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의 통합화 방안 도출 연구

A study on Integrating Strategy of Low-carbon Urban Planning System

  • 투고 : 2013.03.15
  • 심사 : 2013.04.30
  • 발행 : 2013.04.30

초록

현대사회가 산업화 되고 고도성장을 이룩하며 자연환경이 훼손됨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도시차원의 구체적인 실천대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에서 많은 저탄소도시 및 녹색도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에서는 저탄소도시 혹은 녹색도시 구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건축, 교통, 에너지 등 각 분야별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기에 각 분야별 연구 결과들이 통합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탄소도시 혹은 녹색도시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관련 연구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각 분야별로 도출된 결과물을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의하고자 한다. 논문에서 정의된 '탄소저감 도시계획 통합시스템'의 통합 모델로서 각 개별 시스템을 분석 시 데이터 로드 등에 대한 문제로 인하여 C/S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통합 시스템에 분석된 DB를 조회/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며, 통합 시스템은 Web으로 개발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연구개발 사업들에서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통합 모델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장에서 실제로 각 개발 성과물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modern society have achieved the industrialization but need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low-carbon green growth on a scale of urban area. Many studies about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are on going, but most of them are not integrated but go along in each area(construction, transportation, energy, etc)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about information system to design low-carbon city or green city, and define the method to integrate the outcomes from the each area. As a result integrated model of 'Low-carbon Urban Planning integrated System' in the paper, Individual system is developed by way of C/S form because web system raised problems for data load in analysis. The integrated system was decided to develop by way of Web form, and integrated system was developed by can use the analysed DB in the individual system. We expect this study can help future researches to develop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odel to design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Chang, Y. S; Oh, J. H; Kim, K. O. 2007, The Trends of Geospatial Web Technologie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Trends, 22(3):124-135.
  2. Jang, Y. S; Kim, J. C; Choi, W. G; Kim, K. O. 2009,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n Interfaced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1(1):17-24.
  3. Ki, H. Y; Yang, D. S; Byun, W. H; Wi, S. B; Jung, M. C; Sim, Y. H. 2009, The Development Architecture and Prototype of the U-City Integration Platform, Housing & Urban Research Institute.
  4. Kim, E. H. 2009, The Strategie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Geospatial Web Platform,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7(2): 171-181.
  5. Lee, K. S; SI, J. I; Mun, J. H. 2001, Internatioal Standard Trends Analysi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6. MLTM. 2010, Green Growth Plan for low-carbon, green growth and climate change response,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7.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2013, OGC Standard,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http://www.opengeospatial.org
  8. Park, Y. M; Keum, C. S; Yoo, H. K; Bea, H. J. 2010, Study on Service Platform for Convergence of Servic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Trends, 25(6):1-10.
  9. Yu, S. C; Kwon, Y. W; Wang, K. I. 2009, The Case Studies of Urban Policy for Green Growth,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3(3):471-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