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크로스미디어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온라인 구전 양상 (Online WOM Communication of Crossmedia Storytelling)

  • 서성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4-144
    • /
    • 2011
  • 미디어 간의 무한경쟁과 무한융합의 시대 속에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Crossmedia Storytelling)이 새로운 서사 양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TV, 영화, 웹서비스등 복수의 미디어에 대한 교차 활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이야기하기 양식이다.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OSMU전략과 구분되며, 또한 각 미디어의 서사체가 완결적이지 않고 복수의 매체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결합시켜야만 전체 스토리를 향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도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인 작품인 스웨덴의 인터랙티브 드라마 <마리카에 관한 진실>, 호주의 <스코츠드>, 미국의 <론리걸 15>등의 사례를 통해 크로스미디어 콘텐츠에 있어 사용자의 미디어 간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크로스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원리를 살피고,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과 같은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경우 핵심 콘텐츠의 환경 설정에 있어 사용자의 감정적 반응을 촉발함으로써 사용자 개입을 촉구하는 부정적 스토리가 효과적이며, 정보격차를 유발하는 스니저(Sneezer)의 설정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온라인 구전을 통해서 사용자 참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ASMD를 중심으로 (Cross-media Storytelling Strategy Utilizing N-Screen Service: Focusing on ASMD)

  • 신동희;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는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N스크린 서비스와 스마트 콘텐츠의 개념을 밝혔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N스크린 서비스는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서비스하는 OSMU 방식이 대부분인데, 이것은 미디어나 플랫폼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은 사업자 중심의 일방적인 서비스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크로스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ASMD 방식을 소개하였다. 스마트 미디어 종류에 맞는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사용자의 참여를 높여 수용자에게는 다양한 재미와 풍부한 콘텐츠 경험을, 개발업체에게는 홍보효과와 매출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로스미디어로 개발 된 국내외 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ASMD를 통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미디어와 플랫폼은 점점 다양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계속해서 OSMU 방식으로만 스마트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N스크린의 활용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크로스미디어를 통한 ASMD가 그 부분을 극복하는 방법에 휴리스틱하게 기여하고자 한다.

DTV 기반의 크로스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요소기술 (Cross-Media Service System Component Technology based on Terrestrial DTV)

  • 이동준;이재호;강대갑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3-146
    • /
    • 2009
  •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TV포털이나 IPTV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시청자들은 온디멘드 서비스에 익숙해지고 있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사는 방통 융합 서비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증가하고 있는 시청자의 온디멘드 서비스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사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운용비용이 많이 드는 인터넷과 같은 양방향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온에어 DTV 채널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접목하여 TV와 PC 나아가서는 모바일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에서 콘텐츠와 관련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DTV 기반의 크로스미디어 서비스가 적합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크로스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콘텐츠 제작 요소기술과 온에어와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와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요소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스페셜 리포트 - 적과의 동침 '크로스미디어'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4호
    • /
    • pp.50-55
    • /
    • 2013
  • 많은 사람들은 IT산업이 발달하고 통신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인쇄산업의 극단적인 쇠락을 전망해 왔다. 그리고 몇 년 전부터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의 성장은 이를 증명하는 확실한 근거가 돼 왔다. 그렇지만 이것이 반론의 여지가 없는 절대적인 진리일까? 미리 단정 짓지 말고 조금 더 진지하게 고민해 볼 문제다. 변화하는 환경에 보다 적극적이고긍정적인 자세로 접근한다면,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인쇄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미디어와 크로스미디어를 이룰 수 있는 콘텐츠 산업의 문화적이고 기술적인 뿌리이기 때문이다.

  • PDF

DTV 기반의 크로스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수신기 요소기술 (A Study on the Component Technology of DTV based Cross Media Service Receiver)

  • 이만규;권태훈;강대갑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7-150
    • /
    • 2009
  • 초고속 통신망의 발전으로 인터넷을 통한 고화질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IPTV 서비스 등이 등장하는 등 방송과 통신의 융합서비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IPTV 서비스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일정한 품질로 제공하기 위해서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망 구축이 필요하며, 오픈 네트워크인 기존의 인터넷과 달리 폐쇄적인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대용량 전송의 장점을 가진 방송망과 양방향 특성을 가진 통신망을 같이 활용하는 DTV기반 크로스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는 양방향 비디오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TV 시청자에게는 개인화된 형태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송사에게는 전통적인 사업모델을 탈피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 이미 유사한 개념의 서비스들이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방송망과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크로스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시청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수신기 요소 기술을 제안한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전송 기술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HTTP 기술과 방송망을 이용한 Push 기술을 활용하였고, 서비스 내용을 시청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표현 기술로서 TV용 브라우저를 목표로 설계된 CEA-2014 규격을 활용하였다. 또한 CEA-2014가 제공하지 못하는 더 필요한 기능들을 위해 수신기 API를 추가로 정의하였고,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위하여 메타데이터 모델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수신기 요소 기술들의 적합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핵심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모델을 만들고 이에 대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자동차 자동 주행 시스템을 위한 크로스 바 검출 (Cross-bar detection for automatic vehicle driving system)

  • 서원교;안재현;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0-121
    • /
    • 2012
  •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지능형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편의와 안전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서는 자동주행을 목표로 하는 여러 가지 영상인식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자동 주행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 중의 하나인 장애물 검출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 장애물들 중에 요금소나 진입통제 지역에 자주 나타나는 크로스 바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크로스 바의 경우 그 두께가 작아서 레이더로 잘 검출되지 않으므로 특히 영상처리로 검출을 해야 할 장애물에 속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상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크로스 바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영상 처리를 통해 바를 검출한다. 먼저 색상과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크로스 바의 노란색 영역이라고 판단되는 부분을 추출한다. 이들 가운데 수평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크로스 바로 판단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제동거리 밖에서 정확하게 크로스 바를 검출함을 보여준다.

  • PDF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웹툰 <미생>의 드라마 <미생>으로의 재매개- (A Case Study of Cross-Media Storytelling : Remediation of Webtoon to Drama Series )

  • 김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30-140
    • /
    • 2015
  • 미디어 플랫폼이 증가하고 콘텐츠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공한 콘텐츠를 다른 미디어 장르로 재매개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웹툰이 원천 콘텐츠(source genre)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웹툰 <미생>이 TV드라마로 재매개 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서사가 확장되고 개조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변형을 불러온 미디어의 특성과 수용자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특정 대상층을 목표로 하는 웹툰 <미생>이 바둑의 기보를 바탕으로 종합상사 비정규직 계약사원을 중심으로 직장인의 삶과 애환을 담담하게 그려냈다면, 보다 폭넓은 시청자를 확보해야 하는 TV드라마에서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의 애환', '직장내 성차별과 성희롱', '워킹맘의 애환' '신입 동기들간의 로맨스' 등 대중적 서사를 강화한 '확장'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 극적 재미를 위해 명확히 선악이 구분되는 인물 구도를 통한 갈등의 고조, 휴머니즘과 희극성의 강화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사용하였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비디오 게임의 메타적 재현 : 애니메이션 <게임오버>를 중심으로 (Meta-representation of Video Game through the Cross-media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Animated Motion Picture Game Over)

  • 조은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36
    • /
    • 2012
  • '크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이하 CMS)'은 미디어적 재현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하나의 매체가 지닌 속성을 다른 매체 속에서 해당 매체의 계기를 이용해 재현한다. 디지털 시대의 '재매개'가 기존 미디어 콘텐츠의 새로운 기술에 기반한 재전유라 한다면, CMS는 각 매체가 지니는 고유한 형식 속에서 다른 장르 경험의 계기들을 사용한다. 기술의 가능성에서 경험의 가능성으로 재현의 초점을 전환한다. 그런 의미에서 CMS는 기술에 의해 일방적으로 주도되지 않는, 매체 생태계 속에서 발아된 생존 전략이다. 그 사례로서 뉴 미디어의 대표 장르로 각광받는 게임을 소재화하여, 올드 미디어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통해 메타적으로 재현한 아담 페사파네(Adam PESapane)의 <게임오버>(2006)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일상적 관찰력과 시각적 상상력을 통해 게임의 서사적 연쇄를 부각시킴으로써 올드 미디어의 형식과 뉴 미디어의 내용을 결합하여 CMS의 조건을 경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크로스레이어 기반의 AMC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스케줄링 기법 (The Multimedia Service Scheduling method applying AMC based on Cross Layer techniqu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김경석;김주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38-1244
    • /
    • 2008
  • 현재의 계층 간 네트워크 구조에서 각 레이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가변하는 통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서로 다른 레이어 간에 통합 적응하는 크로스레이어를 디자인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로스레이어 기반의 스케줄링 기법에 대해 다룬다. 기존의 스케줄링 기법들을 살펴보고 향후 무선통신환경에서 적용될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른 스케줄링 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다양성을 반영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무선자원을 관리한다. 그리고 무선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MC를 적용하여 스케줄링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렇게 제시된 기법은 다양한 환경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액티브 크로스오버 회로를 이용한 국악 음악 모니터링 스피커를 위한 Pspice 시뮬레이션 (Pspice Simulation For Traditional Music Monitoring Speaker Used Active Crossover Circuit)

  • 주정현;박형도;김대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52
    • /
    • 2010
  • 최근 방송용 모니터링 스피커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보다 질 좋은 오디오 앰프를 싼 가격과 소형화 기술을 적용하여 앰프와 스피커 매칭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패시브 크로스오버 사용의 멀티웨이 스피커를 대체하여 액티브 크로스 오버를 사용한 멀티 앰핑의 액티브 스피커로 진화 하고 있다. 방송 스튜디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2웨이 액티브 스피커를 모델로 국악콘텐츠 모니터링에 최적화된 액티브 모니터링 스피커 구현을 위한 크로스오버 회로를 설계하고 전자회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Pspice를 이용하여 최적의 국악콘텐츠에 적용하기위한 크로스오버 주파수구현을 위한 소자 값들을 찾아내어 실제 제작회로에 적용 시 경비 절감과 개발시간을 단축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