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이용교육

Search Result 1,47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aph Component for Math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을 위한 그래프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

  • Shin, Woo-Chang;Lee, Soon-Young;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730-737
    • /
    • 2004
  • 오늘날 사회 전반에 걸쳐 컴퓨터가 활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 분야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서비스가 더욱 편리하고 신속해졌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교육에 있어서도 컴퓨터를 이용한 수학교육이 많은 기대와 관심을 받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수학교육에 있어서 컴퓨터의 활용은 빈약한 수준이다. 이는 수학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인 수업참여를 지원해줄 다양하고 효과적인 수학교육 프로그램과 콘텐트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수학교육 콘텐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각 교육내용에 적합한 형태의 콘텐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기능의 개발 라이브러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수계산 기능을 포함한 그래프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컴포넌트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함수와 기하 도형을 화면에 표현하는 기능이 필요한 수학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콘텐트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Mathematics Edutainment Design (산수 교육용게임 기획에 관한 연구)

  • Shin, Y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43-146
    • /
    • 2001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용소프트웨어인 코스웨어는 컴퓨터를 이용한 반복학습과 교사가 없이도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으나 학생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능동적인 교육을 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코스웨어와 게임의 결합인 교육용게임은 자발성, 흥미성, 교육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취학아동을 위한 기존 산수 교육용게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Advancing Educational Assessment (교육 평가의 혁신을 위한 테크놀러지의 활용)

  • Park, J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112-121
    • /
    • 2005
  • 평가는 교수와 함께 교육 목표를 이루는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평가는 교수법의 발전 속도에 비교하면 상당히 느릴 뿐만 아니라, 교사는 물론 학생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추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험이 학생들을 동기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중요한 학습 경험임을 강조하면서, 학습을 위한 평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평가 방식들을 소개하였다. 개발을 물론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진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평가 기법을, 수행평가와 선다형의 개선안으로 대별하였다. 수행평가를 위한 기법에서는 논술채점, 지식 지도 제작법, 그리고 학습자 모형을 이용한 평가기법이, 선다형의 개선안으로 적응형 컴퓨터화 검사, 다중평가 및 변형선다형 방식이 각각 상술되었다. 결론에서는 평가를 통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물론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태도 변화 교육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기법의 개발과 보급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 PDF

Si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Potential Field Based Self-Deployment Scheme in Mobile Sensor Robot Networks (이동 센서 로봇 네트워크에서 포텐셜 필드 기반 자율배치기법의 시뮬레이션 및 구현)

  • Kang, In-Seok;Kim, Young-Hwan;Kim, Chan-Myung;Han, 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35-638
    • /
    • 2011
  • 기존 센서들은 고정형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재난지역, 군사지역 등의 지역에서는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관찰영역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이동 능력을 가진 센서들이 스스로 주변 센서들의 위치와 장애물의 위치를 이용하여 자율 배치된다면 센서들의 관찰영역을 보다 많이 확보하면서 보다 더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 공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Player/Stage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제 환경과 같은 가상의 환경에서 포텐셜 필드 방식을 적용한 센서 로봇 집단의 자율 배치 기법을 모의실험하고 검증한다. 또한 그 자율 배치 방법을 이용한 실제 이동 센서 로봇집단의 구현 내용 및 결과를 제시한다.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algorithms with analysis of algorithms (알고리즘 분석을 통한 컴퓨터교육에서의 알고리즘 교육의 방향)

  • Hong, Soon-Jo;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36-241
    • /
    • 2004
  • Algorithms is defined "step-by-step procedure for accomplishing a task that we wish to complete." Algorithms has much educational values. Already many scholar is making researches about paper-and-pencil algorithms in mathemat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algorithms with analysis of algorithms

  • PDF

The Study of the Improvement of Nursing Department Computer Education to the Adaptation for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병원정보시스템 적응을 위한 간호학과 컴퓨터 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houng, Hye-M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4
    • /
    • pp.59-69
    • /
    • 2008
  • This study show the improvement of the capability of the handling computer in the job to students in science of nursing though the investment of the capacity of the computer application and the realities of handling computer in real. A 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currently in the view point of system management, the hospital works is manage by the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teaching of the computer application capability for the information in science of nursing must not be the one-way by supplier like one of the survey courses but must be adapted at real condition and to be focused to learner. Thus, we suggest that the education of the science of nursing should be changed from one of the survey courses to the education of the acquirement and experience on information system knowledge.

  • PDF

Association between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omput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the Elderly (노인의 전산화 신경인지 검사와 만족도, 컴퓨터 이용경험 사이의 연관성)

  • Moon, Jong-Hoon;Yang, Seung-Bum;Jeon, Min-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9
    • /
    • pp.452-4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 Test), comput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e recruited 52 healthy elderly persons (25 males and 27 females) for this study. The subjects did the CN Test (accuracy, response time) and evaluated their comput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CN Test. We used the independent 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elderly without computer experience were older than the elderly with computer experience (p < .05) and education level was lower (p < .05). The elderly with computer experience were higher the satisfaction than the elderly without computer experience, the CN Test was more accurate, and response time was faster (p < .0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er the age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accuracy of the CN Test and the faster the response time (p < .05).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education level (p < .05).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N Test by the elderly has a moderat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nd computer experience.

A Study on Development of Computer Teaching -Learning Model through Analysising Other Subject Teaching-Learning Model (타교과 수업모형 분석을 통한 컴퓨터교과 수업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Kwang-Woo;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02-110
    • /
    • 2004
  •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필수적으로 36시간 이상의 수업을 하도록 전장하고 있다. 이에 각 시 도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도 나와 있다. 그러나 컴퓨터 내용학에 관한 교수 모형은 타 교과에서 만들어진 것을 차용하거나 컴퓨터 교과에 무리하게 적용한 것이 대부분이라 하겠다. 또한 컴퓨터 내용학보다는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기능 위주의 교육 내용 편성이 대부분이라 내용학을 다루는 것은 극히 일부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내용학의 교수 모형을 제시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내용학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에 연연하고 있는 재량 활동 시간의 정보통신교육보다는 앞으로 정규교과목으로 지정될 것을 전제로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한 교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to Improv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WBI (WBI를 이용한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개선에 관한 연구)

  • Jung Kyu-Cheol;Jang Hae-Suk;Lee Chung-Kook;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669-672
    • /
    • 2004
  • 인터넷과 웹의 급속한 성장은 전반적으로 우리사회에 영향을 미쳤고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함양을 위해 정보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교육정보화 사업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는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정확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제시되어있지 않고 재량활동의 일부분으로 컴퓨터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마땅한 컴퓨터 교재와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체계적인 컴퓨터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웹 기반 교수-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고 학습자에게 학습과정에 대한 자기 평가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인식과 주도성을 증진시키고,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는 올바른 패러다임을 모색하였다.

  • PDF

A design of Phased Education System for Computer Study on Elemantly School using Push-Server Technology (초등학교 컴퓨터 수업을 위한 Push 서버를 이용한 단계별 교육시스템 설계)

  • Nam, Soon-Hyun;Oh, Youn-Joo;Han, Dong-Woo;Youn, Su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085-1088
    • /
    • 2002
  • 제7차 교육 개혁 후 초등학생들에게도 컴퓨터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주어졌다. 환경의 변화에 따라 초등학생들을 위한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개인 수준별 컴퓨터 수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초등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과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이 진행중이나 개인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컴퓨터 수업의 활발한 진행과 개인별 수준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 Push 기반 단계별 교육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Push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능동적 학습참여와 개인별 수준을 고려한 수업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에 맞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