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수식물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eriphytic Diatom Communities and Water Environment in the Donghwa Constructed Wetlands (동화습지의 갈대 침수줄기에 서식하는 부착규조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Kim, Baik-Ho;Park, Young-Seok;Kim, Yong-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3 no.1
    • /
    • pp.91-102
    • /
    • 2010
  • Water quality and epiphytic diatom on the submerged stems of reed (Phragmites communis), which occupy 90% of the Donghwa wetland macrophytes were monthly monitored at three points such as inflow stream, high- and low-level wetlands, and outflow stream between March and October, 2005. 1) A diverse and high density of diatom species observed in the cold-season, especially Nitzschia palea and Nitzschia amphibia dominated the diatom community without wetlands. 2) High DAIpo and TDI indices were measured over the sampling periods and stations, regardless of nitrogen increase and phosphorus increase through the wetlands. 3) Higher density of diatom species in high wetland than low wetlands was attributed in the enough nutrients and light penetration by low growth of reed. Therefore, epiphytic diatom of reed stem in Donghwa wetland, where high nutrients released from the sediment and reed debris after the death of macrophytes, flourished with low canopy of low reed vegetation.

Effect of a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and a Submerged Plant (Potamogeton crispu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a Cyanobacterium Oscillatoria sp. (담수패류(Unio douglasiae)와 침수식물(Potamogeton crispus)의 유해 남조 Oscillatoria sp. 성장억제 효과)

  • Kim, Keun-Hee;Kim, Baik-Ho;Park, Myung-Hwan;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spc
    • /
    • pp.68-76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inhibition effects of a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and a submerged plant (Potamogeton crispus) on the cyanobacterial bloom (Oscillatoria sp.). The experiment were conducted in aquarium $(50cm{\times}65cm{\times}120cm)$ with lake sediments in the bottom of the aquarium in 10 cm thick. Before the experiments, artificial cyanobacterial bloom was induced with the addition of lake sediment and CB medium. Total 12 transparent acrylic cylinders (${\Phi}19cm$, height 40 cm) were placed in the aquarium, and within which bivalves and plants were placed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control (C), plant addition (P:5 stems), mussel addition (U:2 individuals), and both mussel and plant addition (PU: the same quantity as used in each treat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riplicate during 7 days. pH, dissolved oxygen (DO), electric conductivity (EC), salinity, cyanobacterial cell density,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 and mussel filtering rate were monitored dai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otal phosphorus (TP), total nitrogen (TN), and plant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Overall, a large degree of cyanobacterial growth inhibition appeared in both P and U treatments, and the effect was highest in the U treatment, followed by P and PU. The combined treatment of both U and P did not show any synergic effects compared to the effect in separated treatment. In all enclosures of the treatments chlorophyll-${alpha}$ (Chl-${alpha}$) concentration decreased until 36 hours after the additions of the plants and mussels. In contrast, Chl-${alpha}$ concentrations increased in PU enclosures after 36 hours. The same trend was shown in the cell density of Oscillatoria. pH and DO gradually decreased until 120 and 144 hours, respectively, in the P and PU enclosures. TP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mussel enclosures (U and PU), while TN concentration largely decreased in the plant enclosures (P and PU). Our results suggest that applied bivalve (Unio) and submerged plant (Potamogeton) seemed to have a potential effect on the growth inhibition of cyanobacteria, but their combined application may have an antagonistic effect to diminish the degree of the inhibi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charge Measurement Methods at a Experimental Stream Downstream of Dam (댐 하류 시험하천에서의 유량 측정 방법간 비교)

  • Lee, Chan-Joo;Kim, Won;Kim, Dong-Gu;Kim, Ch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38-1342
    • /
    • 2006
  • 수자원의 계획과 관리를 위해 정확한 유량 측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량 측정방법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하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량 측정방법을 시험하천에 동시에 적용하여 유량 측정 방법간 비교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비교를 위해 적용된 방법은 유속면적법, 부자법, ADCP법 등의 비연속적 방법과 기존 보를 이용한 방법, 초음파 유량계를 이용한 방법, 유속지수법, 실시간 경사면적법 등의 연속적 방법이다. 평저수기에 주로 적용될 수 있는 비연속적 방법인 유속면적법과 ADCP법의 비교에서는 유속면적법이 방류량 대비 평균 ${\pm}4.7%$의 오차를 가지며, ADCP법의 경우 ${\pm}4.6%$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연속적 방법과 연속적 방법을 동시에 비교하기 위해 평저수 5회, 홍수 2회를 포함하는 총 7회의 동시 유량측정이 수행되었다. 유속면적법과 ADCP법은 부적절하게 적용된 경우를 제외하면 오차는 대체로 10% 이내로 나타났다. 부자법의 경우 홍수시에만 적용되었으나 오차가 방류량 대비 20% 이상으로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연속적 방법은 기존 보의 경우 개발된 수 위-유량 관계의 이하의 저유량에 적용할 경우 오차가 다소 크게 산정되었으나 그 이외에는 대체로 10%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일부 저수위의 유속지수법을 제외하면 연속적 방법은 모두 오차가 10% 이내로 조사되었다. 향후 보다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유량 범위에서의 검증이 필요하지만, 시험하천에서의 유량 측정 방법간 비교는 국내 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향 범위는 최대 $0.07km^2$ 면적에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남조 수화현상이 심화될 경우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

  • PDF

Water Budget Analysis of Four big river basin based on K-WEAP (K-WEAP을 이용한 4대 권역별 물 수지 분석)

  • Moon, Jang-Won;Choi, Si-Jung;Lee, Dong-Ryul;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62-1366
    • /
    • 2006
  • 우리나라에서는 하천법 제11조에 의거하여 10년마다 한 번씩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5년마다 이를 수정 보완하고 있다. 2001년 7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이 수립된 이후 잦은 봄 가뭄 등 이수측면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와 최근 이상홍수 등으로 인한 대규모 홍수피해 발생에 따른 치수측면의 종합적인 대책의 제시가 요구되면서 2001년 수립된 계획에 대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자원계획의 신뢰성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문제제기와 지역 차원의 수자원계획 및 수자원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로 인해 계획 수립 과정과 결과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을 위한 체제의 구축이 금번 보완 계획의 수립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금번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완은 투명성 확보라는 큰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수자원 관리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물 수급 전망 및 용수수급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다. 기 개발된 한국형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모형을 보완 계획 수립 과정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K-WEAP 모형을 통해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수급 균형을 판단함으로써 일반 대중에게 물 수급 관련 상황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각 권역별로 2003년의 물 수급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하천의 관측유량과 비교해봄으로써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각 권역에서 시나리오별로 추정된 용수수요량을 이용하여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목표연도별 물 수급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물 수급 분석 시 지하수 및 농업용 저수지 등 하천과 다목적댐 이외의 지역 공급원에 대해서도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

  • PDF

A Study on Potential Industries in Demand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Technologies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잠재적 수요처 파악에 관한 연구)

  • Jeong, Da-Yeon;Kim, Hyun-Keong;Heo, Eun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72-1376
    • /
    • 2006
  • 기술개발자 혹은 기술공급자의 예측에만 의존하는 기술의 가치 추정은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될 우려가 있으며, 정확한 기술가치평가를 위해서는 공급측면에서의 분석과 함께 수요측면에서의 가치평가가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을 사용하게 될 잠재적 수요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의 잠재적 수요처 파악을 통해 기술개발자들은 수요산업에 보다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기술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부가 시행하는 21C 프론티어 사업의 2단계 주요사업으로 선정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에서 개발 중인 기술의 수요처 선정을 위한 준비 단계로써 공급지장비용 분석을 포함한 산업연관분석을 사용하여 수자원의 확보 또는 공급지장에 따른 산업부문별 파급효과를 산출하였다. 파급효과의 산업부문별 순위는 용수의 재분배 우선순위의 주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나, 공공재인 수자원의 특성과 산업의 특성에 따른 현실적인 제약조건들을 고려해볼 때 직접적으로 기술의 수요처라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파급효과의 순위에 따라 기술의 수요가 발생했을 때 기술의 최대가치가 실현됨은 자명한 사실이며, 개별기술에 대한 사례연구 시에 수요산업의 대략적인 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개발자들이 수요처에 대한 인식을 보다 명확히 함으로써, 정부와 산업체를 통해 실용화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수도산업의 수요측면 공급측면 파급효과가 산출되었고, 수도의 공급지장으로 인한 파급효과의 순위는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제1차금속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별기술의 달성가능한 최대가치가 산출되고, 개별기술의 사례연구 시에 설문대상 산업이 선정되어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수요처 선정을 위한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 PDF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Gyeongan-cheon Watershed Using WEP Model (WEP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토양수분 모의)

  • Noh, Seong-Jin;Kim, Hyeon-Jun;Kim, Cheol-Gyeom;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20-725
    • /
    • 2006
  •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m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과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징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강우 등으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 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2005)).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 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가 증발, 침투, 유출될 지는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되며,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인 WEP 모형을 경안천 유역(유역면적: $575km^2$, 유로연장: 49.3㎞)에 적용하여 토양수분의 시공간분포를 모의하였다. 지점별 토양수분 모의결과, 토양 매개변수의 최대, 최소값 내에서 적절히 모의됨을 확인하였으나, 관측값이 없어 실질적으로 타당한지 여부는 검증하지 못하였다. 토양수분비율, 연간 증발산량, 지표면 유출량 공간분포를 비교한 결과, 토양수분비율이 연간 증발산량 모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격자에서는 토양수분이 지나치게 높게 모의되었는데, 지하수위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축된 자료가 부족한 지하대수층에 대한 정보부족이 토양수분 계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WEP 모형의 토양수분 해석능력에 대한 시험적용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토양 및 지표하 매개변수 정보가 충분히 갖추어지고, 토양수분 관측결과 있는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이 요구된다.-Moment 방법에 의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Power 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이들 분포의 적합도를 PPCC Test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낙동강 유역에서의 저수시의 유출량 추정에 대한 Power 분포의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M1), 무역적자의

  • PDF

Screening of Nutrient Removal Hydrophyte and Distribution Properties of Vegetation in Tributaries of the West Nakdong River (서낙동강 유역 하천의 식생 분포특성과 영양염류 정화 수생식물 탐색)

  • Kim, Choon-Song;Ko, Jee-Yeon;Lee, Jae-Saeng;Hwang, Jae-Bok;Park, Sung-Tae;Kang, Hang-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5 no.2
    • /
    • pp.147-15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atural distribution of aquatic plane and to find out natural aquatic plants which highly absorb nutrient N and P. We surveyed vegetation within ${\pm}2m$ from streamside in 12 tributaries of the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during May to October in 2003. Hydrophytes surveyed in tributaries of the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were 27 families, 61 genera, 76 species, 3 varieties. Major dominance species of aquatic plants were Z. latifolia, P. communis, P. thunbergii, P. arundinacea, P. japonica, and P. distichum var. indutum. Aquatic plants having high production ability of biomass were Z. latifolia, P. communis, P. arundinacea, P. japonica, and E. crus-galli var. echinata.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hydrophytes within streams, dominant species were P. thunbergii and P. japonica in the upper stream, but dominant species in the downstream were P. communis and Z. latifolia. Species diversity or aquatic, plants was reduced, but their biomass and nutrient (T-N and T-P) content per the natural area unit $(m^2)$ were increased in the downsteaam. Nutrient N and P content of aquatic plants per the natural area unit were high at Joman river, Pyeonggangcheon, Bulam drainage canal, and Hogyecheon. Fifty-seven species of aquatic plants having high biomass were grounped into 4 categories $(I{\sim}IV)$ according to their nutrient content per dry weight unit. I group $(T-N,\;\geqq20gkg^{-1}\;&\;P_2O_5,\;\geqq7gkg^{-1})$ was comprised of 3 submerged plants (H. verticillata, P. crispus, and C. demersum), e emergent plants (O. javanica, P. distichum var. indutum, and R. sceleratus), 1 suspended plant (T. japonica), and 1 riparian plant (A. lobatum). Otherwise, in classification of natural hydrophytes according to their nutrient content per natural area unit, Z. latifolia, P. communis, P. longiseta, P. arundinacea, and P. distichum var. indutum possessing great biomass productivity as emergent plants were included in I group $(T-N,\;\geqq1gm^{-2}\;&\;P_2O_5,\;\geqq0.7gm^{-2})$.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on the Ungok Wetland in Gochang (고창 운곡습지의 식물군락 다양성과 분포 특성)

  • Kim, Jong-won;Lee, Seung-eun;Ryu, Tae-b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0 no.3
    • /
    • pp.295-304
    • /
    • 2017
  • The Ramsar protected area in Ungok wetland, which has been designated since 2011, was described by syntaxonomy and synchorology. Phytocoenon was identified and named by a traditional method of the $Z{\ddot{u}}rich$-Montpellier School and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Habitat-based vegetation classification has identified into twelve syntaxa consisting of 88 taxa in seven vegetation types: Juncus effusus var. decipiens-Salix koreensis community, Caricis-Salicetum subfragilis,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Phragmitetum australis, Scirpetum fluviatilis, Leersia japonica-Typha angustifolia community, Juncus diastrophanthus-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Leersicetum japonicae, Nymphoido indicae-Trapetum japonicae (typicum, marsiletosum quadrifoliae subass. nova hoc loco, variante Euryale ferox), Nelumbo nucifera community, Utricularia tenuicaulis community, Potamogetonetum crispi.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by using topographical map of scale 1 : 5,000. Habitat-based management on the Ungok wetland vegetation was required, in which there are composed of two major areas such as the back-swamp vegetation and the limnetic vegetation zon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the Population Persistence, an Endangered Plant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멸종위기야생식물인 갯봄맞이꽃(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지속에 관여하는 요인)

  • Kim, Young-Chul;Chae, Hyun-Hee;Oh, Hyun-Kyung;Lee, Kyu-S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6
    • /
    • pp.939-961
    • /
    • 2016
  •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endangered wild pla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habitat together with life traits of target specie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followed by their monitoring for 4 years focusing on the habitats in the lagoon. Also, their life traits were compared including production of hibernacles, fruits, and seeds by the soil fertilization and light intensities. Next, the information on the species was secured by germination experiment using the generated seeds from the cultivation experiment. The habitat of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in Korea was located in the rear edge of the worldwide distribution and its four habitats were isolated and distributed far away each other. Two of them were located in small salt-marsh and fine sand estuaries formed in the rocky area of the seashore, and the other two were inhabited with the sandy soil in the lagoon which was connected by river-mouth to the sea.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tends to be distributed in the sites where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the competitor were inhibited by salinity, periodic flooding, and lower layer of the soil to extend a roots. It maintained its population by recruitments of hibernacles and seedling. The production of hibernacle was assumed to be affected by the particle consist of the sand together with organic matters in the soil. Seedling recruitment was observed only in the salt-marsh area located in the rear sites of sand ridge where was the shore of the lagoon.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was observed to have different threatening factors by each population. Its population in Pohang seemed the sedimentation of fine sand which affected the recruitment of hibernacles had been erod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coastal road. The population in Ulsan appeared rapid expansion of competitor and reduction of its distribution area due to the interruption of eluted water supplied to the habitat. On the other hand, the habitat in the lagoon maintained the population relatively stable. Especially, the population in Songji-ho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stable one. To sustain the population of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distributed in the lagoon, it is suggested that the wide ranged scale of conservational activities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mechanisms including the entrance of seawater which belongs to the lagoon, and periodic flooding.

Role of Wetland Plants as Oxygen and Water Pump into Benthic Sediments (퇴적물내의 산소와 물 수송에 관한 습지 식물의 역할)

  • Choi, Jung-Hyun;Park, Seok-S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4 s.109
    • /
    • pp.436-447
    • /
    • 2004
  • Wetland plants have evolved specialized adaptations to survive in the low-oxygen conditions associated with prolonged flooding. The development of internal gas space by means of aerenchyma is crucial for wetland plants to transport $O_2$ from the atmosphere into the roots and rhizome. The formation of tissue with high porosity depends on the spec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which can control the depth of root penetration and the duration of root tolerance in the flooded sediments. The oxygen in the internal gas space of plants can be delivered from the atmosphere to the root and rhizome by both passive molecular diffusion and convective throughflow. The release of $O_2$ from the roots supplies oxygen demand for root respiration, microbial respiration, and chemical oxidation processes and stimulates aerobic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Another essential mechanism of wetland plants is downward water movement across the root zone induced by water uptake.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sediments have low hydraulic conductivity due to the relatively fine particle sizes in the litter layer and, therefore, negligible water movement. Under such condition, the water uptake by wetland plants creates a water potential difference in the rhizosphere which acts as a driving force to draw water and dissolved solutes into the sediments. A large number of anatomical,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pecialized adaptations of wetland plants that enable them to tolerate water saturated environment and to support their biochemical activities. Despite this, there is little knowledge regarding how the combined effects of wetland plants influence the biogeochemistry of wetland sediments. A further investigation of how the Presence of plants and their growth cycle affects the biogeochemistry of sediments will be of particular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role of wetland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