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stume of Female Shaman in the Late Joseon's Gamrotaenghwa (Part 2)

조선후기 감로탱화를 통해서 본 무녀복식에 관한 연구 (제2보)

  • Min, Bo-Ra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민보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stumes of female Shamans through Gamrotaenghwa(甘露幀畵) in the late Joseon Dynasty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icture of Mudangnaeryeok(巫堂來歷) showing Shamanic performances which is kept in Kyujanggak,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the only one thing enabling to compare with the Shamanic costumes shown in Gamrotaenghwa. The earlier Gamrotaenghwa doesn't show the Shamanic features but that of the later part of 18th century shows specific costumes so that the scene of Shamanic performance can be guessed. The Shamanic costume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Type A is considered to have followed the figures shown commonly in earlier Gamrotaenghwa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stumes. Types B through E show the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basic costumes of skirt and Chogori(a kind of jacket, Type B), the variable costumes worn for each type of Shamanic performances are Mongduri(蒙頭里, Type C), Jeonbok(戰服, Type D) and Cheolrik(天翼, Type E). Reviewing the general style of those costumes, the upper part was tight and the lower part was silhouette of big volume, and the length of Chogori was a little long in the early of 18th century but it became shorter with narrower sleeves from the later part of the same century. According to the general literatures about the outer collars were not overlapped and its side parts were open, with half or no sleeves. In case that the target of Shamanic performance is male god, the Shaman wore the male costumes represented by Cheolrik and Jeonbok. Because these Cheolrik and Jeonbok which were worn during the Shamanic performance have the symbolic meaning to correspond with the male god, they didn't function as ordinary costumes.

Keywords

References

  1. 강우방,김승희. (1995). 甘露幀. 서울: 예경
  2. 고부자, 박성실. (1990). 驪州 출토 東萊 鄭氏 遺物 小考. 한국복식, 8, 71-79
  3. 경기도박물관. (2000). 전주이씨 묘 출토복원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4. 경기도박물관. (2003). 전주이씨 묘 출토복원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5.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서울새남굿.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상징 巫具.서울: 민속원
  7. 김덕주. (1992). 壬辰倭亂과 佛敎義僧軍. 서울: 경서원
  8. 김명숙. (1993) 홍우협묘 출토 17세기 복식 논고. 청주: 충북대학교 박물관
  9. 김은정. (2003). 무복장삼의 고찰. 비교민속학, 25, 545-563
  10. 김태곤. (1979). 韓國巫歌集 2. 서울: 집문당
  11. 김태곤. (1986). 무속과 불교의 습합. 한국민속학, 19, 163-174
  12. 문명대. (1997). 韓國의 佛畵. 서울: 열화당
  13.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성실. (1996). 화성 구포리 출토복식 小考. 한국복식, 14, 49-75
  15. 박성실. (2005). 조선시대 몽두의에 관한 연구. 복식, 55, 57-72
  16. 서대석. (1997). 무당내력의 성격과 의의. 구비문학연구, 4,341-359
  17. 석주선. (1983). 조선시대 출토복식의 실태. 한국복식, 1,71-79
  18. 석주선. (1985). 衣.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19. 성보문화재연구원. (2005). 조선시대 감로탱 특별전 甘露. 양산: 통도사성보박물관
  20. 성현. (조선). 虛白堂集. 이혜구 역 (1986). 李朝名賢集,2.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연구원
  21. 소황욱. (2003). 한국무속복식의 역할에 관한 논의. 비교민속학, 24,227-265
  22. 송문흠. (1788). 閒靜堂集.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9).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23. 심우성. (1989). 남사당패 연구. 서울: 동문선
  24. 엘리아데,미르치아. (1970). 샤머니즘: 고대적 접신술. 이윤기 옮김 (1992). 서울: 까치
  25. 유효순. (1997). 한국의 무속복식 연구. 복식, 32,101-116
  26. 윤광봉. (2001). 놀이와 축제. 한국민속학 새로 읽기. 서울: 민속원
  27. 이경자. (1998).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28. 이덕무. (조선).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역(1989). 서울:민족문화추진회
  29. 이순자. (1995). 宋복식이 고려복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3, 125-155
  30. 이자연. (1997). 무속복식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I). 복식,32,213-224
  31. 이재. (1884). 四體便賢. 이수영 옮김 (1992). 서울: 이화문화 출판사
  32. 이혜구. (1957). 무악연구. 한국음악연구. 서울: 국민음악연구회
  33.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006). 17세기 조선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34. 이형상. (1774). 甁窩集. 鄭太鉉 역 (1990).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 조효순. (1997). 조선시대 무속복식 연구. 복식, 34, 195-208
  36. 지조 아카마쓰, 다카하시 아키바. (1937). 조선무속의 연구. 심우성 역. (1991). 서울: 동문선
  37. 진연도감. (1982).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자료실
  38. 홍나영. (1996).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527-537
  39. 홍윤식. (1969). 불교양식에 나타난 諸神의 성격. 한국민속학, 1, 39-51
  40. 高麗史. (조선).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편 (1961). 서울. 경인문화사
  41. 高宗實錄. (1935). 朝鮮王朝實錄. 자료검색일 2006, 10. 13,자료출처 http://sillok.history.go.kr
  42. 菊竹淳一, 吉田宏志. (1981). 高麗佛畵. 東京: 朝日新聞社
  43. 巫堂來歷. (조선후기).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2005). 서울: 민속원
  44. 純祖實錄. (1838). 朝鮮王朝實錄. 자료검색일 2006, 10.13, 자료출처 http://sillok.history.go.kr
  45. 英祖實錄. (1776) 朝鮮王朝實錄. 자료검색일 2006, 10.13, 자료출처 http://sillok.history.go.kr
  46. 王圻. (2004). 三才圖會. 서울:민속원
  47. 園幸乙卯整理儀軌. (1975). 수원시 편 (1996). 수원: 수원시
  48. 正祖實錄. (1805). 朝鮮王朝實錄. 자료검색일 2006, 10. 13, 자료출처 http://sillok.histroy.go.kr
  49. 進宴儀軌. (1902). 박소동 역 (2005).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0. 進饌儀軌. (1829). 국립국악원 편저 (1981). 서울:傳統音樂硏究會
  51. 進饌儀軌. (1848). 국립국악원 편저 (1981). 서울:傳統音樂硏究會
  52. 太宗實錄. (1431). 朝鮮王朝實錄. 자료검색일 2006, 10. 13, 자료출처 http://sillok.history.go.kr

Cited by

  1. A Study of Official Hats Shown on Shaman's Costumes of Seoul Village Gut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3.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