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테이크 아웃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나를 도와주는 분리수거 로봇팔 (A Robot helps us recycling)

  • 박건희;모선양;이지호;최예송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6-919
    • /
    • 2020
  • 이 로봇팔은 테이크 아웃 컵을 플라스틱, 종이, 내용물로 나누어 자동으로 분리수거 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컵 뿐만아니라 플라스틱, 종이, 캔으로 된 컵들도 분리수가 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 소비자 만족, 그리고 소비행태와의 영향관계: 전국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김효진;김현주;이상묵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5-33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요인 중, 물리적 환경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소비자 만족이 증가함에 따라 커피 소비행태가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5개의 요인 중 4개의 요인(소품 요인, 시각 및 청각 요인, 온도 및 냄새 요인, 바닥 및 외관 요인)이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소품, 시각 및 청각, 온도 및 냄새 요인은 소비자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바닥 및 외관 요인은 소비자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비자 만족은 커피 소비행태로부터 추출된 3개의 요인(의도 요인, 테이크 아웃 요인, 지출 요인)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독립변수로서 소비자 만족이 테이크 아웃 요인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 2개의 요인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비자 만족의 증가는 커피 전문점의 방문 빈도, 지출비용, 그리고 체재 시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연구의 흥미로운 결과인 소비자 만족과 테이크 아웃 요인 사이의 부정적인 인과관계로부터 소비자 만족의 감소가 테이크 아웃 요인을 증가시킨다는 단언보다는 연구자들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종단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애니메이션 <나타요해>에서의 롱 테이크 장면 연구 : 감정반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Long-take in Animation : Focused on Emotional Responses)

  • 우잉;장욱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6-137
    • /
    • 2022
  • 우수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생명력과 매력은 관객에게 제공되는 미학적, 정서적 공감대 형성과 장면의 구도, 그 중에서도 어떻게 롱 테이크샷을 유연하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이를 통해 애니메이션과 관객 사이에 진정한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의 정적 레이아웃과 동적 레이아웃의 화면 특징 및 차이점을 연구하고, 관객이 애니메이션을 관람한 후에 느끼는 감정에 대해 연구한 감정반응 이론의 다양한 사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편 애니메이션 '나타요해'의 장면 분석과 함께 애니메이션을 감상한 관객이 만들어내는 감정의 변화를 살펴본다. 논문의 말미에는 애니메이션에서 롱 테이크와 애니메이션 제작자 간 정서적 체험 관계와 애니메이션 롱 테이크가 어떻게 관객의 미적 감각과 감정 체험을 자극하는지 정리했다. 이를 통해 제작자들이 향후 애니메이션 연구에 참고가 되어 관객에게 양질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희망기류 속, 식품자판기 시장 뜰 수 있을까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벤딩인더스트리
    • /
    • 제1권3호통권3호
    • /
    • pp.35-47
    • /
    • 2001
  • 그동안 자판산업의 가장 큰 좌절을 안긴 분야는 음료분야를 제외한 일반식품자판기 분야이다. 이 시장을 엘도라도를 보고 그간 숱한 도전들이 이어졌으나 제대로 성공적인 시장 장착을 한 분야는 극히 드물다. 많은 제품들이 아이템의 독창성과 뛰어난 제품성능으로 무장하고 의욕적인 사업전개에 나섰으나 필드의 반응은 기대와는 달리 냉담하기 그지없던 경우가 대부분 이었던 건. 이에 `식품자판기는 한계가 있다`, `해도 안되는 분야다`라는 낙담과 무기력함이 얼마 전까지만 해도 무겁게 산업계를 짓 눌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새롭게 시도되는 식품자판기 시장의 도전들이 기대이상으로 선전하고 있어 이 시장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이게 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외식문화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테이크 아웃 열풍이 불고 있어 이의 새로운 틈새시장이 될 수 있는 식품자판기 시장의 존재가치도 과거와는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그렇다면 식품자판기 시장이 테이크 아웃으로 대표되는 변화 양상과 맞물려 시장발전의 큰 호기를 맞을 수 있을까. 금호 기획특집에서는 새로운 희망기류 속에 활발한 도전들이 이어지고 있는 식품자판기 시장 현황과 지속 발전방안을 심층 진단해 봤다.

  • PDF

여성의 결혼여부에 따른 식품소비양상 연구 : 2015년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식품주 구입자 자료를 이용하여 (Food consumption behaviors of women by marital status: focus on the 2015 consumers survey data on food consumption behaviors)

  • 김은경;주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68-176
    • /
    • 2018
  • 본 연구는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결혼여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식료품 구입행태, 외식행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행태, 그리고 가공식품 및 조리식품 구입행태를 조사하였다. 식료품 구입 빈도에서는 미혼인 경우는 주 1회 (40.5%), 기혼인 경우는 주 2~3회 (4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친환경 식품의 구매여부는 결혼여부와 관계없이 구매하지 않는 비율이 60%이상 (미혼 68.2%, 기혼 61.6%)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능성 식품의 복용률은 기혼여성 (54.2%)이 미혼여성 (44.9%)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혼여부에 따른 외식행태는 미혼인 경우가 기혼인 여성보다는 외식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미혼인 경우는 한식당, 기혼은 고깃집을 외식장소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달 및 테이크아웃의 소비행태에서는 기혼인 경우가 월 2회 (34.6%), 미혼은 월 1회 (31.2%)가 각각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달 및 테이크아웃의 빈도는 외식횟수와는 달리 기혼인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결혼여부에 따른 가공식품의 구입행태에서도 미혼여성이 기혼여성에 비교하여 대표적인 가공식품인 빵류, 과자류, 떡류 및 라면, 국수류의 구매 빈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결혼 여부에 따른 식품소비 행태인 식품 구매, 외식, 배달/테이크아웃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관련 연구와 산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배달·테이크아웃 식품소비행태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Delivery and Take-out Food Consumption According to Household Type)

  • 김지훈;임성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27-334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의 1인 가구 증가와 식품의 비대면 구매 증가 현상 속에서 7차 식품소비행태조사(2019)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차이가 나는 원인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1인가구의 인구 특성별 요인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식품 이용 빈도가 배달·테이크아웃의 지출액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한 후 다인가구와 비교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소득이 증가할수록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지출액이 높았다. 둘째, 1인가구의 여성일수록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높았으며, 다인가구의 여성은 상대적으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특정 연령에 따른 지출비용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빈도가 증가할수록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인 가구에서 주 4회 이상 배달 및 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지출비용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2020년 음식료 배달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전국 17개 시·도 중 12곳에서 전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보편적인 서비스산업으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식품산업이 식문화 트렌드 변화와 인구구조 변화에 부합하도록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셀프(Self) 커피전문점의 공간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 구미지역 셀프 커피전문점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elf coffee shop - Per Busan, Gumi area Self Coffee Shop instance investigation in center -)

  • 공지연;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3-98
    • /
    • 2007
  • As coffee's taste and scent are emphasized, and interior atmosphere has changed along with sale of brand's own products, there are also epochal trend changes in interior. So, changes within the space should be focused onto open type self coffee shop, a new cultural space distinguishable from existing coffee sho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by performing customer-centered, spat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search on 5 take-out coffee shops opened after 2005 that are practicing self service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s. In this study, it w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that location of the entrance, kitchen, and condiment bar, area per person, size and positioning of furniture, area of windows and doors, etc have strong influences for self service which customers themselves carry their food. Therefore, in planning the interior of self coffee ship in the future, presentation of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space based on this analysis will be required.

  • PDF

블록체인을 활용한 카페 이용시간 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of Cafe Staying Time)

  • 박재훈;권혁동;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946-954
    • /
    • 2021
  • COVID-19 바이러스가 발생한 이래로 방역수칙에 관한 다양한 단계가 제정되었다. 1~3단계 중 2.5단계의 경우 카페 매장 내 취식은 불가하며 오직 테이크 아웃만이 허용되었으나, 최근 정부에서 조치사항을 변경하여 매장 내에서의 취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취식 가능 시간은 1시간으로 권고하였으나, 대형 매장을 제외하고서는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마저도 수기 위주로 관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IBM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레임워크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통해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향후 COVID-19에 대한 더 확실한 방역을 기대한다. 또한, 향후 이 시스템을 백엔드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으로의 개발 또한 진행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