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Costume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16th Century Taenghwa

16세기 탱화에 나타난 조선전기 복식연구

  • Kim, Soh Hyeon (Dept.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Baewha Women's University)
  • 김소현 (배화여자대학교 전통의상과)
  • Received : 2013.09.06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4.01.31

Abstract

In the Taenghwa(Buddhist paintings), the clothing habits of the times can be observed since it depicts the lives of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These 16th century Taenghwas were draw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itual costumes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works such as oryeui Se-jong-sil-lok; Sejong chronicles and Gyong-guk-Dae-jon. It shows the perception of various types of clothing such as the Myeon-Bok(King's Full Dress), Won-yu-gwan-bok(King's Ceremonial Dress), and Gon-ryong-po(royal robe at work), and describes the early King's Won-yu-gwan-bo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equips Bang-sim-gok-ryong(Round Neck Band). Various officials' uniforms and various men's coats are described. From it, one can visually verify the records of Joong-jong-sil-lok; Joongjong chronicles that describes the appearances of various hats and coats. They also tell us that Chang-ot(light outer coat) was worn prior to the 17th century. It also shows us that the ritual costume of women in Koryo was passed down to early Joseon. Also, in regards to the Buddhist priest costumes, the jang-sam's gray color and ga-sa's red color has been passed down until today.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for clothing materials were horsehair, silk, ramie, hemp, and cotton.

Keywords

References

  1. 연제영 (2003), 甘露幀畵의 造成背景과 薦度對象의 變化, 高麗大學校大學院 석사학위논문, p. 17.
  2. 호암미술관 편 (1996), 조선전기국보전-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2), p. 301.
  3. 한국학중앙연구원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탱화/불화.
  4. 자료검색일 2013. 7. 11,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22t2403a
  5. 강우방, 김승희 (1995), 감로탱, 서울: 도서출판 예경, p. 23.
  6. 연제영 (2003), 甘露幀畵의 造成背景과 薦度對象의 變化, 高麗大學校大學院 석사학위논문, p. 3.
  7. 尹凡牟(2000), 韓國佛畵의 韓國性問題-甘露幀畵의 下段俗界部分을 중심으로-, 實學思想硏究, 14.
  8. 강우방, 김승희 (1995), 감로탱, 서울: 도서출판 예경, p. 10.
  9. 유영순 (1990), 조선조 감로탱화에 표현된 민속연극 복식연구, 상지전문대학논문집, 20, pp. 499-539.
  10. 양경애 (1992), 조선시대 감로탱화에 표현된 복식연구, 복식, 19, pp. 157-173
  11. 양숙향, 이태호, 이경화 (2003), 조선시대 감로탱화 풍속장면의 복식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5), pp. 481-494.
  12. 호암미술관 편 (1996), 조선전기국보전-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2), p. 334.
  13. 세종실록 오례(五禮) 길례서례(吉禮序禮) 관면도(冠冕圖).
  14. 호암미술관 편 (1996), 조선전기국보전-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2), p. 243.
  15. 태종실록 18년(1418) 8월 10일(정해).
  16.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15.
  17. 강우방, 김승희 (1995), 감로탱, 서울: 도서출판 예경, p. 31.
  18. 호암미술관 편 (1996), 조선전기국보전-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2), p. 97.
  19. 자료검색일 2013. 8. 3,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592&docId=580083&mobile&categoryId=1592
  20. 호암미술관 편 (1996), 조선전기국보전-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2), p. 96.
  21. 중종실록 14년(1519) 6월 9일(신미).
  22.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75.
  23.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81.
  24. 강순제 (1992), 우리관모의 시말에 관한 연구-남자 편 복관모를 중심으로,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pp. 127-128, p. 155.
  25. 홍나영, 김소현 (1998), 궁중숭불도에 나타난 16세기 복식 연구, 복식, 38, p. 317.
  26. 고려사 권 제72 13.
  27. 세종실록 31년(1449 ) 1월 25일 (병오), "常時則通著 直領脥注音帖裏, 差備時則著團領".
  28. 高麗時代の佛畵, 時空社, 2000, p 116.
  29. 김형수편 (1985), 한국의 미 20 인물화, 서울: 중앙일보, 145.
  30. 高麗時代の佛畵, 時空社, 2000, p 114.
  31. 전 공민왕부부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2.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47.
  33. 박성실 (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壬辰倭亂以 前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448.
  34. 박성실 (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壬辰倭亂以 前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461.
  35. 한국학중앙연구원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승복.
  36.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541.
  37. 강우방, 김승희 (1995), 감로탱, 서울: 도서출판 예경, p. 32.
  38.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545.
  39. 周錫保(1984), 中國古代服飾史, 丹靑圖書有限公司, p. 433.
  40. 周錫保(1984), 中國古代服飾史, 丹靑圖書有限公司, p. 451.
  41. 남미혜 (2000), 15, 16세기 복식사이의 유행과 국가의 대응책-사라능단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27, p. 234.
  42. 태종실록 16년(1416) 7월 17일(병오).
  43. 擇里志, 八道總論, 忠淸道(출처 : www.krpia.co.kr )
  44. 예종실록 1년(1469) 6월 29일(신사).
  45. 세종실록 27년(1445) 10월 11일(임자). "...我國風俗 凡諸賣買必以綿布定價...".
  46. 조효숙 (1999), 조선전기 면직물 발달에 관한 연구, 복식, 45, p.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