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stumes of Male Performers in the late Joseon's Gamrotaenghwa(Part I) - Korean Nectar Ritual Painting -

조선후기 감로탱화 하단화를 통해 본 예인복식 연구(제1보) - 사당패 남자복식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an's costumes of Sadangpae(the troupe of performers) shown in Gamrotaenghwa (감로탱화)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Originally Gamrotaenghwa was used as a painting for a Buddhist praying ceremony, 또Young-ga-cheon-do-je(영가천도제). It shows us the lives of the commoners in those days. Gamrotaenghwa reflects the changes of costume style in the late Chosun period. The early styles of po(포, coat) for male performers in the 17th century were changeui(창의) and dopo(도포), which had the front panels(seop) overlapped deeply and sleeves that got wider as time passed. After the 18th century, Male performers wore a simpler coat such as sochangeui(소창의), which had narrow sleeves and long slits on the both sides. Especially the coats of acrobats were fastened on the center front with buttons. Heuklip(흑립: black hat), somoja(소모자: small cap) and jeonlip(전립: wool hat) were used as hats for the male performers. Originally, heuklip was the hat that represented the noble status: yangban(양반). However, it was popularized among the commoners in the late Chosun period. As time passed on, the heuklip became more popular and its shape also changed. Somoja and jeonlip were shown throughout the entire Gamrotaenghwa. Unlike heuklip, those were common hats for Sadangpae.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commoners. However, it seems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the costumes depending on the roles they performed.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 (1997). 한국입제 변천의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1,85-101
  2. 강우방,김승희. (1995). 甘露幀. 서울: 예경
  3. 광주민속박물관. (2000). 霞川.高雲 출토유물. 광주: 광주민속박물관
  4. 국사편찬위원회. (1955-1958). 太祖實錄-純祖實錄.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5. 국사편찬위원회. (1996-1998). 한국사 28-34.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6. 권석랑. (1997) 고려 백저 단수포에 관한 사적고찰,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권영숙.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불복장 유물의 연구.서울: 성보문화재연구원
  8. 김매순. (1911). 冽陽歲時記. 이석호 역 (1991). 조선세시기. 서울: 동문선
  9. 김미자. (1979) 무없고 옆트인 포(袍)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8
  10. 김태곤. (1986). 무속과 불교의 습합. 한국민속학. 19,163-175
  11. 동월. (1488). 朝鮮賦, 윤호진 역 (1994). 서울: 까치
  12. 문명대. (1997). 한국의 불화. 서울: 열화당
  13. 문명대. (1984). 조선조 불화의 양식적 특징과 변천, 한국의 미 16-韓國佛畵-. 서울: 중앙일보사
  14. 박성실. (1996). 화성 구포리 출토 복식 소고. 한국복식,14,49-77
  15. 박정혜,오종록,이은주. (2001).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16. 변태섭 (1986) 한국사통론. 서울: 삼영사
  17.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8). 續大典. 서울: 서울대학교 규장각
  18. 서유문. (18세기). (國譯)戊午燕行錄. 박은호 역 (197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 성현. (1525). 慵 齋叢話.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7). 서울: 솔
  20. 손경자,김영숙. (1985). 한국복식사자료선집-조선편 I-III. 서울: 민족문화사
  21. 신재효. (19세기) 한국 판소리 전집. 강한영 校注譯 (1996). 서울: 서문당
  22. 심우성. (1989). 남사당패 연구. 서울: 동문선
  23. 沈從文. (1981). 中國古代服飾史硏究. 香?: 商務印書館
  24.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편. (1972). 高麗史. 서울: 경인문화사
  25. 王圻. (1605) 三才圖會. 成文出版社有限公司 역 (1970). 臺北: 成文出版社有限公司
  26. 유형원. (1670). 磻溪隧錄. 경민문화사 편 (1974). 서울: 경인문화사
  27. 유희경. (1975).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8. 윤광봉. (1998). 조선후기의 연희. 서울: 박이정
  29. 윤미화. (1982). 창의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이경엽. (2001). 도서지역의 민속연희와 남사당 노래 연구. 한국민속학, 33,225-255
  31. 이긍익. (1911).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32. 이능화. (1927). 朝鮮解語花史. 이재곤 역 (1992). 서울: 동문선
  33. 이덕무,박제가,백동수. (1790). (國譯)武藝圖譜通志. 김위현 역 (1995).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34. 이덕무 (조선후기).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35. 이병천. (1983). 조선후기 상품유통과 여객주인. 經濟史學, 6, 98-158
  36. 이보형. (1997). 전립과 농악의 상모. 한국민속학, 29,127-140
  37. 이봉숙. (1983) 답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수광. (1614). 芝峰類說. 남만성 역 (1994). 서울: 을유문화사
  39. 이익 (조선후기). 藿憂錄. 이익성 역 (1992). 서울: 한길사
  40. 이재. (1844). (國譯)四禮便覽. 이수영 역 (1992). 서울: 이화 문화출판사
  41. 이은주 (2002). 조선시대 출토 소모자에 관한 연구. 한국출토복식 연구 제4회 정기세미나 발표,서울
  42. 이희승. (1997).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43. 정병모 (1991). 조선시대 후반기 풍속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4. 정약용. (1819). 雅言覺非. 김종권 역 (1976). 서울: 일지사
  45. 정약용. (조선후기). 牧民心書. 민족문화추진회 역 (198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46. 조극선 (1893). 冶谷先生文集. 韓國文集編纂委員會 편 (1993). 서울: 경인문화사
  47. 周錫保. (1984) 中國古代服飾史. 北京: 中國戲劇出版社
  48. 중앙일보사. (1994). 한국의 미 20-金弘道-. 서울: 중앙일보사
  49. 작가마상. (조선후기). 춘향전. 조윤제 역 (1973). 서울: 을유문화사
  50. 최정여. (1980). 산대도감극 성립의 제문제. 한국학논문집,1,1-25
  51. 한국법제연구원. (1993). 經國大典.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52. 홍나영 (1996).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527-537
  53. 弘文館. (1908). 增補文獻備考.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78 -1996).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