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슬래브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43초

표준화재 재하조건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피복두께에 따른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Behavior of Concrete Void Slab under Standard Fire with Loading Condition)

  • 김흥열;김형준;조범연;여인환;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64-72
    • /
    • 2011
  • 기존의 무량판 구조와 동일한 콘크리트 중공슬래브구조는 구조적 하중지지 성능이 불필요한 슬래브 단면상의 중앙부 콘크리트를 제거하여 슬래브의 자중을 줄이고 무량판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점을 극대화시킨 구조형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공법의 실제 스팬길이인 7.5 m에서 슬래브 피복두께에 따른 화재거동 영향성 분석을 위하여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조건은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을 고려하여 실험체에 등분포 조건으로 사전 재하하였으며, 표준화재조건으로 재하가열 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래브의 화재가열 노출면으로부터의 깊이별 온도변화와 처짐변형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KS F 2257-1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피복두께 50 mm를 확보할 경우, EPS 중공체로 제작한 실험체의 경우 약 2시간 정도의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캐스트 패널의 양중에 따른 거동 계측 연구 (Behavior Monitoring of Precast Concrete Panels in Lifting)

  • 양성철;김성민;한승환;윤상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1-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도로용 패널로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중, 이동 및 설치 등 제품의 제작 및 시공 시 발생될 수 있는 양중에 따른 안전 설계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축소형 슬래브(Full-scale용 슬래브의 1/2 크기 규모로 $1.8m{\times}3m{\times}0.15m$) 2개와 Full-scale용 슬래브($3.9m{\times}5.95m{\times}0.29m$) 1개를 제작하였으며, 콘크리트 및 철근 게이지를 설치하여 슬래브의 양중 및 트럭에 적재하여 이동 시 급작스런 동적거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축소형 슬래브의 경우 60도로 양중 시 정지상태의 변형률에 비해 약 3.54배의 변형률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Full-scale용 슬래브는 양중 및 운반 중의 동적 거동을 계측한 결과 동적변형률이 그리 크지는 않아 양중과 운반 시에 파손될 염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채택한 양중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철근콘크리트 중공 하프슬래브의 구조성능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Half Slabs)

  • 황현복;김상우;황현식;이기장;이정윤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45-4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중공 하프슬래브의 중공형상을 제안하고 휨성능을 검증한다. 실험은 총 2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중공재료는 자중과 진동 감소를 위하여 스티로폼을 사용하였다. 1단계 실험은 중공형상과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총 3가지 중공형상(구형, 4면 절단형, 5면 절단형)이 사용되었다. 1단계 실험결과로부터 콘크리트 체적 감소율이 높으면서도 균열패턴이 바람직한 중공형상 및 간격을 결정하였다. 2단계 실험에서는 1단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된 중공형상과 간격을 가지는 중공 하프슬래브 실험체의 휨성능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제안된 중공형상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중공 하프슬래브는 휨강도와 연성측면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였다.

  • PDF

AFRP 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의 충격 특성에 관한 연구 (Impact Characteristics of AFRP Reinforced Concrete Slab)

  • 박승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92-500
    • /
    • 2018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근거로 충격하중 재하시 신소재 섬유로 보강한 콘크리트 슬래브 거동을 연구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알루미늄 섬유를 이용한 AFRP로 보강한 콘크리트 슬래브 중앙의 강재를 자유낙하 시켰을 때 충격실험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신소재를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재로 이용하는 연구는 정적 하중하에서 휨 및 전단에 관한 연구나 반복하중 하에서 피로하중에 관한 연구와 PC 보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등이 많이 보고 되고 있다. 결론: 신소재를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근으로 이용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섬유로 보강된 조립상 AFRP 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여 동적거동에 대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단 보강 슬래브-기둥 내부 접합부 및 기초판에 대한 뚫림 전단강도 모델 (Direct Punching Shear Strength Model for Interior Slab-Column Connections and Column Footings with Shear Reinforcement)

  • 최경규;김석환;김동훈;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59-16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뚫림 전단을 재하받는 전단 보강/전단 무보강 슬래브-기둥 내부 접합부와 기초판에 대하여 개선된 설계 방법을 개발하였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와 기초판의 다양한 파괴 메커니즘(경사 인장 균열 파괴, 전단 보강근의 항복, 콘크리트 압축대/스트럿의 압축 파괴)을 고려하여 뚫림 전단강도를 산정하였다. 콘크리트 위험 단면에 작용하는 뚫림 전단은 대부분 콘크리트 압축대에 의하여 지지된다고 가정하였으며, 콘크리트 압축대의 뚫림 전단강도는 압축 수직 및 전단의 조합 응력을 재하받는 콘크리트 재료 파괴 기준에 근거하여 산정하였다. 제안된 강도 모델은 실험 결과 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제안된 설계 방법은 전단 보강 및 전단 무보강 경우에 대하여 현행 KCI 설계기준 보다 우수한 강도 추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플랫 플레이트 시공하중에 대한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 효과 분석 (Analytical study for effects of shoring stiffness and slab cracking on construction loads of flat plates)

  • 김재요;황현종;박홍근;홍건호;임주혁;김용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38-441
    • /
    • 2009
  • 휨강성이 작은 바닥시스템인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응력조건 뿐만 아니라 사용성조건에 의하여 구조적 성능이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과도한 시공 하중의 작용은 시공 중 안전성에 대한 단기적인 손상 뿐만 아니라 사용성에 관련된 장기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랫 플레이트의 시공하중은 동바리지지 층 수, 시공주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재료적인 강성 뿐만 아니라, 동바리의 강성과 슬래브에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설계조건에 대한 해석연구를 통하여, 동바리-슬래브의 강성비 변화 및 콘크리트 균열에 의한 단면강성저하가 슬래브들 간의 하중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의 영향을 고려한 시공하중 산정법을 제안한다.

  • PDF

표준화재 재하조건에서 법정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Legal Slab under Standard Fire with Loading condition)

  • 조범연;여인환;김흥열;민병렬;김형준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15-1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법정내화구조로 규정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조 및 철골철망모르타르(SWM: Steel & Wire Mortar)조 슬래브에 대하여 재하조건에서 구조별 내화성능을 검토하고, 철골철망모르타르조 슬래브에 대해서는 피복두께별 내화성능을 검토하고자 표준화재조건에서 내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동일피복 두께일 경우 철근콘크리트조 슬래브가 내화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골철망 모르타르조 슬래브의 경우 피복두께가 10mm 증가 시 7%의 내화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이면온도는 슬래브의 두께가 늘어날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프리스트레스트 중공 슬래브와 현장타설된 토핑콘크리트의 수평전단성능 평가 (Evaluation of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Hollow-Core Slabs with Cast-in-Place Topping Concrete)

  • 임주혁;박민국;이득행;서수연;김강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741-749
    • /
    • 2014
  • 프리스트레스트 중공(PHC) 슬래브는 장경간에 적합하도록 경량화된 효율적인 프리캐스트 부재이며, 국내 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현장타설콘크리트와 같이 사용되는 합성슬래브 형태로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PHC 슬래브 부재는 매우 낮은 슬럼프의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타설 직후에도 표면경도가 높기 때문에 계면의 거친면 처리 및 전단연결재 배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PHC slab 부재와 토핑콘크리트 사이의 합성성능을 고찰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면상태를 변수로 직접전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실험결과를 수집하여 국내 외 수평전단강도 설계기준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한 프리캐스트-프리스트레스트 중공슬래브의 전단강도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Precast-prestressed Hollow Core Slabs Based on Experiments)

  • 한상환;문기훈;강동훈;임주혁;김용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635-642
    • /
    • 2014
  • 일반적인 슬래브대신에 중공슬래브를 사용함으로 콘크리트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하지만 중공슬래브는 복부에서 콘크리트단면의 감소와 전단철근을 배근할 수 없기 때문에 전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프리스트레스트 중공슬래브를 실험을 기반으로 전단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단강도실험은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수행하였으며, 전단강도는 현행기준인 EC2, ACI, EN1168, AASHTO로 평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집중하중 조합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설계 휨 내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Point Loads on the Design Flexural Capacity for Fiber Reinforced Concrete Floor Slab)

  • 이종한;조백순;김정식;조범구;김한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7-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주요 설계하중인 선반하중과 이동하중에 의한 휨 내력을 평가하였다.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각 하중의 크기와 작용면적을 정의하였으며,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일하중에 의해서는 슬래브 경계면에서 휨 내력이 평가되어야 하며, 슬래브 두께 180mm 이상, 콘크리트 강도 35MPa 이상일 때는 최소 등가 휨강도비로써 휨 내력을 충분히 만족하였다. 조합하중에 의해서는 선반하중간의 조합이 가장 큰 등가 휨강도비를 요구하였으며, 선반하중과 이동하중의 조합은 선반하중간의 조합에 비해서는 작게 평가되었고, 단일 하중에 비해서는 크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휨 설계는 하중 조합에 의한 내력 평가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