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방식 공법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4초

포장궤도 골재용 도상자갈의 건식 블라스팅 효율 향상 연구 (Improvement of Dry-blasting Efficiency for Ballast used as Aggregate of Paved Track)

  • 이일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78-83
    • /
    • 2010
  • 포장궤도에서는 프리팩 콘크리트방식으로 도싱자갈을 충전층의 골재로 활용한다. 골재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모르터와의 부착력이며 이를 위하여 표면의 불순물을 최대한 제거하여야 한다. 국내에서 개발한 포장궤도 공법에서는 기존의 수세척방식을 대체하는 친환경 건식세척기술을 개발하였다. 건식세척은 직경 0.3~0.5mm 내외로 파쇄한 경질 재료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골재 표면을 박피시키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라스팅기술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운용중인 장비조건하에서 분사 재료 및 시간 별 골재 잔입자 함량, 염화물 함유량, LA마모율, 압축강도시험 등을 실시하여 가장 효율적인 세척 재료 및 공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철근연결용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이음 및 부착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Bond and Splice Performance of Splice Sleeve for Connecting Rebar)

  • 강덕만;박용걸;이현기;문도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57-264
    • /
    • 2017
  •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품질화와 시공 효율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 적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PC공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부재접합부에 철근이음을 통한 구조체의 연속성 및 일체성 확보가 공법의 주요 현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근연결용 스플라이스 슬리브 적용에 대한 이음 및 부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철근의 직경, 철근 정착길이 및 그라우트 강도 등에 대한 변수를 설정하고 철근의 정착길이 및 그라우트 강도에 따른 이음부의 성능 및 강성을 평가하며, 각 변수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스플라이스 슬리브가 철근연결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철근연결용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성능 및 강성은 철근의 정착길이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라우트 강도에 따른 부착 및 성능 증진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전자파 차폐효과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ivenes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이규필;장수호;최순욱;배규진;박영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07-115
    • /
    • 2015
  • 전력구 방식의 지중 송전선로 시공시 TBM 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세그먼트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이용한 세그먼트의 개발과 사용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지중 송전선로 구간에서의 전자파 유해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세그먼트 제작시 투입되는 강섬유의 영향으로 콘크리트의 전기전도성 등이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더 많은 전자파가 지상에서 계측될 수 있다는 우려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 보강 유무 및 사용량 변화조건에 따른 전자파의 차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가지 조건에 대한 실험체를 제작하여 관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강섬유 보강콘크리트와 전자파 발생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플(Waffle) 형상을 가지는 PC슬래브의 보-슬래브 접합 성능 (Performance of Beam-Slab connection of Waffle Shape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lab System)

  • 허석재;김현진;유한국;최경규;조승호;정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21-24
    • /
    • 2008
  • 더블T 공법(DTS)의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와플 형상을 가지는 PC 슬래브(이하 WAS라 칭함)의 접합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역T형 보(ITB)와 접합된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PC 공장에서 ITB에 WAS를 걸친 후 충전재료를 채워 넣어 조립한 후 충전재료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총 3개 제작하였고, 변수는 전단키의 폭과 충전재료의 종류(덧침 콘크리트, 무수축 모르타르)로 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고, 접합성능 실험체의 변위 및 내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전단키 폭은 접합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충전재료의 다짐이 충분한 최소한의 전단키 폭으로 설계하여도 내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두 부재간의 접합 부분 충전재료로 덧침 콘크리트와 무수축 모르타르를 사용한 결과, 두 재료 모두 내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덧침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OM 방식 3D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생산 프로세스 및 Mock-up test (The Production Process and Mock-up Test of Freeform Concrete Segments using LOM type 3D Printer)

  • 이동윤;이동민;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9-98
    • /
    • 2018
  • 최근 비정형 건축물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비정형 건축물 시공기술에 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시공기술은 거푸집으로 제작하는 것에 많은 시공기간과 공사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생산 시 생산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LOM 방식의 3D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생산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Mock-up test를 통해 생산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산 프로세스는 기존 강재 거푸집을 이용한 시공기술 대비 약 47.8% 제작기간 단축 효과와 56.2%의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인 3D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생산 프로세스는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생산의 생산성 향상을 비롯한 비정형 건축물 시공의 새로운 공법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통형 연결재로 연결된 PC 보-기둥 맞댐 접합의 내진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Seismic Performance of Precast Beam-Column Joints with Thru-Connectors)

  • 박순규;김민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41-450
    • /
    • 2010
  • 건식공법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접합 방식과 차별화 되는 PC 보-기둥 접합부를 개발하여 실용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속된 PC 기둥 양편에 위치한 보의 접합 단부를 고강도 관통형 연결재로 긴장하여 연결하는 'PC 보-기둥 맞댐 접합(BCJ_TB : precast beam column joints connected with thru-connects)'을 고안하고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강도저하, 초기강성, 강성저하, 에너지소산능력 등의 내진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기둥에서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 단부에서 압축파괴가 발생하는데, 이는 비부착 연결재의 초기긴장과 비부착 효과에 의하여 보 단부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 접합 단부에 CFRP로 구속 효과를 준 접합부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고 네오프렌 패드로 보 기둥 접합면을 연결한 것이 다른 것에 비하여 초기강성을 제외하고는 우수한 내진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부착 연결재를 사용한 접합부의 파괴모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 단부 콘크리트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고, 연결재의 변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양날개 돌출형 방수시트를 이용한 접합부 탑다운 2중 보강방식 복합방수공법의 개발 연구(Mock-Up Test) (Development of combined waterproofing method of top-down double reinforced method using two-blade protruding waterproof sheet(Mock-Up Test))

  • 최은규;송제영;이선규;박종선;김병일;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9-280
    • /
    • 2018
  • The waterproofing material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coating material and a sheet waterproofing material. In the case of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s, sheet waterproofing materials, which are easy to use in terms of workability and quality control, have been recently used because of their incomplete use of coating thickness, long curing time and poor blending due to in situ blend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sheet waterproofing material, since the sheet overlapping portion is inevitably generated, various defects (breakage due to the behavior) are frequently observed.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fundamental measures to minimize this.

  • PDF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8호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RC슬래브의 처짐제어를 위한 상향긴장식 부분PT공법의 적용 (Applicability of Partial Post-Tension Method for Deflection Control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 이득행;김강수;김상식;김용남;임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347-358
    • /
    • 2009
  • 최근에 들어서 국내에서도 무량판 구조 (flat plate slab)가 적용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무량판 구조는 보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라멘구조형식에 비하여 처짐 제어가 어려우며, 포스트텐션 (post-tension) 공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포스트텐션 구조를 적용하면 슬래브 두께의 증가 없이도 효율적으로 슬래브의 처짐을 제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포스트-텐션의 적용은 비용증가, 기술적인 문제, 경험부족 등으로 인하여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전구간 포스트텐션 (full-PT)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기존 포스트텐션 구조형식의 시공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 내부에서 긴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향긴장식 부분PT공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상향긴장방식은 정착구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처짐 효율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정착구 후면에서 인장응력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향긴장식 부분PT공법 적용할 때 정착구 위치에 따른 처짐효율분석, 유한요소해석 및 스트럿-타이를 이용한 인장응력 또는 인장력 해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상향긴장식 부분PT공법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계측결과를 해석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장적용성을 알아보았다. 상향긴장식 부분PT공법은 처짐 또는 인장응력이 크게 발생되는 부분 구간에만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적은 비용증가로 큰 처짐효율을 얻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층 분리주입을 이용한 도상자갈 무교환방식 급속경화궤도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stimation of Ballast Non-exchange-type Quick-hardening Track Using a Layer Separation Pouring Method)

  • 이일화;정영호;이민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43-551
    • /
    • 2015
  • 급속경화궤도는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개량하는 공법으로서 야간 차단시간에 공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속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공시간의 대부분은 자갈을 철거하고 재포설하는 과정에 소요되는데 도상자갈을 교체하지 않는 무교환방식이 적용 가능하다면, 시공시간 및 공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상자갈 무교환방식의 급속경화궤도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침투성이 매우 높은 대체 충전재를 제시하고 재료의 공극조건을 고려하여 층별로 분리주입하는 시공방식을 도입하였다. 분리주입은 공극률이 높은 상부도상층과 공극률이 낮은 하부 혼입층에 최적화된 재료를 분리 주입하여 필요한 소요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도상자갈의 크기, 분포도, 형상에 따른 공극률, 공극의 크기, 유효길이, 비틀림도, 침투성에 따른 충전재의 유동학적 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충전재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하부 혼입층에 충전되는 1차 충전재료는 세립화 도상의 충전성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머계 재료를 도입하였으며, 상부 도상층에 충전되는 2차 충전재는 상온 반응성 마그네시아-포스페이트(MPC, Magnesium-Phosphate Ceramic)를 도입하였다. 선정재료 및 구조에 대한 역학시험 결과, 기존 급속경화궤도에 준하는 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