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테스토스테론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면양에서 생리적 분비형태의 테스토스테론이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physiological pattern of testosterone on luteinizing hormone secretion in sheep)

  • 임태진;박경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1-278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거세한 숫양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생리적인 주기적 분비형태가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개의 서로 다른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정상적인 숫양에서 관찰되는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방식과 동일한 분비형태를 인위적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테스토스테론의 주입비율과 분비형태를 얻기 위하여 3가지 다른 양(25, 50 그리고 $100{\mu}g$)의 테스토스테론을 정맥에 주입시켜 테스토스테론의 약리동력학을 분석한 결과, 테스토스테론의 평균 제거율상수, 분포용적, 그리고 총 체청소율은 각각 $0.18min^{-1}$, 0.531/kg, 그리고 0.091/min/kg 이었다. 실험 2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의 처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테스토스테론의 황체형성호르몬 평균 농도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3가지 다른 분비율(192, 384 그리고 $768{\mu}g/kg/24h$)의 테스토스테론을 주기적으로(4시간 간격) 3일 동안 정맥에 주입시킨 결과, 테스토스테론의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혈액 내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농도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테스토스테론을 2일 또는 3일간 처리하였을 때는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하기 전에 비해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농도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의 1일간 처리는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실험 3에서는 두 가지 다른 분비 형태(지속적 분비 형태와 주기적 분비 형태)의 테스토스테론의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지속적 분비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을 3일간 지속적으로($32{\mu}g/kg/h$) 정맥 주입시켰고, 주기적 분비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을 4시간 간격으로 3일간 주기적으로($128{\mu}g/kg/h$) 정맥 주입시켰다. 지속적 방법과 주기적 방법 간에 동일한 양($768{\mu}g/kg/h$)의 테스토스테론이 주입되었다. 혈액은 테스토스테론의 정맥 주입전 4시간 동안과 3일간 정맥 주입 기간 중 마지막 4시간 동안 각각 10분 간격으로 경정맥에서 채취하였고, 황체형성호르몬과 주입된 테스토스테론의 혈액 내 농도는 각각의 방사성면역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황체형성호르몬의 펄스 간격(p<0.034)과 황체형성호르몬의 평균 분비량은(p<0.045) 주지적 방법 보다 지속적 방법의 테스토스테론의 주입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황체형성호르몬의 펄스 분비량은 주기적 방법과 지속적 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숫양에서 지속적 방법의 테스토스테론이 주기적 방법의 테스토스테론의 보다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보다 더 효과적임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 PDF

테스토스테론 물질 검출을 위한 in vitro TCD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an In Vitro TCD (Testosterone Compound Detection) System)

  • 이동근;조정권;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59-1163
    • /
    • 2019
  • 남성호르몬 감소와 관련된 남성갱년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남성호르몬의 정량을 위해 항체를 이용하는 고가의 kit가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전사 활성 시험법을 이용하여 남성 스테로이드호르몬의 활성 혹은 농도를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테스토스테론-AR (androgen receptor) 복합체와 반응하는 ARE-AdE1bTATA 염기서열이 삽입되고 리포터로 luciferase를 발현하는 테스토스테론 유사활성 검증 리포터 플라스미드인 pGL2-Neo-ARE-AdE1BTATA를 제조하고, 인체 전립선암 세포인 LNcap-LN3 세포에 stable transfection을 실시하였다. 구축된 LNcap-LN3/pGL2-Neo-ARE-AdE1BTATA TCD (testosterone compound detection) 시스템은 표준물질인 테스토스테론의 $10^{-13}{\sim}10^{-8}M$ 범위에서 농도 증가에 비례하는 정량성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확립된 in vitro TCD 시스템을 이용하면 천연물 유래 테스토스테론 유사물질 및 테스토스테론 저하물질의 대량 탐색 등이 가능할 것이므로,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 신소재의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In vitro 검출 시스템을 이용한 한약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남성호르몬 유사활성 검출 (Detection of Testosterone-like Activities of Hydrothermal and Ethanol Extracts of Oriental Medicines Using an in Vitro Detection System)

  • 이동근;조정권;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50-5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내 TCD (테스토스테론 화합물 검출) 시스템으로 8개 한약재의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검색하는 것이었다. 녹각상, 백수오, 야관문, 홍삼, 토령, 민들레, 남가세, 호로파의 열수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을 5, 50, 500 ㎍/ml의 농도로 in vitro TCD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은 일반적으로 농도에 비례하였고, 음성대조군보다 0.9 내지 5.0 배 더 높았다. 호로파와 야관문은 동일한 농도에서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민들레와 홍삼이 그 뒤를 이었다. 토령과 남가세는 낮은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녹각상과 백수오는 매우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 5α-DHT의 활성과 비교하면, 호로파 및 야관문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500 ㎍/ml에서 10-8 M 5α-DHT보다 높은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나타냈다. 열수 추출물은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낮은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보였고, 농도에 따른 활성의 증가도 에탄올 추출물보다 낮았다. 호로파, 야관문 및 민들레 등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관련 유전자의 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필요한 건강 기능성 식품 재료 또는 의약 재료를 개발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호로파와 야관문 복합추출물이 과산화수소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진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ixture of fenugreek seeds and Lespedeza cuneata extracts on testosterone synthesis in TM3 cells oxidative stressed with H2O2)

  • 이경수;이은경;서윤희;최수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05-311
    • /
    • 2016
  • 본 연구는 야관문과 호로파 복합추출물인 YHM이 과산화수소($H_2O_2$)로 산화적스트레스를 가한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세포독성 시험을 수행하여 YHM의 경우 $40{\mu}g/mL$을 최고 농도로 중농도 $20{\mu}g/mL$, 저농도 $10{\mu}g/mL$ 처리군을 설정하였고, TM3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서는, serum free 배지에 $50{\mu}M$의 과산화수소를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진 TM3 세포에 YHM 시료를 처리하여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을 때 모든 농도 처리군에서 세포증식이나 독성이 없었다. 테스토스테론은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였다가 YHM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control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control 보다 더 증가하였다. 또한 시료에 의한 테스토스테론 양의 증가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 합성 및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발현량을 ELISA와 Real-time PCR을 통해 알아보았다. 테스토스테론 합성에 관여하는 $3{\beta}$-HSD4와 17,20-desmorase는 과산화수소 처리 시 감소하였다가, YHM을 처리하였을 때는 control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테스토스테론을 estradiol 및 dihydrotestosterone로 변환시키는 aromatase와 $5{\alpha}$-reductase2는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였다가 YHM 시료를 처리하면 control 수준이나 그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로 보았을 때 YHM 시료는 TM3 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 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된 테스토스테론 합성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증가되는 테스토스테론 분해 효소의 발현은 감소시켜, 결국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저하된 테스토스테론의 양을 회복시키거나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스테로이드 성호르몬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on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 김혜림;이기호;최인호;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93-598
    • /
    • 2007
  • 본 연구는 스테로이드 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및 노르테스토스테론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지방전구세포는 갓난 암퇘지의 등지방조직을 떼어내어 coll- agenase를 처리해서 분리해서 배양했다. 세포 배양중에 10-8M과 10-7M의 스테로이드 성호르몬을 처리했다. 세포배양 전기에 스테로이드 성호르몬을 처리했을 때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나 증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세포배양 후기에 처리했을 때는 테스토스테론과 노르테스토스테론이 세포분화를 촉진시켰다.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심장 질환자의 무명지 길이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ing Finger Length Analysis of Heart Diseases Patient's by the Testosterone)

  • 김봉현;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B호
    • /
    • pp.841-847
    • /
    • 2011
  • 테스토스테론은 심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남성 호르몬으로 적당량이 분비되면 건강하지만 너무 적게 분비되면 신체기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량이 정상 수치보다 적게 되면 동맥경화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심장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무명지 길이에 영향을 주며 분비량에 따라 무명지 길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심장 질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피실험자 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의 무명지 길이와 검지 길이를 측정하여 상호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무명지의 길이와 심장 질환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공영(Taraxacum coreanum) 추출물에 의한 산화 질소 및 dihydrotestosterone 증가 효과 (Effect of increasing nitric oxide and dihydrotestosterone by Taraxacum coreanum extract)

  • 모상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305-313
    • /
    • 2019
  • 남성의 클라이맥스 증후군, 남성갱년기, 또는 테스토스테론 결핍 증후군은 고령화시대 남성노인들의 건강에 새로운 문제 중 하나이다. 이 현상은 나이가 들수록 남성에게서 나타나는 자연현상으로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감소와 신체적 및 정신적 활동의 현저한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면체내 일산화질소(NO)와 혈액 내 남성호르몬의 수준을 비교하여 포공영(Taraxacum coreanum) 열수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포공영 추출물은 생체외 및 생체내에서 NO 생산량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포고영 추출물을 4 주간 섭취 한 나이든 쥐(22주)에서 다이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과 17-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의 수준과 신경 인산화 질소 합성효소와 cGMP의 양은 유의하게 증가했다. 그러나 프로스타글란딘$E_2$, 테스토스테론 및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 수치는 모든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총 정자 수 및 운동성 정자 수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NO, cGMP 및 유리 테스토스테론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물질로서 Taraxacum coreanum 추출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듀록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및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봄과 여름의 영향 (Effect of Spring and Summer Influencing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Duroc Boars)

  • 김홍기;한성욱;임재삼;권영안;양창범;이영주;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9-84
    • /
    • 2001
  • 본 연구는 Duroc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후의 정자생존성 및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봄 (3~5월)과 여름 (6~8월)으로 나누어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Duroc 종모돈의 정액량, pH, 정자농도는 봄과 여름철에 큰 차이가 없었다. 2. 봄철 및 여름철의 전체 정액량, 정자농후부분 그리고 정자희박부분에서 봄과 여름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원정액 정자에서는 운동성 및 정상첨체에서 봄과 여름철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동결-융해정자의 운동성 및 정상첨체는 봄철의 종모돈에서 생산한 정자가 여름철의 종모돈에서 생산한 정자보다 우수하였다. 4. 듀록 종모돈의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 변화는 봄과 여름에 각각 2.15 ng/$m\ell$과 0.65 ng/$m\ell$으로, 봄철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여름철의 농도 보다 높았다(P<0.05).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듀록 종모돈에 있어 정자의 내동성은 혈청 중 테스토스테른의 농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요크샤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및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봄과 여름의 영향 (Effect of Spring and Summer on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Yorkshire Boars)

  • 김홍기;임재삼;명평근;양창범;이영주;고현진;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1-206
    • /
    • 2001
  • 본 연구는 요크샤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후의 정자생존성 및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봄 (3~5월)과 여름 (6~8월)으로 나누어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요크샤 종모돈의 정액량, pH, 희박정자 부분의 정자농도는 봄과 여름철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봄철 농후정자 부분의 정자농도는 여름철 농후정자 부분의 정자농도보다 높았다 (P<0.05). 2. 원정액 정자에서는 운동성 및 정상첨체에서 봄과 여름철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동결-융해정자의 운동성 및 정상첨체는 봄철의 종모돈에서 생산한 정자가 여름철의 종모돈에서 생산한 정자보다 우수하였다. 3. 요크샤 종모돈의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 변화는 봄과 여름에 각각 4.04 ng/$m\ell$과 2.85ng/$m\ell$l으로, 봄철 테스초스테론의 농도가 여름철의 농도보다 높았다(P<0.05).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크샤 종모돈에 있어 정자의 내동성은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밀리타리스동충하초가 테스토스테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Stimulatory Effect of Cordyceps militaris on Testosterone Production in Male Mouse)

  • 홍인표;최용수;우순옥;한상미;김혜경;이명렬;남성희;하남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8-150
    • /
    • 2011
  • 엽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수벌 번데기와 수벌 번데기에서 생산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 쥐에 4주간 경구 투여하여 체중변화,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검사하였다. 대조군 및 투여군에서 체중의 증가량은 그룹간, 날짜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료를 투여한 모든 군에서 증가경향을 보였다. 더욱이 밀리타리스동충하초 투여구의 호르몬 수치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