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저감건축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SYMPOSIUM - Wooden architecture as an alternative for carbon reduction In order to revitalize, detailed institutional revisions and government-level projects should be supported (좌담회 - 탄소저감 대안 목조건축 - 활성화 위해 섬세한 제도 개정과 관 차원의 프로젝트 뒤따라야)

  • 육혜민
    • Korean Architects
    • /
    • s.646
    • /
    • pp.18-25
    • /
    • 2023
  • 1월 13일, 건축사회관 2층 김순하홀에서 목조건축 활성화를 주제로 월간 건축사 좌담회가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탄소저감, 친환경 등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기 시작한 목조건축 활성화 과제가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는 주제라는 데 공감하고, 경제적·환경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목조건축의 방향성에 관해 논의했다. 현재 목재는 과거의 한계를 넘어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해 전통적인 목재 또는 목조 건축을 떠올리는 과거 시선에서 벗어나, 사양 중심이 아닌 성능을 중심으로 한 섬세한 기준의 제도개선과 그러한 제도가 뒷받침되는 정부 차원에서의 프로젝트가 필요하고, 또 건축사들의 적극적인 도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PDF

Analysis of Techniques for Carbon Reduction in Residential Construction (주거건축에서의 탄소저감을 위한 기법 분석)

  • Kim, Minsoo;Lee, Taeg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6 no.2
    • /
    • pp.9-16
    • /
    • 2024
  •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architectural field by 2050, this study analyzed the energy impact proportional to CO2 emissions of each technique, such as design methods, the properties of building structures, prefabrication methods, passive houses, and active facil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presented quantitatively in terms of carbon reduction, and corresponding housing cas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 is limited to residential buildings at the Passive House energy level, and carbon reduction techniques and elements in architecture are examin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d materials, and empirical cases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specific possibility of realizing carbon reduction in architecture. We want to secure i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explore various approaches to carbon reduction in future residential construction. By combining the most efficient techniques according to the energy reduction level or goal setting of the building in question, we expect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of carbon reduction in the residential sector more realistically.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 A Case Study of Jeonju Test-Bed - (도시재생사업 적용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 - 전주TB지역을 대상으로 -)

  • Park, Kiyong;Lee, Sangeun;Park, Heek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1
    • /
    • pp.65-74
    • /
    • 2016
  •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 countermeasure to resolve climate change issues by analyzing the carbon-reduction effect of Jeonju test-bed cases. First,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designed for city, Jeonju by analyzing its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tential improvement. Then, carbon emission and reduction amounts are evaluated for different businesses and scenarios. Carbon emission sour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standard suggested by IPCC, and the emissions are calculated by various standard methods. The result shows that carbon emission amount in Jeonju test-bed is 102,149 tCO2eq. The fact that 70% of the emission from energy sector originates from buildings implies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concentrate on building portions to effectively reduce carbon emission. It is also projected carbon emission will decrease by 3,826tCo2eq in 2020 compared to 2011, reduction mainly based on overall population and industry shrinkage. Wh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pplied to 5 urban sectors (urban environment, land use, green transportation, low carbon energy, and green buildings) total of 10,628tCO2eq is reduced and 4,857tCO2 (=15.47%) when only applied to the green building sector. Moreover, different carbon reduction scenarios are set up to meet each goal of different sectors. The result shows that scenario A, B, and C each has 5%, 11%, and 15% of carbon reduction, respectively. It is recommended to apply scenario B to achieve 11% reduction goal in a long term.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a valuable guideline for planning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relative policies by analyzing the present urban issues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Pore Characterisitics and Adsorp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agnesium Oxide Matrix by Active Carbon Particle Size (활성탄소 입도에 따른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공극특성과 흡착성능 평가)

  • Pyeon, Su-Jeong;Lee, Sa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1
    • /
    • pp.59-65
    • /
    • 2018
  • Radon gas is a colorless, odorless, tasteless gas that occurs when uranium, a natural radioactive material in rocks and soils, collapses. 85% of the annual radiation exposure of the human body is due to natural radiation, of which 50% is radon. According to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survey, 62 out of 1,000 smokers and 7 out of 1,000 nonsmokers are exposed to lung cancer when exposed to radon gas for a long time.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radon gas, activate carbon was used to fabricate matrix, and the pore properties and radon reduction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hen the activate carbon was used, the radon gas concentration wa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graph was changed as the measurement period became longer. The pore distribution and microporous properties, which are one of the material properties of activate carbon, can be grasped.

플로팅 건축에서 해수열 이용을 위한 수중 열교환기 성능예측에 관한 기초연구

  • Lee, Hyeon-In;Kim, Byeol;Hwang, Gw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1-112
    • /
    • 2011
  • 지구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저감 기술 개발과 같은 대응기술 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수 해양 공간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플로팅 건축물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 건축물 주변에 존재하는 신재생에너지 중 해수 열 이용을 위한 수중 열교환기의 성능을 FLUENT를 이용하여 예측 분석하였다.

  • PDF

Differences in Flood Runoff Regarding Climate Changes Utilizing GSSHA Model on the Bukhan River Basin (GSSHA를 활용한 북한강 유역 미래 홍수량 변화 예측 연구)

  • Shin, Jea-Whan;Jang, Suk-Hwan;Choi, Hong-Chan;Yoon, T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39
    • /
    • 2022
  •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한기후일수 증가, 이상기후 등의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이·치수 측면에서 물관리 정책 수립 등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악지형이 많고 수계형태가 복잡한 지형적 특성과 여름철에 연강수량이 집중되는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 대상 유역은 DMZ 이북의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북한강 전체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요 댐 유역별로 세분하여 6개 댐유역(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 팔당댐)에서 홍수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상류의 미계측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기반으로 매개변수의 물리적인 계산이 가능한 분포형 모형인 GSSHA 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실현 여부에 따른 저탄소 및 고탄소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미래 전·중·후반기의 기간별로 적용하여, 현재를 포함한 7가지 시나리오를 반영하였다. 연구결과, 미래 전반기에서는 홍수량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중반기 및 후반기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유역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탄소 배출 농도에 따른 평균 홍수량 변화율은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1.03 %에서 +4.01 %,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4.54 %에서 +17.73 %로 나타났다. 저탄소와 고탄소 시나리오를 비교하면 홍수량 변화율 차이는 미래 기간 및 소유역 마다 상이하지만, 최소 359 %에서 최대 527 %까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인류의 탄소저감 노력은 기후변화 자체를 막을 수는 없으나, 그 영향을 최대 5배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강 유역의 미래 기간별 확률홍수량 예측값 및 수문특성의 변화 전망을 주요 댐 유역에서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한 이·치수 정책 마련 및 접경지역의 재난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ntegrating Strategy of Low-carbon Urban Planning System (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의 통합화 방안 도출 연구)

  • Park, Chan Ho;Kim, Bum Se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2
    • /
    • pp.99-106
    • /
    • 2013
  •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modern society have achieved the industrialization but need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low-carbon green growth on a scale of urban area. Many studies about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are on going, but most of them are not integrated but go along in each area(construction, transportation, energy, etc)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about information system to design low-carbon city or green city, and define the method to integrate the outcomes from the each area. As a result integrated model of 'Low-carbon Urban Planning integrated System' in the paper, Individual system is developed by way of C/S form because web system raised problems for data load in analysis. The integrated system was decided to develop by way of Web form, and integrated system was developed by can use the analysed DB in the individual system. We expect this study can help future researches to develop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odel to design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Evaluation of temperature change by development phase in Gwangju area using the ENVI-met model (ENVI-met 모형을 이용한 광주 지역의 발전 단계별 기온변화 평가)

  • Sungshin Yoon;Munseok Lee;Yumin Kim;Chulsang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0-190
    • /
    • 2023
  • 습지, 호수 및 강 등을 포함하는 수체는 증발 및 비교적 높은 열용량을 통하여 주변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효과는 수체의 크기, 형태, 그리고 깊이 등 수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난다. 대부분의 경우 수체는 주변 기온을 저감시키지만, 특정 경우 반대로 기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불러온다. 아울러, 같은 수체라도 수체 주변 지역의 구조나 형태, 그리고 기후 조건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대부분 연구자는 수치해석, 원격탐사 기법, 혹은 관측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수체마다 기온변화 효과를 달리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대부분 국외에서 수행되어왔으며, 강, 하천, 그리고 호수 등이 주로 연구되어왔다. 탄소저감 및 높은 기후조절 효과를 가지는 습지는 물을 포함하고 있어, 당연히 수체로 취급될 수 있다. 습지의 다양한 기능 중 기온조절 효과는 습지의 가치 및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드시 연구되어야 한다. 국외의 경우,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연구가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수체의 기온조절 효과는 수체의 특성, 주변 지형의 특성, 그리고 기후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으로 국외 연구 결과들을 국내 습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습지에 대한 평가가 달리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를 평가하고자 광주호 습지를 대상으로 ENVI-met 수치해석 모형을 사용하여 그 지역의 여러 가상의 발전시나리오를 구축하고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주호 습지의 기온저감 효과는 약 2km 정도까지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규모는 기후 조건 및 주변 지형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low-carbon eco-friendly concrete using super-sulfated cement (고황산염 시멘트를 활용한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

  • Ki, Jun-Do;Lee, Sang-Hyun;Kim, Young-Sun;Jeon, Hyun-Soo;Seok, Won-Kyun;Yang, 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99-200
    • /
    • 2023
  • Eco-friendly concrete contains only 5% of cement yet achieves equal or greater strength compared to conventional concrete, reducing salt-attack impact and hydration heat by more than 30% and ensuring higher construction quality for underground structures. Furthermore, eco-friendly concrete can reduce up to 90% of carbon dioxide emissions compared to traditional concrete, enabling a reduction of approximately 6,000 tons of carbon emissions for 1,000 of apartment units construction. This is equivalent to planting around 42,000 tre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