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지미강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8초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미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for Wellness Convergence)

  • 이재혁;박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401-406
    • /
    • 2015
  • 이 논문의 목적은 미강추출물 및 탈지미강추출물의 항산화력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미강과 탈지미강은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미강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보기위해 DPPH로 유도된 free radical의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리보플라빈에 의해 유도된 Superoxide 생성 억제 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보기위해 인간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을 MTS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미강추출물과 탈지미강추출물 중에서 특히 에탄올추출물은 탁월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안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강 및 탈지미강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은 화장품과 같은 미용산업 분야에서 기능성 소재로 활용과 스킨케어분야에 융복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탈지미강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Nutritive Value of Local Defatted Rice Bran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김은집;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59-766
    • /
    • 2003
  • 본 연구는 탈지미강의 부존사료원료로써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에 첨가수준을 달리했을 때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Ⅰ에서는 절식구 8수, 탈지미강 급여구 8수, 총 16수의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급여에 의해 탈지미강의 TME, TMEn 및 TAAA를 평가하였다. 탈지미강의 TME와 TMEn은 건물 기준으로 각각 2.19 kcal/g, 2.05 kcal/g이었으며,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생체이용률은 77.29%로 나타났다. 실험Ⅱ에서는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의 대조구 사료와 탈지미강을 5%, 10% 및 15%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총 72수의 육계 (4처리, 3반복, 반복당 6수)에 3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탈지미강 1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지만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주당 증체량은 탈지미강을 여러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미강 10% 및 1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약간 높아졌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탈지미강 5% 첨가구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료요구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사료 원료의 정확한 품질 평가 및 생체이용률을 근거로 사료를 배합했을 때 항영양인자가 함유되어 있지 않는 한 사료의 품질저하를 막을 수 있었고, 탈지미강 역시 가금 사료 내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부존사료원료로써 이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탈지 미강 첨가량에 따른 가래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Defatted Rice Bran)

  • 최은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0-1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이섬유소 함량이 높은 탈지미강을 대조구, 10%, 20%, 30%, 40% 비율로 첨가하여 가래떡을 제조하여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쌀가루와 탈지미강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탈지미강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탈지미강이 24.6% 쌀가루에 비해 7~8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탈지미강 가래떡에 수분측정 결과 탈지미강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가래떡의 수분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색도 측정결과는 L값은 탈지미강 첨가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a값은 첨가함량이 증가될수록 낮아졌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값은 첨가함량이 증가될수록 b값이 높아졌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는 탈지미강 첨가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변화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탄력성, 점착성 측정한 결과 뚜렷한 경향을 찾을 수는 없었으며, 씹힘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탈지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래떡의 색, 향은 강하게 평가되었다. 맛(taste)은 대조구에 비해 강하게 평가하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20%> 30%> 40%> 10%> 순으로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농업부산물(農業副産物)의 이용성향상(利用性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3報) 탈지미강(脫脂米糠)부터 phytin 분리(分離)- (Studies on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3. Separation of phytin from defatted rice bran-)

  • 신재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71-81
    • /
    • 1968
  • 1) 생미강(生米糠)을 n-hexane으로 탈지(脫脂)한 탈지미강(脫脂米糠)에 희(稀) HCl 또는 희(稀) $H_{2}SO_4$를 혼합(混合)하고 가끔 저어주면서 $8{\sim}12$ 시간(時間)동안 두어서 phytin을 침출(浸出)시키고 여과(濾過)하여서 침출액(浸出液)을 얻었다 .다음에 침출액(浸出液)을 염기(鹽基)로 중화(中和)하여서 phytin을 침전(沈澱)시키고 여과(濾過)하여서 phytin을 분리(分離)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서 탈지미강(脫脂米糠)으로부터 phytin을 분리(分離)함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조건(條件)에 관(關)하여 기초(基礎) 실험(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2) 침출용(浸出用) 산액(酸液)으로써는 0.3% HCl이 좋았다. 탈지미강(脫脂米糠)에 희산(稀散)을 작용(作用)시키면 phytin 이외(以外)로 희산(稀散)에 가용성(可溶性)인 단백질(蛋白質) 당류(糖類), Vitamin B 군(群), 색소(色素)등도 상당량(相當量) 즉 탈지미강(脫脂米糠)의 $18{\sim}19%$가 침출(浸出)되어 나온다. 0.3% HCl 때 침출고형물(浸出固形物)은 탈지미강(脫脂米糠)의 30%이다. 탈지미강중(脫脂米糠中)의 염기성(鹽基性) 물질(物質)의 침출(浸出) 속도(速度)는 phytin의 그것과 차이(差異)가 있다. phytin은 탈지미강(脫脂米糠)과 희산액(稀酸液)을 혼합(混合)한 후 $1{\sim}5$시간(時間) 사이에서 주(主)로 침출(浸出)되어 나온다. 3) 침출용(浸出用) 산액량(酸液量)은 탈지미강(脫脂米糠)의 $8{\sim}10$ 배량(倍量)이 좋고 침출(浸出) 시간(時間)은 실온(室溫)에서 $8{\sim}12$ 시간(時間)이면 충분(充分)하다. 침출(浸出) 온도(溫度)는 $20{\sim}30^{\circ}C$가 좋고 그 이상(以上)이 되면 phytase의 작용(作用)이 활발(活潑)하여지므로 침출량(浸出量)이 저하(低下)된다. 4) 침출용(浸出用) 산(酸)으로써는 HCl를 사용(使用)할 때가 $H_{2}SO_4$를 사용(使用)할 때보다도 phytin 침출량(浸出量)이 많다. 0.3% HCl를 탈지미강(脫脂米糠)의 8배량(倍量) 쓰고 실온(室溫)에서 12시간(時間) 침출(浸出)시키였을때 phytin 침출율(浸出率)은 11.34%로써 이론치(理論値)의 93%였다. 5) phytin를 침전(沈澱)시키기 위한 침출액(浸出液)의 중화제(中和劑)로써는 포화(飽和) $Ca(OH)_2$ 용액(溶液)이 좋다. 침출액(浸出液)을 포화(飽和) $Ca(OH)_2$ 용액(溶液)으로 pH 7.0까지 중화(中和)하였을 때에 phytin 침전율(沈澱率)은 이론치(理論値)의 94.77%였다. 중화제(中和劑)로써 NaOH, KOH, $NH_{4}OH$를 쓸 때는 중화도(中和度)에 관계없이 침전(沈澱)이 대단히 불충분(不充分)하였다. 중화도(中和度)는 pH $6.8{\sim}7.0$이 좋다. 중화제(中和劑)로써 $NH_{4}OH$를 썼을 때가 phytin 침전(沈澱)이 제일 희고 여과(濾過)도 비교적(比較的) 쉽게 잘 되었다. 6) pH $6.0{\sim}7.2$에서 각(各) 용해도(溶解度)는 다음과 같다. K-phytate〉$NH_{4}-phytate$ > Na-phytate > Ca-phytate.

  • PDF

탈지미강으로부터 Phytic Acid의 추출과 정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hytic Acid from Defatted Rice Bran)

  • 최문실;한복경;최혁준;박영서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76-281
    • /
    • 2011
  • 탈지미강으로부터 피틴산을 추출 및 정제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탈지미강을 10배수의 0.5% HCl 용액으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피틴산의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중화제로는 0.5% NaOH 용액이 적합하였다. 피틴산의 정제를 위하여 Diaion HP20 흡착 컬럼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여러 가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피틴산을 정제하였을 때 Amberlite IRA-416 이온교환수지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다. Amberlite IRA-416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피틴산을 수지에 흡착시킨 다음 0.5% NaOH 용액으로 용출시켰을 경우 89%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피틴산의 총단백질 함량은 0.14%(w/w)로 대부분의 단백질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산패된 미강급여가 계육과 돈육의 냉동저장중 색택 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Rancid Rice Bran on the Oxidative and Color Stability of Ground Chicken and Pork during Frozen Storage)

  • 이성기;채병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6-302
    • /
    • 2000
  • 산패된 미강을 닭과 돼지에게 급여하여 사육시킨후 도축한 고기에서 저장중 색깔과 지방산화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료배합 조성에서 탈지강을 첨가한 것을 대조구로 하여 신선한 미강(유리지방산함량 8.2%)과 산패괸 미강(유리지방산함량 15.6%)을 돼지(삼원교잡종, Landrace $\times$Yorkshire$\times$Duroc)사료에 각각 20% 첨가하여 평균 종료체중 92kg이 될 때까지 56일간 사육하였으며, 닭(Avi-an 종) 사료에 각각 10%를 첨가하여 3주령부터 급여를 시작하명서 3주간 사육하였다.도축후 1$^{\circ}C$에서 24시간 후에 발골 및 세절하여 함기포장을 한 다음-2$0^{\circ}C$에서 3개월간 저장하였다. 산패된 미강급여구는 신선한 미강급여구에 비해 저장중 명도(L*)가 낮았고 적색도/황색도(a*/b*)는 높았다. 모든 급여구는 저장기간 동안 황색도(b*)는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감소하였다. 저장 0일에 비해 3개월에 있어서 계육과 돈육의 적색강도 감소율을 보면 산패된 미강급여구가 66%와 67%로 미강급여구의 84%와 78%나 비급여구의 84%와 77%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가장 많이 변색되었다. 세절육의 냉동중 지방산화는 계육에서 더 많이 진행되었고 저장 1개월만에 급증하였다. 미강을 급여구가 신선한 미강급여구에 비해 산화억제력이 약했다. 따라서 닭과 돼지에 미강을 급여하면 탈지강 급여구에 비해 식육에서 지방산화를 더 많이 억제시키지만, 미강의 산패 정도가 식육의 산화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Extract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Flour)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4-469
    • /
    • 1997
  •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방법으로 열처리한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호화 및 노화현상을 RVA와 DSC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그결과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호화온도,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을 DSC로 측정했을 때 To, Tp 및 ${\triangle}H$값들은 탈지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시 나타난 endothermic peak는 호화시보다 약 $15{\sim}20^{\circ}C$ 낮은 온도에서 폭이 넓은 형태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뚜렷한 endothermic peak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은 노화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5%와 10% 첨가시료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탈지미강 분획의 특성과 응용 (Microparticulation/Air Classification of Rice Bra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 박동준;구경형;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69-774
    • /
    • 1993
  • Fluidized bed opposed jet mill을 사용하여 초미세분쇄한 후 Turboplex classifier로 공기분급한 탈지미강분말의 입도는 air classifying wheel speed (ACWS)가 낮아짐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표준편차는 증가하고 단위부피당 표면적은 감소하였다. ACWS 21,000rpm에서 분급한 미강분말의 형태는 구형이었으며 입도 median이 $3.7{\mu}m$이었다. ACWS별로 회수된 시료의 단백질, 지방, 회분은 ACWS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Mg, Zn, Fe 및 Mn 함량은 ACWS가 증가할수록 비교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ytic acid함량은 중간 ACWS에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식이섬유함량은 $25.2{\sim}31.5%$의 값을 보였고, ACWS 15,000rpm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ACWS에 따른 시료의 색도는 ACWS가 높을수록 백색도(L)가 증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WHC)은 12,000rpm에서 2.88g/g solid로 가장 높았고 ACWS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보유력은 반대로 ACWS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급된 미강분말 현탁액의 유동특성은 Bingham body에 속하였으며 농도와 ACWS가 증가함에 따라 항복응력 및 점도가 상승하였다. 분급된 미강분말을 5% 수준으로 대체하여 케이크를 제조한 경우 대조구보다 케이크의 높이와 부피가 증가하였다.

  • PDF

미강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Ca, Fe 결합된 peptide 제조 (Preparation for Calcium and Iron-binding Peptides from Rice Bran Protein Hydrolysates)

  • 전소정;이지혜;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74-178
    • /
    • 2010
  • 탈지 미강으로부터 미강단백질을 추출하고 상업용 단백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고 한외여과하여 얻어진 미강단백질 가수분해물을 Sephadex G-15로 분리하여 얻어진 peptide fraction에 칼슘, 철분을 binding하여 칼슘, 철분 함유 peptide를 제조하였다. 추출된 탈지 미강 단백질의 분자량은 10~66 kDa에 분포하고 있었다. 추출된 단백질을 Flavourzyme으로 가수분해 시, 최적 가수분해 시간은 6시간이었으며, 5kDa 이하로 한외여과 하여 얻어진 peptide를 Sephadex G-15로 분획한 결과 4개의 major peak를 얻었는데, 각 fraction의 칼슘, 철분을 binding한 결과 Ca/peptide는 FI에서, Fe/peptide는 F2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얻어진 칼슘, 철분 binding peptide는 biomineral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식품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탈지 미강 산성 탁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fatted Rice Bran, Sansung Takju (Cloudy Korean Rice Wine))

  • 서봉희;황현주;성기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기능성과 식이섬유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갖고 있으면서도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미미한 미강을 전통주인 탁주의 제조에 활용하였다. 주정을 활용하여 제조한 탈지 미강을 넣어 제조한 술의 발효과정중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발효특성과 탁주의 항산화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탈지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발효 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탈지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정산도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p<0.05). HPLC를 이용한 ethanol의 함량은 탈지미강의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여 control이 16.51%, TDT3이 16.20%(w/v), TDT6이 16.07 %(w/v), TDT10이 15.75%(w/v)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성탁주의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adical-scavenging activity는 TDT6이 2.56 g/moL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산성 탁주의 기호도에 대한 9점 척도법을 분석한 결과 TDT3이 color, sweet taste, sour taste, alcohol taste, overall-acceptability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TDT3의 산성주가 기호도를 향상시킨 가장 최적의 첨가조건이라고 보며, 탁주의 품질개선에 활용가치가 있으며, 상품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