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캡스톤 설계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컴퓨터 소프트웨어 전공 능력 배양을 위한 융합 캡스톤 디자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onvergence capstone design for computer software major ability)

  • 권순각;박유현;한수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29
    • /
    • 2016
  • 국내 소프트웨어교육 현장의 일반적인 추세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실무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학부 과정의 고학년을 대상으로 캡스톤 설계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캡스톤 설계 교과목 운영은 소프트웨어 융합에 대한 반영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캡스톤 설계 교과목을 단일 학과 대상으로만 개설하지 않고, 타 분야 전공 학과도 참여하여 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영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캡스톤 프로젝트 수행 결과에 대해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지만, 단일 학과가 융합 캡스톤 설계 프로젝트를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융합 캡스톤 설계 교과목은 학과간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공학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적 공학 설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Present Situ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of Engineering Capstone Design Course in Engineering Colleges of Korea)

  • 이태식;전영준;이동욱;장병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36-50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공과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 교육에 대한 현재 공과대학의 교육과정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학습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 캡스톤 디자인 교육 방법 개발 및 관련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공학설계 및 캡스톤 디자인의 개념과 정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도입배경 및 필요성을 분석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최근 캡스톤 디자인을 이수하였거나, 이수중인 공과대학 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업단지 캠퍼스의 효율적인 캡스톤 디자인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Effective Capstone Design of Industrial Complex Campus)

  • 김창수;장봉임;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95-897
    • /
    • 2013
  • 캡스톤 디자인은 공학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캡스톤 디자인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과목과는 다른 형식을 가진 교육 형태로서, 교육과정에서 배운 전문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산업계에서 요구되는 실무능력 향상과 학생들은 미리 준비된 교과 내용에 따라서 수동적으로 교육을 받는 대신 능동적인 형태로 교육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단지에 위치한 캠퍼스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캡스톤디자인 만족도 평가 모델을 통해, 향후 효과적 캡스톤 디자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Effects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 허미선;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1-346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설계 및 실행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 효과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기준에 부합하는 총 21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83건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메타분석을 진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업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96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과 영역별 효과크기 분석 결과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 정의적·인지적·사회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과 변인별 효과크기에서 직업기초능력은 큰 효과크기, 창의성은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넷째,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효과는 교과목, 학년, 산업체 협력유무, 수업유형, 팀원 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예비 정보교사를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기초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Course for Pre-Service Informatics Teachers)

  • 김지윤;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409-41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예비 정보교사들이 학교 현장의 문제점을 고민하고, 그에 대한 아이디어를 학생 주도적으로 고안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캡스톤 디자인 강의의 개발에 대해 논한다. 본 논문은 기초연구로서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개발 과정 및 단계를 설계하고, 교과목 개발의 바탕이 되는 정보교사의 역량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후속 연구로서 본 논문에서 선정한 정보교사의 역량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실제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발하여 예비 정보교사들을 대상으로 캡스톤 디자인 강의를 실시할 것이다.

  • PDF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싱킹 기반 캡스톤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 Design Thinking-base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 남창우;신동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3호
    • /
    • pp.129-144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싱킹 기반 캡스톤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디자인싱킹 및 캡스톤디자인과 협력학습 등 학습자 중심 수업 관련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디자인싱킹 및 캡스톤디자인의 수업 설계 원리 및 수업모형을 탐색하고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 요소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싱킹 기반 캡스톤디자인 교수설 계모형 및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설계모형과 교수학습모형은 디자인싱킹, 캡스톤디자인 외 교육관련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화를 포함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 후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최종 교수설계모형에는 학습자 및 학습 환경 분석, 캡스톤디자인을 위한 산학협력기관 운영 협의, 수업 단계 및 전략, 평가 등 수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교수학습모형 최종안의 경우 세부 단계별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Learning Outcomes of Capstone Design Course)

  • 김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52-3457
    • /
    • 2011
  • 본 논문은 공학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에 대한 평가체계의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캡스톤디자인은 대학 과정에서 배운 전문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산업현장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는 교과목이다. 본 논문에서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과 관련된 기존의 평가 요소, 평가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한다.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캡스톤디자인 평가체계를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성과 평가체계는 타대학의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시 일부 참고될 수 있으며, 산학이 연계된 교육 및 인턴 프로그램 개발 시 평가체계 설계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비 정보교사를 위한 교과교육영역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Course based on Informatics Education for Pre-service Informatics Teachers)

  • 김지윤;이태욱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51-154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학교 현장에 새로운 요구와 문제 상황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정보 컴퓨터 교사양성과정도 적절하게 변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정보교사들이 교육현장의 요구와 문제 상황에 대해 직접 고민하고 해결방법을 구안해보도록 하는 방법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캡스톤 디자인 강의의 동향을 살펴보고 교과교육영역의 과목과 다루어야 할 정보교사의 자격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캡스톤 디자인 정보교과 교재연구 강의를 설계하였다. 후속 연구로 설계한 강의를 예비 정보교사들에게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토할 것이다.

  • PDF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학습성과 평가

  • 김정엽;김성동;이희원
    • 기계저널
    • /
    • 제52권9호
    • /
    • pp.35-39
    • /
    • 2012
  • 공학교육인증에서 필수 교육요소인 캡스톤디자인은 학생들의 전공교육을 마무리하는 종합설계 교과목이다. 이 글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에서 수행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 교육과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한다.

  • PDF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Effect Analysis of Learners' Competence and Class Satisfaction by Capstone Design)

  • 전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01-610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실제 어떻게 구성되고, 이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수업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에서 2017학년도에 개발 운영된 세 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과 수업 참여 학생 9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인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기존 수업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실무능력향상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참여 활동이 다양한 유형으로 확대되어 있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학생의 역량을 향상시켰고, 수업만족도 역시 매우 높았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 수업과 비교하여 캡스톤디자인으로 수업이 설계되었을 때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 방식 및 방법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작품 개발 및 발표가 많은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특성상 지필 시험에 따른 객관적인 평가에 비해 주관적인 평가가 개입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여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