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캐노피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현대 전투기 조종실 계기 및 조작기의 기술 현황 및 발전추세

  • 김문열
    • 국방과기술
    • /
    • 9호통권283호
    • /
    • pp.66-73
    • /
    • 2002
  • 대부분의 현대 항공기 조종실은 유사한 형태인 HUD, 2개 이상의 MFD, UFC, HOTAS 등으로 구성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전투기에도 HMD와 DVI(Direct Voice Input)를 적용하고 있다. 미래의 조종실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평면 시현 기술로 인해 HDD는 2010년대에는 15 X 20인치 크기까지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HUD가 없어지고 높은 해상도가 넓은 시계영역을 가진 HMD가 없어지고 높은 해상도와 넓은 시계영역을 가진 HMD로 다중 운용(Joing Service Operability) 및 다중 임무 수행이 가능한 조종실이 될 것이며 2025년대에는 레이저 운용에 적합한 조종실로 변화되어 캐노피가 없는 조종실(Windowless Codkpit) 또는 불투명 HMD를 사용한 설계개념으로 발전할 것이다.

  • PDF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한 축구 전용 경기장의 조명기구 배치에 따른 조도분포 해석 (The Analysis of Illuminance Distribution by Luminaire Position of Soccer Stadium using Pattern Search Method)

  • 최홍규;최병숙;서범관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논문집
    • /
    • pp.43-48
    • /
    • 2003
  • 축구 전용 경기장에서 캐노피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였다. 조명 등기구 배치간격을 변화시키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국·내외(FIFA, 유럽방송연맹, KS) 기준에 명시된 수평면 조도, 수직면 조도, 균제도, 눈부심 정도에 적합한 최적의 값을 찾았었다. 향후 국내 축구 전용 경기장 조명기구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보수시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PDF

국내·외 대형 LED캐노피 동향에 관한 고찰 (Contarison on the Large-scaled LED Canopy Tren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양우창;이형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87-19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형 LED캐노피를 도입한 국 내외 도시를 대상으로 대형 LED캐노피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시설적 측면, 콘텐츠 측면, 전략적 측면에서 시설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서 대형 LED캐노피가 지역경제활성화 대안으로서의 적절성을 논의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중국의 쑤저우 하모니타임즈 스퀘어에 있는 SUZHOU SKY SCREEN, 미국의 라스베가스 프리몬트 스트릿 익스피어리언스에 있는 VIVA VISION, 중국 북경의 The Place쇼핑센터에 있는 THE PLACE SKY SCREEN, 여수엑스포 디지털갤러리(EDG)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시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대형 LED캐노피의 시설적인 트랜드를 살펴보면, 아치형의 캐노피, LED는 SMD칩, 영상은 상호성 심미성을 갖는 자체제작 영상물과 휴대폰 및 랩탑컴퓨터 등을 활용하여 자신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영상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지역상인들이 한번 방문한 관광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각종 이벤트 퍼포먼스와 참여 프로모터의 제공을 통해 지역경제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지역경제활성화의 대안으로서 대형 LED캐노피를 도입 시는 반드시 시민참여, 즉 상업공간에서는 꾸준한 지역상인들이 참가하는 유지관리 노력과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 김덕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3-59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접지층에서 대기난류의 역할과 에너지 평형 (Role of Atmospheric Turbulences and Energy Balances in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 권병혁;김근희;김광호;강동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5-113
    • /
    • 2009
  • 연안습지 생태계에서 열에너지 교환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지표 열에너지 평형을 이루는 요소인 순복사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그리고 토양열 플럭스를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수평적으로 균질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인 고흥만 간척지에서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열의 수송을 평가하기 위해서 5회의 집중관측 기간에 대기 난류를 측정하였고, 특히 갈대로 덮여있는 간척지에서 지표층 열에너지 수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물과 매우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토양 그리고 계절에 따라 색깔과 밀도가 변하는 식생캐노피를 고려하였다. 순복사 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토양열 플럭스를 기존의 에너지 수지방정식에 적용하여 식생과 토양과 같은 지표면 특성에 따른 열 플럭스의 특징을 조사하여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너지 수지비로 식생 성장기에는 주로 잠열 플럭스에 의해 열이 대기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생층은 열을 저장하여 기온의 일교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여름철에 집중관측지의 기온이 주변 지역의 기온보다 보다 낮고 겨울철에는 다소높게 나타난 결과는 식생층을 포함하는 연안습지가 열환경을 조절함을 보여주었다.

  • PDF

용해공정의 캐노피 후드 성능 개선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Canopy Hood in Melting Process)

  • 정유진;손병현;이상만;정종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519-15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주물 제조 사업장의 일부 용해공정에 적용되고 있는 캐노피 후드(canopy hood)의 흡인 성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CFD model을 이용하여 유해대기오염물질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대한 유동장 및 압력장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Case-2(플랜지 부착+이중 후드)의 경우 포집 성능 측면에서는 개선이 가능하지만 후드 정압이 기존 구조보다 약 7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현장 적용성이 좋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흡인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case-3(플랜지 부착+이중 콘 부착)의 형상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개구부 중앙에 이중 콘(cone)이 설치되어 후드 가장자리로 유량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후드 중앙으로 상승되는 흄(hume)은 콘의 기울기에 의해 정압 상승의 요인 없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태화산에서 isoprene과 monoterpenes 측정 및 배출량 산정 (Measurements of Isoprene and Monoterpenes at Mt. Taehwa and Estimation of Their Emissions)

  • 김학영;이미혜;김세웅;알렉스 B. 겐터;박정민;조강남;김현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7-226
    • /
    • 2015
  • 경기도 태화산 서울대학술림에 위치한 대기관측타워에서 BVOCs 중 이소프렌, 모노테르펜을 2013년 5월, 6월, 8월에 PTR-M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O_3$과 온도, 습도 그리고 광합성유효복사와 잎면적지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기간 동안 BVOCs 농도는 온도가 가장 높은 8월보다는 6월에 더 높았다. 태화산에서 측정된 침엽수와 활엽수의 광합성량(NPP, net primary production) 모두 6월에 가장 높았다. 이는 식생의 활동이 6월에 더 활발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동북아시아 몬순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이소프렌은 늦은 오후에 최고 농도를, 모노테르펜은 저녁부터 농도가 높아져 밤 늦게 최고 농도를 보였다. 이들 모두 높이에 따라 평균 농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소프렌과 모노테르펜 모두 캐노피 아래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 온도는 캐노피 아래가 위보다 낮았고 $O_3$ 또한 캐노피 위에서 높아 산림 내와 산림 밖의 대기 간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이소프렌은 오후시간에 $O_3$과 같은 시간에 최고농도 보여 $O_3$ 생성에, 반대로 $O_3$은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저녁시간에 캐노피 아래에서 농도가 크게 증가하는 모노테르펜은 $O_3$의 소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GAN을 이용하여 태화산에서 산정된 이소프렌과 모노테르펜의 배출계수는 각각 $641.9g\;km^{-2}h^{-1}$, $116.8g\;km^{-2}h^{-1}$로 CAPSS에서 산정된 잣나무 배출계수와 비교하면 이소프렌은 높고 반대로 모노테르펜은 낮았다. 이를 바탕으로 연간 배출량은 이소프렌은 1.1(톤/년), 모노테르펜은 0.9(톤/년)으로 산정되었다.

Pattern Search를 이용한 축구전용 경기장의 조명기구 배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uminaire Position of Soccer Stadium using Pattern Search Method)

  • 최홍규;서범관;오정석;박형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106-109
    • /
    • 2004
  • 축구 전용 경기장에서 캐노피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Pattern Search법을 이용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조명 등기구 배치간격을 변화시킴으로 국 내외 (FIFA, 유럽방송연맹, KS) 기준에 명시된 수평면 조도, 수직면 조도, 균제도, 눈부심 정도에 적합한 최적의 값을 찾아내어 향후 국내 축구 전용 경기장 조명기구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보수시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조종실 온도 영향성 검증을 위한 캐노피 투명체 코팅 연구 (The Canopy Transparency Coating Study of Cockpit Temperature Effect Verification)

  • 남용석;김태환;김윤희;우성조;김명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2-45
    • /
    • 2008
  • Under the non-operating exposure condition in the hot area, the T-50 cockpit temperature is expected over the requirement according to T-50 environmental criteria. 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ockpit from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during the non-operating exposure because the high temperature of the cockpit may result in the cockpit equipment malfunction. In this study, the transparency coating is selected as the method for protecting the cockpit from the high temperature exposure and analyzed the effect on the cockpit heat load attenuation. Some kinds of cockpit coating were reviewed and select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the effect before and after coating application under 1% hot day condition based on the T-50 FSD hot soaking test data. The result of analysis show transparency coating is so effective to attenuate the heat load of T-50 cockpit.

  • PDF

스텔스 전투기 캐노피를 위한 투명 전자파 흡수구조 설계 (Design of Transparent Electromagnetic Absorbing Structure for Stealth Aircraft Canopy)

  • 홍익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9-375
    • /
    • 2015
  • In this paper, transparent circuit analog radar absorbing structure with angular stability for stealth aircraft canopy was proposed and designed. To obtain wideband electromagnetic absorption, optical transparency and smaller thickness, we proposed the novel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X-band and implemented the resistive FSS and PEC(Perfect Electric Conductor) plane using ITO(Indium Thin Oxide) coating with optical transmissivity of 90 %. Reflection loss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incident angles of both TE(Transverse Electric) and TM(Transverse Magnetic) polarizations are presented through simulations. We then fabricated the proposed structure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simulation and measur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radar absorbing structure can provide better frequency stability for different incidence angles and polarizations as well as optical transparency. We can apply this proposed structure to the canopy of stealth aircraft and other stealth applications for visible transpa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