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세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4초

탄소세 도입에 따른 국내 항만의 대응 방안

  • 임창원;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2-183
    • /
    • 2010
  •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하고 녹색성장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탄소세 도입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탄소세가 도입이 되고 있으며, 일본은 2011년도 2013년도에 탄소세 도입 및 실시가 예정되어있다. 이에 선진국들의 탄소세 도입 및 도입예정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에너지세제의 현황을 검토하여 탄소세 도입 형태 및 적정 수준에 대하여 검토하여 국내에 탄소세가 도입되었을 때 항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하고, 탄소세 도입에 따른 국내 항만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탄소세 도입에 따른 항만의 영향

  • 임창원;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8-71
    • /
    • 2010
  •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하고 녹색성장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탄소세 도입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북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선진국에서는 탄소세가 이미 도입 시행되고 있으며, 가까운 일본의 경우도 탄소세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들의 탄소세 도입 및 추진상황들을 분석하고, 국내의 탄소세 도입수준을 고려하여 탄소세가 도입이 되었을 때, 항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PDF

탄소세 도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 (The impacts of CO2 tax on the regional economies in Korea)

  • 조경엽;김영덕
    • 환경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123-159
    • /
    • 2013
  • 탄소세를 도입할 경우 국민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지역 다부문을 대상으로 동태적 연산 가능한 일반균형모형(MRDCGE: Multi-Regional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구축하였다. 기초적인 지역경제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공적인 경제전망 자료를 바탕으로 BAU를 도출한 후, 탄소세를 도입하였을 때 BAU로부터 얼마나 이탈하는지를 분석하여 탄소세의 지역별 효과를 평가하였다. 탄소세의 도입방안에 대해서는 우선 지역 개별탄소세와 전국 공통탄소세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개별탄소세의 경우 수도권, 경남권의 탄소세율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공통탄소세를 시행하였을 때의 탄소세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경제 전체적으로는 공통탄소세의 GDP 손실이 개별탄소세의 GDP 손실보다 적게 나타나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공통탄소세가 개별탄소세보다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탄소세를 시행하는 경우 정부는 탄소세 부과에 따른 세수입이 발생하며,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탄소세를 시행할 때 이 세수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탄소세에 의해 초래된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도 한다. 따라서 탄소세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세수환원 방안을 평가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세 가지 형태의 세수환원 방안을 설정하고 이들을 시행하였을 때, 경제적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평가하였다. 세수환원 방안으로는 소비세, 근로소득세, 법인세를 활용하는 방안 세 가지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법인세를 통하여 세수를 활용하는 방안이 GDP 손실을 가장 줄여주는 정책방안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공통세율 세수환원과 차등세율 세수환원에 대한 경제적 영향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민경제 전체적인 면에서 공통세율로 세수환원하는 방안이 차등세율 방안보다 경제적 손실을 더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탄소세는 전국 공통탄소세율로 부과하는 것이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효율적이며, 세수를 환원할 때는 법인세 중심으로 세수를 환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전국 공통세율을 통하여 세수를 환원하는 것이 국민경제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서도 바람직한 탄소세 도입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Carbon Pricing Score를 이용한 우리나라 탄소세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arbon tax in Korea using Carbon Pricing Score)

  • 조하현;김해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15-129
    • /
    • 2023
  • 본 연구는 탄소가격 수준을 나타내는 CPS를 통해 국내외 탄소가격을 비교분석하여,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분석결과, 탄소세 시행국의 탄소집약도가 미시행보다 낮게 나타났다. 탄소세 도입이 에너지효율성을 높이며 탄소배출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을 위해 요구되는 수준으로 탄소가격이 상승할수록 국내 CPS가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가정 및 상업부문에서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탄소중립에 필요한 탄소가격 수준에 이르기 위해 국내에 탄소세 도입이 필요하며, 특히 가정 및 상업부문에 우선적으로 탄소세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탄소세를 도입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탄소집약도 개선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META·Net모형을 이용한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정책효과 비교분석 (Analysis of the Impacts of Carbon and Energy Taxes on Energy on Energy System in Korea)

  • 신의순;김호석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2호
    • /
    • pp.275-29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부과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두 조세의 정책효과를 META Net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CGE 모형이나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상향모형인 META Net모형을 이용하여 탄소세와 에너지세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정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달성하는데 있어 탄소세가 에너지세보다 비용효과적이지만 국내 기후정책수단으로 에너지세 역시 중요한 정책수단임을 알 수 있다. 에너지세의 경우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소비가 더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기술 개발의 더 큰 유인을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세는 주어진 탄소감축량을 에너지 열량 기반의 조세를 통해 달성하기 때문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가격을 크게 상승시켜 탄소세에 비해 조세수입이 더 크다. 따라서 에너지세의 도입은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개발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탄소세 도입의 국제적 현황 (An Analysis of Implementation of Carbon Taxes in International Society)

  • 조승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9권1호
    • /
    • pp.209-228
    • /
    • 1999
  • 탄소세는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 교토의정서에서 채택된 시장원리 중심의 유연성체계 장치와의 결합선상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국제경쟁력 감소 총탄소배출량증가 등 잠재적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탄소세는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의무감축 수행을 위한 비용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볼 때, 지금까지 탄소세는 덴마크, 핀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북유럽 5개국이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갖가지 예외조항의 실시로 인해 본래의 의미인 환경보호는 소홀히 취급되고 경쟁력 약화 우려가 정책결정의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 PDF

탄소세 부과의 경제적 효과 - 에너지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분석 -

  • 이만기;김승수;문기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7권2호
    • /
    • pp.137-169
    • /
    • 1998
  • 본 연구는 탄소세 부과가 우리 나라의 에너지 및 국민 경제에 미치는 충격의 영향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경제 연계 계량경제모형을 수립하였는데 본 모형은 기존의 거시경제모형을 수정한 후 에너지 모형과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부문의 충격이 경제부문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탄소세 부과를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에너지가격의 상승과 에너지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제부문의 생산을 위축시키는 흐름도를 가정하고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탄소세 부과가 에너지 및 국민경제 부문에 미치는 효과의 측정은 에너지가격 및 수요변화, 국내총생산액의 변화 등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탄소 배출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탄소세가 상당히 높게 부과되어야 하며 전력가격 및 에너지가격의 상승에 미치는 효과와 국내총생산액 등 주요 경제 변수에 미치는 충격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량경제모형을 통하여 여러 가지 정책수단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책의 효과분석 및 동 분야의 향후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탄소세 정책과 배출권거래제 정책에 대한 후생 분석: 경쟁 이론을 중심으로 (Welfare Analysis of Carbon Taxes and Tradable Permit Allocations: A Contest Theory Model)

  • 이종화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3호
    • /
    • pp.421-447
    • /
    • 2016
  • 본 논문은 온실가스 저감 정책인 탄소세 정책과 배출권거래제 정책을 통해 창출되는 경제지대를 획득하기 위한 집단 간의 혹은 집단 내의 경쟁 상황을 분석한다. 집단 간의 경쟁상황인 탄소세 정책에 대해 구성원들이 결정하는 성과보수를 공시하는 경우와 공시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여, 배출권거래제 정책과 후생을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집단들이 성과보수를 공시하는 경우 집단 간의 과열경쟁으로 인해 탄소세 정책이 배출권거래제 정책보다 항상 후생이 작게 된다. 둘째, 집단들이 성과보수를 공시하지 않을 경우, 탄소세 정책의 집단 간의 경쟁이 완화되어 탄소세 정책의 후생이 증가한다. 만약 배출권거래제 정책의 오염배출권 거래량이 상당히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탄소세 정책의 후생이 배출권거래제 정책보다 더 크게 된다는 것을 보였다.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이용한 탄소세 부과가 철강 산업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 of the Carbon Tax on Steel Industry using System Dynamics)

  • 정석재;김경섭;박진원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1026-1032
    • /
    • 2005
  • 지구온난화 문제의 대표적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가 탄소세이다. 탄소세가 부과되면 에너지 집약 산업인 철강 산업에 커다란 영향이 있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탄소세 부과로 인한 파급 효과를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방법에 의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탄소세 부과 금액, 부과 방법, 신기술 도입을 고려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다. 또한 에너지 가격 상승률이 다양한 폭으로 변화하였을 때 철강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 PDF

탄소세를 고려한 변형된 캘리포니아 테스트를 이용한 24시간 전력공급 목적의 도서지역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금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sidy Level Decision for Island Micro Grid Construction Using Modified California Standard Practice Test)

  • 이홍관;윤석민;정우진;김정훈;황성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539-540
    • /
    • 2015
  • 지구환경 파괴의 주범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후변화 협약을 통한 각종 규제와 탄소세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탄소세는 국가입장에서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탄소세를 줄이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신재생에너지가 장려되고 있다.이러한 신재생에너지가 핵심인 Microgrid는 설비비가 비싸기 때문에 지원금을 지급해줘야 보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기존의 캘리포니아 테스트 방법을 변형한 새로운 방법으로 탄소세를 고려한 적정 지원금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사례연구는 필리핀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HOM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