경사의 영향에서 자유롭게 평가를 진행하고자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류력 측정장치를 이용하였다. 하천의 설계나 평가에 적용되는 평균 소류력 개념은 복잡한 난류흐름에서 평가지표로써 대표하기 힘들기 때문에 유사 하천환경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소류력을 직접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장치는 난류유속 u', v'을 이용하여 Reynolds stress산정하여 Total shear stress를 추정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Bedform Celerity Estimation using Acoustic sequence map (연속 초음파 영상을 활용한 하상 이동속도 산정 기술 개발)

  • You, Ho Jun;Muste, Maria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0-230
    • /
    • 2021
  • 하상변동은 하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하천 내 시설물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이다. 특히, 최근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하상변동 측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하상변동 측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하상변동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경험식 및 모델링과 실측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험식 및 모델링에 의한 방법은 대상 하천과 환경 조건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며, 실측에 의한 방법은 계측기기를 활용한 지점 단위의 측정에 의존하고 있다. 쉽게 말해 기존의 하상변동 측정은 높은 불확실성 보이며, 많은 인력과 비용, 그리고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상변동 측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상의 움직임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AMV(Acoustic Mapping Velocimetry)를 도입하였다. AMV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음향 측심기에서 얻은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하상의 움직임과 특성을 파악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연구는 AMV의 일환으로, MBES로 측정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상의 움직임을 조사하기 위해 AMV를 적용한 실증적 연구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술은, 1) ADCP, MBES를 통해 측정된 수심 정보를 초음파 하상 영상을 변환, 2) 연속 초음파 영상에 LSPIV와 같은 영상 유속계 기술을 도입하여 하상 이동속도를 산정, 3) 연속 초음파 영상에서 하상의 평균하상고, 파장 등의 특성을 파악, 4) Exner 방정식을 활용한 하상변동량 산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은 사용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낮은 불확실성을 가지며, 비교적 적은 인력과 비용, 시간이 소요되는 경제성을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측정된 초음파 영상을 활용한 많큼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국내 하상변동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the Probable Wave Height considering Storm Surge in the Ocean near the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 인근 바다에서 폭풍해일을 고려한 가능 최대 파고 높이 추정)

  • Kim, Beom-Jin;Kim, Minkyu;Hahm, Daegi;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1-211
    • /
    • 2021
  •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에 내습하는 태풍에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0년도 8월 26일 태풍 '바비', 9월 2일 태풍 '마이삭', 9월 7일 태풍 '하이선'은 일주일 내의 간격으로 한반도를 내습하였다.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 중에서 마이삭과 하이선은 동쪽 해역을 지나가면서 강풍과 많은 강우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특정 원전은 자동 가동중지가 발생되는 사태를 야기 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 해역에서 폭풍해일에 의한 가능최대파고 높이를 추정함으로써 발전소 안전성에 대한 검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2019 전국 심해 설계파 산출 보고서'를 바탕으로 원전 인근 해역 심해 설계파 지점에 대해 파고, 주기, 해상풍과 같은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100년부터 1000만년까지의 변수들을 예측하였다. 두 번째로 해도자료를 바탕으로 GIS를 통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형자료를 바탕으로 SWAN 모델의 기초자료를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추정된 변수들과 구축된 지형자료를 바탕으로 100년부터 1000만년까지의 시나리오별 SWAN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원전 인근 해역에 대한 가능 최대 파고 높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원전인근 해역에서의 평균적인 파고 높이에 대한 재해도 곡선을 추정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확률론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재해도 곡선 추정 과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EurOtop을 적용하여 파고 높이에 따른 원전부지의 Overtopping을 추정하고, 최종적으로 폭풍해일에 의한 원전부지의 2차원 침수해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홍수 방지 및 예방과 관련한 홍수저감 활동과 관련된 통제실 외부 시설물에 대한 수동 조작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 PDF

Analysis of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spatiotemporal analysis of solar rad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GK2A (천리안2위성을 활용한 한반도 일사량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태양광 발전 효율 분석)

  • Hwang, Seunghyun;Baik, Jongjin;Kim, Hyeonjoon;Byun, Jongyun;Cha, Hoyoung;Jun,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7-457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면서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 중립 대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34년까지 총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25.8%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은 비교적 광범위한 부지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환경 및 지형적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만큼 발전 시설 부지 선정 및 운용 계획을 위한 면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활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지상 관측 일사량 및 일조량 데이터는 상당히 제한적이며 관측 밀도가 조밀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위성의 후속으로 발사된 천리안2위성의 산출물인 일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반도 영역에서의 일사량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토지 피복 유형에 따른 태양광 발전의 효율 정도를 분석·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계측 지역 및 미계측 지역에서의 시공간적인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을 위한 관련 시설물들의 최적 설치 위치 및 규모 등에 대한 설계 기준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Database Setup for River Infrastructure Maintenance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 Kim, Kyoung-Min;Jung, Jae-Hoon;Lee, Tae-Hoon;Kim, Tae-Jeong;Lee, Se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1-371
    • /
    • 2022
  •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은 하천정보의 표준화 및 전산화를 통한 정보제공과 하천에 관련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5개의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하천대장 및 부도, 구조물도 등의 다양한 하천 관련 정보를 정보화하여 인허가 및 하천기본계획 등의 하천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생애주기 관점에서 관리하고 소요재원의 확보근거를 마련하고자 "지속 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최근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안전관리원에서는 도로·철도·철도 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관리를 위해서 기반터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 기반시설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뤄진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달리 유지관리 측면에 대한 필요한 보수 주기, 필요 예산 등과 같은 정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천과 기반시설의 코드를 연결하는 작업들은 현재 상황에서는 미흡한 실정이고, 유지관리와 시설물의 노후화를 가속화하는 홍수와 침수피해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해 하천, 제방, 인명에 대한 위험지수를 고려한 잠재 인명피해 위험도와 잠재 홍수피해 위험도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이를 포함시킨 투자우선순위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감가상각과 위험요소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tecting Greenhouses from the Planetscope Satellite Imagery Using the YOLO Algorithm (YOLO 알고리즘을 활용한 Planetscope 위성영상 기반 비닐하우스 탐지)

  • Seongsu KIM;Youn-In CHUNG;Yun-Jae CH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4
    • /
    • pp.27-39
    • /
    • 2023
  • Detecting greenhouses from the remote sensing datasets is useful in identifying the illegal agricultural facilities and predicting the agricultural output of the greenhouses. This research proposed a methodology for automatically detecting greenhouses from a given Planetscope satellite imagery acquired in the areas of Gimje City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ique through a series of steps. First, multiple training images with a fixed size that contain the greenhouse features were generated from the five training Planetscope satellite imagery. Next, the YOLO(You Only Look Once) model was trained using the generated training images. Finally, the greenhouse features were detected from the input Planetscope satellite imag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76.4% of the greenhouse features were detected from the input Planetscope satellite imagery by using the trained YOLO model. In future research,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with a spatial resolution less than 1m should be used to detect more greenhouse features.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on Streamflow Simulation Using Semi-distributed Hydrologic Model (준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가 안성천 유역의 유출모의에 미치는 영향 평가)

  • Kim, Bo Kyung;Kim, Byung Sik;Kwon, Hyun H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B
    • /
    • pp.11-22
    • /
    • 2009
  • Long-term rainfall-runoff modeling is a key element in the Earth's hydrological cycle, and associated with many different aspects such as dam design, drought management, river management flow, reservoir management for water supply, water right permission or coordinate, water quality prediction. In this regard, hydrologists have used the hydrologic models for design criteria, water resources assessment, planning and management as a main tool. Most of rainfall-runoff studies, however, were not carefully performed in terms of considering reservoir effects. In particular, the downstream where is severely affected by reservoir was poorly dealt in modeling rainfall-runoff process. Moreover, the effects can considerably affect overall the rainfallrunoff process. An objective of this study, thus,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reservoir operation on rainfall-runoff process. The proposed approach is applied to Anseong watershed, where is in a mixed rural/urban setting of the area and in Korea, and has been experienced by flood damage due to heavy rainfall. It has been greatly paid attention to the agricultural reservoirs in terms of flood protection in Korea. To further investigate the reservoir effects, a comprehensive assessment for the results are discussed. Results of simulations that included reservoir in the model showed the effect of storage appeared in spring and autumn when rainfall was not concentrated. In periods of heavy rainfall, however, downstream runoff increased in simulations that do not consider reservoir factor. Flow duration curve showed that changes in streamflow depending up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servoir factor were particularly noticeable in ninety-five day flow and low flow.

An Analysis of the Uncertainty Factors for the Life Cycle Cost of Light Railroad Transit (경량전철 교량 LCC분석을 위한 불확실성 인자 분석)

  • Won, Seo-Kyung;Lee, Du-Heon;Kim, Kyoon-Tai;Kim, Hyun-Bae;Jun, Jin-Taek;Han, Ch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396-400
    • /
    • 2007
  • Various ways of automated guideway transit construction are being planned recently owing to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municipalities as well as increasing investment from the private sector. Particularly, the increase in the private investment is increasing greatly in SOC (Social Overhead Cost). This trend of promoting private sector investment must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a thorough analysis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 from the government and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private sector. In other words, an accurate cost analysis of initial investment cost (Construction cost), maintenance/repair cost, profit making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cerned facilities, cost of dissolution, etc. in terms of the life cycle is very much in need. Nevertheless, the analysis of uncertainty factors and its probabilistic theory are in need of development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construction project. First of all, the actual studies on maintenance/repair cost of automated guideway transit are scarce as of yet, prohibiting an accurate computation of the cost and its economic analysi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uncertainty analysis of the economic feasibility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mong automated guideway transit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the rapidly increasing investment on such structures from the private sector. For this research purpose, a cos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automated guideway transit is proposed, first of all, and the data On the cost cycle of the civil structure facilities and their unit cost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n, the uncertainty in the cost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LCC.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us with almost no. studies on maintenance/repair of such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cost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will greatly enhance LCC analysis and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for automated guideway transit projects in the future.

  • PDF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Principles by the Type Outside Relics (발굴유적 외부공간의 유형별 경관계획 및 조경시공 원칙 연구)

  • Shin, Hyun-S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58-6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pecific standards for landscape planning and construction applicable to landscaping areas in various historical si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historical sit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reservation status and processing techniques,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ir status is divided into those that have been buried underground, such as those that have been exposed to the ground, such as buildings and structures, and those that have a reputation or a record of the site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wartime processing technique was classified by such techniques as closures that isolate the site, penetration that can be seen on the site, and overlays where a separate protection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site. Second, the principles of landscape planning for display of historical sites are divided into the items that make up the historical site, surface treatment of the sites, tree planting, and installation of facilities. If the site is not a circular space, the area separating the space by different materials between the components is required. In the event that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site is required, it is deemed desirable to use the soil, and to do so, the use of grasses and shrubs is effectively considered to be effective. The introduction of plants and plant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pace. Depending on the area and nature of the monument, the facility is required to take a cautious approach by reviewing its influence on the landscape and the additional excavation of the monument. Third, the readjustment method derive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landscaping principle in the historical site space was classified as conservation of status, installation of protection facilities, burial, restoration, relocation, and reproduction. Preservation of the status quo is essential for limited landscape planning and should not affect the prototype of existing relics. The protection facility shall be installed where necessary to protect the relics, and when the soil is formed, the surface treatment shall be required to remove trees that could damage the site and prevent soil and soil oil from being lost after the site. The restoration shall establish a landscaping plan according to the circular preservation based on the clues to the circle. The transfer requires a landscaping plan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outer space of an existing site and should be able to highlight the value or location of the original site. The reenactment should have a landscaping plan to revive the landscape and atmosphere of the past for the now-defunct remains. Fourth, landscaping can simultaneously satisfy the preservation of excavation sites and the increase in exhibition effects. In order to protect the traces of the past and vitalize the site of the ruins today, specific measures are required, the creation of a park for historical sites that preserve the functions and value of the relics, and the formation of a shape of linked contents can be suggested as alternatives.

Landscape Object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System for Standardizing Landscape BIM Library (조경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를 위한 조경객체 및 속성정보 분류체계)

  • Kim, Bo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2
    • /
    • pp.103-119
    • /
    • 2023
  •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decided to apply the policy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the entire construction industry, it has experienced a positive trend in adoption and utilization. BIM can reduce workloads by building model objects into libraries that conform to standards and enable consistent quality, data integrity, and compatibility. In the domestic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the overseas landscape architecture sectors, many BIM library standardiz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m. Currently, basic research and attempts to introduce BIM are being mad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but the diffusion has been delayed due to difficulties in application. This can be addressed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IM work using standardized librar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and present a classification system for objects and attribute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creating landscape libraries in practice. The standardization of landscape BIM library was explored from two directions: object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items. First, the Korean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product inventory classification system,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standards, and BIM object classification of the NLA (Norwegian Associ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were referred to classify landscape objects. As a result, the objects were divided into 12 subcategories, including 'trees', 'shrubs', 'ground cover and others', 'outdoor installation', 'outdoor lighting facility', 'stairs and ramp', 'outdoor wall', 'outdoor structure', 'pavement', 'curb', 'irrigation', and 'drainage' under five major categories: 'landscape plant', 'landscape facility', 'landscape structure', 'landscape pavement', and 'irrigation and drainage'. Next,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objects was extracted and structured. To do this, the common attribute information items of the KBIMS (Korean BIM Standard) were included, and the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items that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s were included by referring to the PDT (Product Data Template) of the LI (UK Landscape Institute). As a result, the common attributes included information on 'identification', 'distribution', 'classification', and 'manufacture and supply' information, while the object attributes included information on 'naming', 'specifications', 'installation or construction', 'performance', 'sustainability', and 'operations and mainten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BIM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library objects, which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modeling tasks and improve the data consistency of BIM models across various disciplin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