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저균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9초

탄저균 pagA 유전자의 분자적 다양성 (Molecular Diversity of pagA Gene from Baciilus anthracis)

  • 김성주;조기승;최영길;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55
    • /
    • 2001
  • 탄저(anthrax)는 그람양성이고 포자형성 세균인 탄저균(Bacillus anthracis)으로부터 발명되어진다. 탄저독소는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어항원(PA)은 숙주세포 표면에서 탄저 독소단백질 및 이종단백질을 세포질 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PA의 분자적 다양성과 국내에서 탄저균의 진화를 이해하고 확인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견된 탄저균 4 균주와 기존에 보고된 탄저균 26 균주로부터 2,294 bp의 PA유전자(pagA)의 DNA 염기서열을 분식하였다. 탄저균 30 균주으로부터 P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식한 결과, 8개 부위에서 돌연변이를 확인 하였다. 돌연변이가 일어난 부위에 따라서 탄저균을 10종류의 PA 유전자형과 4 종류의 PA 표현형으로 구분하였다. 한국 경주에서 분류된 B. anthracis BAK는 600번째 아미노산 alanine이 valine으로 바뀌어서 B. anthracis ATCC 14185 보다 LF와 PA의 결합 위치를 근접하게 하였다. 탄저균의 Pag의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학적인 분석 결과는 염색체상에서의 분류와 일치하여 탄저균사이에서 pXO1 플라스미드의 수평적인 이동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KHT5 마커를 사용한 Bacillus cereus 그룹에서 Bacillus anthracis의 구별 (Discrimination of Bacillus anthracis from Bacillus cereus Group Using KHT5 Marker)

  • 김형태;김성주;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0-44
    • /
    • 2003
  • 탄저균은 그람양성 아포형성세균으로 탄저를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Bacillus cereus그룹에 속하는 22종을 포함하여 Bacillus 속의 29종에서 탄저균을 검증할 수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B. cereus 그룹에서 탄저균만을 구분하였다. 한국산 탄저균 경주로부터 709 bp마커(KHTS)를 확보하였다. KHTS분절로부터 얻어진 internal primer set의 PCR 산물은 B. cereus 그룹의 다른 종으로부터 탄저균만을 구별하였다.

탄저균의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분석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Bacillus anthracis)

  • 김성주;박경현;김형태;조기승;김기천;최영길;박승환;이남택;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6-60
    • /
    • 2001
  • 탄저균의 분자적 다양성 분석은 다양한 DNA표지의 부족으로 쉬운 일이 아니어서, 본 연구에서는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PCR을 이용하여 Bacillus 속으로부터 탄저균을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DNA 표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RAPD-PCR을 이용한 분석은 다양한 Bacillus 종으로부터 탄저균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Bacillus 종 사이에서 확실한 유전적인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간단, 신속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탄저균을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면역체 분석을 위한 탄저균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의 구축 (Construction of the Genomic Expression Library of Bacillus anthracis for the Immunomic Analysis)

  • 박문규;정경화;김연희;이기은;채영규;윤장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1-26
    • /
    • 2010
  •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탄저(Antrax)의 원인균으로 사람은 물론, 초식동물인 소, 양, 말 등에서 급성의 폐사성 전염병을 일으킨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탄저 치료 및 예방법은 항생제 치료와 약독화 백신주를 토대로 하고 있으나, 항생제 내성주의 출현 및 잔류 병원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에 적용 가능하며 보다 안전한 탄저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탄저균 아포 및 영양세포, 그리고 탄저독소(Anthrax toxins)에 대한 동시 면역을 유도하는 다가백신 개발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탄저균에 대한 새로운 다가백신 후보물질 발굴을 위하여, 탄저균에 대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whole genomic expression library)를 구축하였다.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하여, 탄저균(ATCC 14578) 게놈 DNA를 Sau3AI으로 부분 제한효소 처리였고, 유도 발현이 가능한 pET30abc 벡터에 접합시킴으로써, 총 $1{\times}10^5$개에 해당하는 대장균 BL21(DE3) 유래의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중복성(redundancy) 확인 결과, 111개의 무작위 클론 중 56개(50.5%)가 탄저균 유전자로 확인되었으며, 17개(15.3%)는 벡터 유전자였고, 38개(34.2%)는 BLAST 탐색에서 일치하는 유전자를 찾지 못하였다. 또한 웨스턴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유도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탄저균 항혈청에 대한 colony blot으로부터 양성반응을 보이는 일부 클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은, 구축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가 향후 탄저균에 대한 면역체(immunome) 분석을 위해 적용 가능함을 암시한다.

고추 탄저병 정밀 탐색을 위한 영상분석 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Analysis Technique for the Precision Exploration of Chili Anthracnose)

  • 백정호;김년희;이은경;이홍석;김송림;박상렬;지현소;최인찬;김경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3-81
    • /
    • 2020
  • 전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고추 (Capsicum annuum)는 한국에서 소비가 많은 채소류 중 매우 중요한 작물중 하나이다. 고추는 생육기간 동안에 고추 탄저병에 심한 피해를 입어 방제나 저항성 품종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탄저병에 저항성이 있는 고추 4품종과 민감성을 가진 1품종에 대해 K1탄저균을 접종하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병 면적을 촬영하여 프로그램을 통해 정량화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고추과일 면적과 병면적의 비율을 통해 감수성 품종인 An-S는 약 40%로 약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품종인 An-12R (23%), AR-Tan (21%), An-9R (19%)로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고, PBC81는 약 11%로 탄저균에 강한 병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정량적인 수치는 탄저병 품종이나 탄저균에 대한 저항성 연구를 수행하는데 비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RI동정

  •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 동위원소뉴스
    • /
    • 10호통권58호
    • /
    • pp.6-7
    • /
    • 2001
  • PDF

Colletotricum coccodes에 의한 감자 탄저병(가칭) (Anthracnose of Potato Caused by Colletotricum coccodes)

  • 김병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43-544
    • /
    • 1998
  • 강원도 고령지 및 강릉에 재배중인 감자에 탄저병이 발생했다. 감자 줄기 및 잎의 병반에서 한 종의 진균이 계속 분리되었으며 이 균은 Colletotrichum coccodes로 동정되었다. 이 균을 감자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을 나타내었기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 균에 의한 감자 경엽의 탄저병 발생을 보고하며, 감자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활용한 생물작용제 검증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system of Detection for Biological Agents Using Real-Time PCR)

  • 차영길;구본우;김성주;김남일;박한오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26-732
    • /
    • 2017
  • Bacillus anthracis, Vibrio cholerae, Variola virus and Shigella dysenteriae are classified as category A and B biological weapons. In this study suggest that 4 genes of Bacillus anthracis, 2 genes of Vibrio cholerae, 1 gene of Variola virus and 1 gene of Shigella dysenteriae were detective 50~500 fg of target DNA per reaction using real-time PCR based assay. Also analytical specificity did not show any cross-reactivity with other related bacteria. Reliable and one reaction could be effective early diagnostic and treatment for detection of unknown sample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에 의한 Neoregelia carolinae Smith var. tricolor Hort. 炭疽病 (A New Anthracnose of Neoregelia carolinae Smith var. tricolor Hort.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 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6-117
    • /
    • 1987
  • 1985년 9월, 경기지방의 꽃 재배온실에서 네오레게리아(Neoregelia carolinae Smith var, tricolor Hort.)에 탄저병징이 심하게 발생하여, 병반에서 병원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균은 PDA배양에서 완전세대 Glomerella cingulata (Stonem.) Spauld. & v. Sch.의 자낭과 자낭포자를 형상하였다. 병징은 2-5mm 크기로 원형 내지 타원형의 적갈색 반점이며, 반점 주위는 황색을 띄었다.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잎의 대부분이 황갈색으로 변하여 말라 죽었다. 이 균의 분생포자현탁액을 네오레게리아에 분무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C. gloeosporioides에 의한 네오레게리아 탄저병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으므로 새로운 탄저병으로 보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