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커뮤니케이션 효과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27초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외집단불안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ge Stereotype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Intergroup Anxie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 양정은;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64-477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성세대와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인 '고정관념'이 세대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외집단불안의 매개효과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집단 불안은 고정관념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로는 성별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영향을 주었으나 외집단 불안이 직접적으로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여학생 집단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은 집단의 경우 외집단 불안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능력과 관련된 고정관념보다는 인품과 관련된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의 관계 탐색 :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문화의 조절 효과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Cultur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이건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76-388
    • /
    • 2013
  • 본 논문은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이라는 조직 성과를 높이는 데 직무 만족과 상호작용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문화, 그리고 경영진에 대한 신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추적하였다. 창원지역 기계금속 업종 근로자로부터 표집된 설문 자료를 토대로 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세 가지 조직 환경 변인과 직무 만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의미 있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검증된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생산성 향상보다는 품질 개선이라는 성과 변인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예상 가설과 달리 커뮤니케이션이 비활성화되고 낮은 경영진 신뢰의 조건에서 직무만족과 품질 개선 효과는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커뮤니케이션과 신뢰의 부적 조절 효과). 마지막으로 수평적 조직문화의 조건에서, 그리고 갈등적 노사관계의 조건에서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미와 함의에 대해 추가적인 논의를 포함하였다.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연구 (Effect of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김연선;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12-421
    • /
    • 2018
  • 본 연구는 호텔 조직과 호텔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들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한 연구이다. 중간관리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80부였고,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의 검증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하여 부분채택되었다. 가설 2,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의 검증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하여 부분채택 되었다. 가설 3, 호텔 중간관리자의 조직몰입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검증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4,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위성영상방송 효과 연구(은행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as a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Medium(focusing on banks))

  • 김형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0-311
    • /
    • 2010
  • 현재 은행들은 종합금융서비스업(Total Financial Solution)인 금융그룹화 추진에 비 은행 사업 분야를 보완하여 금융 업무 대형화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화된 은행권에서는 계열사 간 커뮤니케이션 부재를 해결하고, 각기 다른 기업문화를 통합 할 수 있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위성영상방송을 찾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화된 은행 내 조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위성영상방송이 조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PDF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f Organization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or Collaboration)

  • 김성윤;이명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98-5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부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과에 미치는 관계 및 온라인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보교환과 대인관계는 정보공유에, 정보교환, 의사소통, 대인관계는 협업문화 및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협업성과요인은 모두 직무만족에, 업무성과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보교환과 대인관계는 모든 협업성과 요인을 통해, 의사소통은 협업문화, 업무성과 요인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보교환, 의사소통, 대인관계는 협업문화와 업무성과를 통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온라인협업도구는 대인관계와 정보공유, 상호협력과 협업문화, 정보교환과 업무성과, 업무성과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내내부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을 고려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를 구축 및 활용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객 접점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과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판매원 신뢰성과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on Emotional Responses and Store Loyalty at Customer Contac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alesperson's Attributes -)

  • 김숙희;김용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289-314
    • /
    • 2013
  • 본 연구는 고객 접점에서 판매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과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판매원이 갖추고 있는 속성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고객 접점에서 고객과 판매원 사이에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과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외에 환기에 미치는 영향 또한 고려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과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과 함께 그 두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판매원의 속성인 신뢰성과 매력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Amos4.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에 따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이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과 함께 환기에 미치는 영향 또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정적 반응 또한 점포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판매원의 속성에 따라 차이가 있어, 커뮤니케이션과 판매원 속성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 연구들의 실증적 재확인을 넘어, 판매원 속성을 포함한 변수들 간의 관계 전반에 있어 이론적인 확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위험감수성 및 진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상길;인재만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1-214
    • /
    • 2020
  •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비즈니스의 세계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향후 비즈니스의 키워드는 디지털로 수렴하는 비대면(Untact)이라 할 수 있다. 즉 디지털을 향해 가속페달을 밟을 것이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비즈니스가 주목받게 될 것이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쏠리면서 디지털 미디어 활용역량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코로나 사태가 모든 접점에서 디지털화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준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위험감수성 및 진취성의 매개효과를 반영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에 있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 역량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이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PDF

기업의 융복합 문화경영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Corporate Cultural Management Activities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 주현정;김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91-206
    • /
    • 2015
  • 융복합 시대에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이 직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등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기업의 문화경영이 조직 효과성의 행동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여, 기업 문화경영의 가치와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은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기업 문화경영 활동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 자체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며, 문화경영 활동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될 때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서비스 접점에서 판매원과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Salesperson's and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t Service Encounter)

  • 김경애;김상희;박만석;박재범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45-71
    • /
    • 2011
  •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며 또한 이 과정에서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인 성별이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은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고객의 행동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다면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단서가 고객의 비언어적 단서에 영향을 미치고 고객의 비언어적 단서가 고객의 감정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고객의 성별에 따라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신체언어가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신체언어가 여성이 남성보다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신체적 외형이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고객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감정은 고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정서감염과 모방현상을 통해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며 고객은 안면피드백을 통해 다시 자신의 감정을 형성하는 근거로 삼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의 긍정적 반응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 PDF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f Doctor on Pati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rust)

  • 이종학;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8-286
    • /
    • 2013
  • 본 연구는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촉진요인, 금지요인)이 환자 참여(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둘째,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환자참여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확인이며, 이를 위하여 국내 종합병원의 환자 301명을 대상으로 SPSS 19.0을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촉진요인은 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금지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의 조절효과는 촉진요인과 감정적 참여간, 촉진요인과 정보적 참여간에서 발견되었으며, 신뢰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촉진요인은 감정적 참여와 정보적 참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성공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