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탱화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러시아 이코노스타시스(iconostasis)와 한국 감로탱화(甘露幀畵)의 특수성과 서사구조 (A Specificity and Narrative Structure of the Russian Iconostasis and Korean Amrtakundalin(amrita painting, 甘露幀畵))

  • 이규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419-449
    • /
    • 2016
  • 이 글에서는 러시아정교회의 이코노스타시스와 한국 감로탱화의 특수성과 서사구조를 비교 고찰하였다. 1장에서는 일반 종교회화와 다른 이콘과 탱화의 도상-지표적 특성을 바탕으로 두 종교예술의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러시아 종교문화의 이원론적 구조에서의 일원론적 성격, 한국 불교의 밀교적 성격을 토대로 러시아 이콘과 한국 탱화의 현세 이익, 신비적 속성을 보았다. 3장에서는 1-5단의 이코노스타시스와 상,중,하 3단의 감로탱화의 서사구조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이코노스타시스와 감로탱화에 담긴 시공간성과 내세에 대한 세계관을 탐구하였다. 과거, 현재, 미래와 천상, 현세, 지옥이 공존하는 감로탱화의 하단의 특징과 러시아정교회 성당 안에서 이코노스타시스와 마주보고 있는 최후의 심판 벽화를 비교하였다.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 안료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A Scrol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Bulguk Temple)

  • 김소진;한민수;이한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212-223
    • /
    • 2012
  • 고대부터 회화 장신구 장식품 무기 일상용품 등에 사용된 안료는 시대 제작기법 문화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물질로,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부터 분석을 통해 안료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최근에는 휴대용형광X선분석기를 사용하여 안료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고대 안료 물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연구로는 시대별, 지역별 안료의 쓰임 및 사용시기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안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성시기가 전해지는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의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안료를 밝히는 한편, 시대와 지역이 비슷한 조선시대 불화 안료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자료를 종합해본 결과,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는 연백을 이용해 배채하였으며, 채색안료로는 연백, 주사, 연단, 구리 화합물인 석록(혹은 동록, 녹염동광), 철산화물인 석간주 및 금분 등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에 사용된 안료들은 전통안료를 혼합하여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나 모든 안료에 대해 결정구조를 분석한 것이 아니므로 명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회화 안료의 성분 및 제작특성, 특히 조선시대 불화의 안료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후기 감로탱화 하단화를 통해 본 예인복식 연구(제1보) - 사당패 남자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s of Male Performers in the late Joseon's Gamrotaenghwa(Part I) - Korean Nectar Ritual Painting -)

  • 홍나영;민보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105
    • /
    • 2006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an's costumes of Sadangpae(the troupe of performers) shown in Gamrotaenghwa (감로탱화)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Originally Gamrotaenghwa was used as a painting for a Buddhist praying ceremony, 또Young-ga-cheon-do-je(영가천도제). It shows us the lives of the commoners in those days. Gamrotaenghwa reflects the changes of costume style in the late Chosun period. The early styles of po(포, coat) for male performers in the 17th century were changeui(창의) and dopo(도포), which had the front panels(seop) overlapped deeply and sleeves that got wider as time passed. After the 18th century, Male performers wore a simpler coat such as sochangeui(소창의), which had narrow sleeves and long slits on the both sides. Especially the coats of acrobats were fastened on the center front with buttons. Heuklip(흑립: black hat), somoja(소모자: small cap) and jeonlip(전립: wool hat) were used as hats for the male performers. Originally, heuklip was the hat that represented the noble status: yangban(양반). However, it was popularized among the commoners in the late Chosun period. As time passed on, the heuklip became more popular and its shape also changed. Somoja and jeonlip were shown throughout the entire Gamrotaenghwa. Unlike heuklip, those were common hats for Sadangpae.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commoners. However, it seems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the costumes depending on the roles they performed.

안동 봉황사 삼세불 제작에 사용된 섬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ibers of Samsebul (Triple Buddha Statues) at Bonghwangsa in Andong)

  • 조경실;백영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7-303
    • /
    • 2012
  •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2점(A, B), 석가불 시료 1점(C), 아미타불 시료 1점(D)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료들에 대해 기존의 문화재 명칭에는 삼베로 기록되어 있었다. 열화가 심하고 두꺼운 먼지층을 형성하고 있어 육안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으나 본 실험을 통하여 약사불 시료1점(A)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임을 알 수 있었다.

국립민속박물관 펴냄 "한국인의 얼굴"

  • 이성수
    • 출판저널
    • /
    • 통권154호
    • /
    • pp.2-3
    • /
    • 1994
  • 이 책은 선사유물, 불상이나 탱화, 고분벽호, 토우, 장숭, 탈 무속화에 표현된 얼굴과, 외국인이 본 우리의 얼굴 등에서 '역사 속의 얼굴'을 찾고 있다. 하지만 책을 뒤적이다 보면, 그 표현법이 다를 뿐 각 양식에 나타난 얼굴들은 분명 우리의 얼굴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어떤 얼굴을 가진 민족인가?" 이 질문에 현답을 제시하고 있다.

  • PDF

16세기 탱화에 나타난 조선전기 복식연구 (Study on the Costume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16th Century Taenghwa)

  • 김소현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45-63
    • /
    • 2014
  • In the Taenghwa(Buddhist paintings), the clothing habits of the times can be observed since it depicts the lives of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These 16th century Taenghwas were draw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itual costumes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works such as oryeui Se-jong-sil-lok; Sejong chronicles and Gyong-guk-Dae-jon. It shows the perception of various types of clothing such as the Myeon-Bok(King's Full Dress), Won-yu-gwan-bok(King's Ceremonial Dress), and Gon-ryong-po(royal robe at work), and describes the early King's Won-yu-gwan-bo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equips Bang-sim-gok-ryong(Round Neck Band). Various officials' uniforms and various men's coats are described. From it, one can visually verify the records of Joong-jong-sil-lok; Joongjong chronicles that describes the appearances of various hats and coats. They also tell us that Chang-ot(light outer coat) was worn prior to the 17th century. It also shows us that the ritual costume of women in Koryo was passed down to early Joseon. Also, in regards to the Buddhist priest costumes, the jang-sam's gray color and ga-sa's red color has been passed down until today.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for clothing materials were horsehair, silk, ramie, hemp, and cotton.

조선후기 감로탱화를 통해서 본 무녀복식에 관한 연구 (제2보) (A Study on the Costume of Female Shaman in the Late Joseon's Gamrotaenghwa (Part 2))

  • 민보라;홍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90-1201
    • /
    • 2007
  •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stumes of female Shamans through Gamrotaenghwa(甘露幀畵) in the late Joseon Dynasty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icture of Mudangnaeryeok(巫堂來歷) showing Shamanic performances which is kept in Kyujanggak,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the only one thing enabling to compare with the Shamanic costumes shown in Gamrotaenghwa. The earlier Gamrotaenghwa doesn't show the Shamanic features but that of the later part of 18th century shows specific costumes so that the scene of Shamanic performance can be guessed. The Shamanic costume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Type A is considered to have followed the figures shown commonly in earlier Gamrotaenghwa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stumes. Types B through E show the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basic costumes of skirt and Chogori(a kind of jacket, Type B), the variable costumes worn for each type of Shamanic performances are Mongduri(蒙頭里, Type C), Jeonbok(戰服, Type D) and Cheolrik(天翼, Type E). Reviewing the general style of those costumes, the upper part was tight and the lower part was silhouette of big volume, and the length of Chogori was a little long in the early of 18th century but it became shorter with narrower sleeves from the later part of the same century. According to the general literatures about the outer collars were not overlapped and its side parts were open, with half or no sleeves. In case that the target of Shamanic performance is male god, the Shaman wore the male costumes represented by Cheolrik and Jeonbok. Because these Cheolrik and Jeonbok which were worn during the Shamanic performance have the symbolic meaning to correspond with the male god, they didn't function as ordinary costumes.

주제어에 따른 시왕의 디지털 콘텐츠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Contents of the Ten Kings of Hell according to Keyword)

  • 김경덕;김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30-5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10명의 지옥 왕을 주제어에 따라 시각화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10명의 지옥 왕은 시왕으로 불리며, 탱화와 같은 유형문화재로서 일반 사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왕은 저승 세계를 관장하는 대왕으로 무속 및 불교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에 등장하는 시왕을 지옥별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주제어를 선별하고, 일반인이 특정 주제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지옥과 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응용 분야로는 게임 및 문화 캐릭터의 개발, 전통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불교문화와 교리 교육, 게임 등에 그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쌍계사 탱화 안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ancient pigments-Focus on the Buddha pigments at the Ssanggye temple)

  • 한민수;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4호
    • /
    • pp.131-152
    • /
    • 2003
  • In ancient times, many kinds of different inorganic pigments were used as colorants for making objects. These pigments are still evidentin well known objects such as Danchung, mural painting and Buddhist painting. This study discusses the results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the pigments used on the Buddha pigments. The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microcrystalline structures revealed on the cross section of analyzed pigments, samples of which were taken from various parts of Buddha pigments show that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pigment particle we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such as coloring, toning of the pigments. The arrangement of pigments and their usage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owner temples and the place where it was created. Secondly,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pigments shows that the main components in their composition are: Red pigments - Red lead($Pb_3O_4$) and Cinnabar(HgS)Green pigments - Malachite[$CuCO_3$.$Cu(OH)_2$] and Prussian Blue[$Fe4(Fe(CN)_6)_2$]Gold pigments - pure gold(Au)Yellow pigments - Orpiment($A_s2S_3)White pigments - Lead Cyanamide[$Pb_3(CO_3)_2(OH)_2]Ultramarine pigments - Azulite[$Cu_3(CO_3)_2(OH)_2]Especially, we knew that pigments used on the Ssanggye temple not repaired to the artificial synthetic pig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