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회골기질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알긴산 배양과 펠렛 배양에서 소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 (Coculture of Bovine Chondrocytes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in Alginate Bead and Pellet Cultures)

  • ;홍경미;박진욱;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7-153
    • /
    • 2010
  • 연골밑뼈와 연골이식편 사이의 생유합성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까지 탈회골기질의 이용은 생체내 뼈세포 증식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을 통해 뼈와 연골의 유도 목적에 부합되는 모든 필수적인 요소를 갖는 재료로 이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류의 배양법 즉, 펠렛 배양과 알긴산 배양에서 탈회골기질과 공배양된 소 연골세포의 증식과 표현형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알긴산 배양에서는 세포 군집의 형성 및 연골세포의 수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전형적인 연골세포의 표현형이 시험기간인 8주에 걸쳐 유지되었으며, 조직학적인 검사에서 연골세포는 일반적인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였고, 연골세포방과 연골세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연골세포 단독배양)에 비해 탈회골기질과 공배양한 두군 모두에서 많은 세포증식이 관찰되었으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 또한 증가되었다.

동종이식골의 탈회정도가 이소성 골형성유도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ECTOPIC BONE FORMATION EFFECT BY DECALCIFIED DEGREE OF ALLOGRAFTS)

  • 윤홍식;진병로;신홍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139-147
    • /
    • 1998
  • 동종 이식골 내의 탈회 정도에 따른 잔존 칼슘치가 이소성 골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Sprague-dowley계 백서에서 채취한 경골 및 대퇴골의 골간부를 0.5cm 크기로 절단하여 부착 연조직은 제거한 다음,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60^{\circ}C$ 0,6N HCl용액으로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40분간 각각 처리하여 탈회 동종 이식골을 준비하였다. 이때 탈회시간에 따른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각 탈회용액으로부터 1cc를 취한 다음 Sigma사의 진단용 칼슘치 측정kit를 이용하여 spectrophotometer로 600nm 파장하에서 칼슘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탈회 정도에 따른 이식골편의 골형성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24마리의 Sprague-dowley계 백서를 탈회시간별로 8군으로 나누어 배부에 0.5cm 크기로 4군데의 피하낭을 형성한후 각각의 처리된 탈회 이식골편을 이식하였다. 매식된 동종 이식골편들을 술후 1, 2, 3주째 채취하여 통법에 따라 H&E염색 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회 30분까지의 용출되는 칼슘 농도 변화는 평균 15.91mg/ml로, 탈회 20분 이후에 평균 99.65%의 탈회정도를 보였다. 2. 동종골 무게 변화량은 탈회시작 25분까지 뚜렷한 무게변화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변화의 정도가 미약하였다. 3. 탈회된 이식 통종골에의한 이소성 골형성 유도능 비교에서 20분에서 30분간 탈회된 군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그 외의 군에서는 그 정도가 열등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탈회된 동종골에 있어 골형성 유도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골기질내 무기성분의 완전한 탈회가 선행되어야 하며, 탈회골 기질의 변성이 최소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탈회골기질 이식에 대한 치수세포의 반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ACTION OF PULPAL CELLS TO THE IMPLANTED DEMINERALIZED BONE MATRIX)

  • 김선헌;김민석;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744-757
    • /
    • 1995
  • Implantation of demineralized bone matrices was done into the amputated pulp in vivo and sequential reaction of the pulpal ectomesenchymal cells was observed. The bone matrices, obtained from cat long bone were crushed into below $700{\mu}m$, demineralized with 0.5N HCl and allografted into pulp of molar teeth. At seven days after implantation many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aggregated near the matrices in the pulpal tissue. At fourteen days after implantation, the cells differentiated into preosteoblast-like cells which have secretory cell characteristics. At one or two months after implantation osteoid tissue was formed. The cells, which are located at the surface of the tissue, contained abundant dilat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Golgi apparatus and secretory granules in the cytoplasm. The matrix of the tissue has less collagen fibers than those in normal dent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of pulpal mesenchymal cells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can be a model which induces mineralization.

  • PDF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동결건조골과 gel/putty 형 탈회골기질의 골재생효과 (The effect of the freeze dried bone allograft and gel/putty type demineralized bone matrix on osseous regeneration in the rat calvarial defects)

  • 김득한;홍지연;방은경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349-358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Freeze Dried Bone Allograft and Demineralized Bone Matrix on osseous regeneration in the rat calvarial defects. Methods: Eight mm critical-sized calvarial defects were created in the 80 male Sprague-Dawley rat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20 animals each. The defects were treated with Freeze Dried Bone Allograft($SureOss^{TM}$), Demineralized Bone Matrix($ExFuse^{TM}$ Gel, $ExFuse^{TM}$ Putty), or were left untreated for sham-surgery control and were evaluated by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parameters following a 2 and 8 week healing interval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etween each groups and time intervals with ANOVA and paired t-test. Results: Defect closure, New bone area, Augmented area in the $SureOss^{TM}$, $ExFuse^{TM}$ Gel, $ExFuse^{TM}$ Putty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sham-surgery control group at each healing interval(P < 0.05). In the New bone area and Defect clos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ugmented area in the $ExFuse^{TM}$ Gel, $ExFuse^{TM}$ Putty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SureOss^{TM}$ group at 2weeks(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8 weeks. Conclusions: All of $SureOss^{TM}$, $ExFuse^{TM}$ Gel, $ExFuse^{TM}$ Putty groups showed significant new bone formation and augmentation in the calvarial defect model.

CONTINUOUS ARCHWIRE의 FORCE SYSTEM에 대한 3차원 유한 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TIONAL FORCE ANALYSIS OF FORCE SYSTEM IN CONTINUOUS ARCHWIRE BY FINITE ELEMENT METHOD)

  • 노준;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32
    • /
    • 1996
  • 여러가지 교정장치 중에서 고정성 장치는 개개치아의 이동에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그 작용기전과 역학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성 장치의 탄선형태는 크게 continuous arch, segmented arch, sectional arch로 나누어 볼수있는데, segmented arch나 sectional arch는 힘의 작용점이 단순하고 interbracket distance도 길어 술자 임의대로 force system 조절이 가능한 반면 continuous arch에 서는 bracket geometry가 다양하고, interbracket distance가 좁아 force system의 조절이나 그 역학적 분석이 어려운게 사실이다. 저자는 공학에서의 3 dimensional elastic beam이 continuous arch의 형태와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continuous arch 의 force system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3개의 bracket geometry를 표본형상으로 설정하고 기울기, 변위 및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른 힘과 moment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저자가 임의로 제작한 불규칙한 치아배열을 갖는 3차원 모형을 일례로하여 0.016 NiTi archwire를 bracket내에 삽입했을 때 발생되는 초기 힘과 moment를 분석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racket의 변위 또는 기울기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이 선형 대칭적인 비례관계를 보였다. 2.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은 비선형 대칭적인 반비례관계를 보였다. 3. 3차원 모형에서 bracket 형상이 비교적 단순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과 비교분석이 가능했지만 인접치의 형상이 복잡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의 예측량보다 힘이 크게 발생 되었다.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검사에서 Plaque Index(p<0.01)와 Gingival Index(p<0.001)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겔형 불화주석군에서 한 증례는 미미한 치관착색을, 두 증례는 보통정도의 치관착색을 보였다. 치아탈회 연구에서는 겔형 불화주석군과 불화나트륨 양치액군이 치료후 치아탈회값에서 치료전 치아탈회값을 뺀 치아탈회값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전체및 제1대구치에서 현저하게 낮은 값(p<0.05)을 보였다. 비록 겔형 불화주석군이 불화나트륨 양치액군보다 일관되게 낮은 치아탈회값을 보였을지라도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단지 유의성을 보이는 정도였다.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비발치군은 $81.6-84.9\%$, 발치군은 $70.1-72.2\%$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비발치군은 $82.1-85.5\%$, 발치군은 $73.1-75.1\%$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기저악궁장경, 최대치아근원심폭경 합에 대한

  • PDF

임프란트 식립시 이식된 탈회골기질을 함유한 이식재의 골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FORMATION OF GRAFT MATERIAL CONTAINING DEMINERALIZED BONE MATRIX WITH A SIMULTANEOUS INSTALLATION OF IMPLANT)

  • 김여갑;윤병욱;류동목;이백수;오정환;권용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6호
    • /
    • pp.481-491
    • /
    • 2005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utogenous bone and allograft material coverd with a bioresorbable membrane on bone regeneration after a simultaneous installation of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healthy rabbits, weighing about $3{\sim}4$ 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ollowing impalnt(with 3.25 mm diameter and 8 mm length) site preparation by surgical protocol of $Oraltronics^{(R)}$, artificial bony defect, 5mm sized in height and depth, was created on femoral condyle using trephine drill(with 5 mm diameter and 5 mm length). Then implant was inser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he bony defect was filled with autogenous particulated bone and coverd with $Lyoplant^{(R)}$ resorbable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B, the bony defect was filled with allograft material(Orthoblast $II^{(R)}$) containing demineralized bone matrix and covered with $Lyoplant^{(R)}$.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graft materials, the bony defect was covered with $Lyoplant^{(R)}$. The experimental group A and B were divided into each 9 cases and control group into 3 case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3, 6 and 8 weeks after surgery and block specimens were obtained. With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we observed the histologic changes of the cells and bone formation after H-E staining and then, measured BIC and bone density with KAPPA Image $Base^{(R)}$ syste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bone formation and active remodeling process were examin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But, the ability of bone form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 was somewhat better than any other groups. Especially bone to-implant contact fraction ranged from 12.7% to 43.45% in the autogenous bone group and from 9.02% to 29.83% in DBM group, at 3 and 8 weeks. But, bone density ranged from 15.67% to 23.17% in the autogenous bone group and from 25.95% to 46.06% in DBM group at 3 and 6 weeks, respectively. Although the bone density of DBM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autogenous bone group at 3 and 6weeks, the latter was better than the former at 8 weeks, 54.3% and 45.1%,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DBM enhanced the density of newly formed bone at least initi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