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묵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4초

임상간호사의 공감피로, 신체화 증상 및 침묵반응의 관계: 침묵반응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Somatization and Silencing Response among Hospital Nur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ilencing Response)

  • 김선화;이태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2-37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passion Fatigue (CF), Somatization, and Silencing Response (SR) among nurses and understand intermediate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Methods: The sample of 240 nurses who were working three shifts in medical and surgical wards, and emergency room were recruited in three hospitals with over 700 be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included CF, Somatization and SR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F, Somatization and SR depending on perceived personal health condition, experience of turnover, co-worker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ose study variables.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burnout (${\beta}$=.81, p<.001) which is a part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omatization (${\beta}$=.79, p<.001) have the role of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ilencing response. Conclusion: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an intermediary role by Burnout and Somatization in Silencing response of nurses is important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hospital nursing staffs.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which includes mentoring and social support system can enhanc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nurses,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care by those care providers and counselors.

후각의 지리학?:동남아시아의 두리안을 사례로

  • 김학희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3
  • 후각은 현대 서구 문화에서 가장 과소평가 되는 감각일 것이다. 1) 냄새는 명명하거나 객관적으로 측정하거나 똑같이 재생하기 어려운 현상이기에, 후각의 영역은 대체로 주관적 묘사와 정서적 기억에 의존한다. 실증주의, 과학ㆍ기술ㆍ발전에 대한 믿음이 강화될수록 냄새는 침묵당해 왔으며, 특히 서구의 지식 엘리트에 의해 그 중요성이 평가되어 왔다. 지리학 분야 역시 이런 경향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이다. (중략)

  • PDF

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인체의 조형미 -신체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 김소영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8-79
    • /
    • 2003
  • 현대에 들어와 몸에 대한 담론은 여러 분야의 학문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몸은 하나의 기호로서, 시각적 언어로서, 사회적 변화의 소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인체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관심은 여성의 누드와 섹슈얼리티의 재현으로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확산되었다.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과거 역사책 속에서 침묵 당했던 여성들의 경험을 회복하고 서양 문화에서 여성의 위치를 재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중략)

  • PDF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진성리더십과 조직정치지각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d Nurses' Authentic Leadership Perceived by Nurses to Nurses'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 김미래;박정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6권1호
    • /
    • pp.71-7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d nurses' authentic leadership to nurses'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01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7 to Sep 13, 2018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s of authentic leadership of the head nurses perceived by nurses and nurses'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were 3.44 out of 5, 2.57 out of 5 and 2.62 out of 5, respectively.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uthentic leadership of the head nurs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es'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were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clinical career, authentic leadership of the head nurses and work life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38% of the varianc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unreasonable and unfair job environment, enhance head nurses' authentic leadership, manage nurses' careers appropriately and raise the level of their work life satisfaction.

체홉극속의 포즈와 말줄임표에 관한 고찰:세자매를 중심으로 (Pauses and Ellipses in Chekhov's Plays: Focusing on Three Sisters)

  • 류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86-197
    • /
    • 2010
  • 체홉 의 희곡들을 읽을 때 간과 할 수 없는 점이 대사의 중간 중간에 포진 되어 있는 "사이"와 말줄임표의 존재이다. 체홉 의 작품을 연출할 때 수많은 양의 "사이"와 말줄임표 에 어떤 의미를 부연하고 표현해 낼 수 있을까 는 체홉의 작품을 보다 체홉 처럼 보이게 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배우들은 그들의 연기 속에 "사이"와 말줄임표를 어떻게 녹여내어 표현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먼저 "사이"와 말줄임표의 적절한 사용은 등장인물의 특징을 확정 짓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개인에 관한 흥미를 집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체홉 극작의 근간을 이루고 있고 적어도 체홉 드라마 속의 침묵은 액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체홉의 극을 음악적 역동성을 가진 하나의 전혀 다른 연극텍스트, 즉 정교하게 다루어 져야할 연출적, 연기적 재료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하겠다.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를 이용한 이중 임계값 방식의 음성구간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base on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 with Dual Threshold)

  • 김홍익;박승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C호
    • /
    • pp.1660-166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구조, 적은 계산량과 안정된 빠른 수렴속도를 가진 RBF (Radial Basis Function)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이중 임계값 방식의 음성구간 검출기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음성압축기에 사용되는 CELP (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파라미터들을 신경회로망 입력으로 하여 잡음에 강하게 반응하게 하였고, 음성구간 검출기의 성능향상을 위해 음성구간과 침묵구간에서 다른 임계값을 사용하는 이중 임계값 방식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이중 임계값을 이용한 RBF 신경망 음성구간 검출기는 G.729 Annex B 음성구간 검출기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기존의 MLP (Multi Layer Perceptron)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음성구간 검출기와 비교하여 음성구간에서는 비슷한 성능을 보였으나 침묵구간에서 25%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행정직 간호사의 조직침묵, 전문직업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Professionalism on Job Embeddedness among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 김정원;강경화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2호
    • /
    • pp.198-20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establish an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plan so that the organization can identif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professionalism on job embeddedness among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who wer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900 beds but more than 300 beds in the districts of Seoul and Gyunggi, Gangwon province. Of the questionnaires, 127 out of 150 copies were collected and 12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even were not considered sincere in the respons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2.0 statistic program,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rganizational silence and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embeddedness, which explained 43.4% of job embeddednes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raise job embeddedn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to change communication patterns in the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and to create environments in which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can present various opinions.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행동적 참여 분석을 위한 영상 분석 도구의 개발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tudents' Behavioral Engagement in School Science Classroom)

  • 최준영;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7-258
    • /
    • 2015
  • 학생은 대화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해서도 수업에 참여한다. 특히 과학교실에서는 다른 교과수업과 다르게 과학기구의 사용, 관찰, 측정 등의 비언어적인 행동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학생의 행동적 참여를 분석하는 기존의 도구들은 과학교과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적인 활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교과의 학습 활동을 고려한 행동적 참여 영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과학수업 관찰을 바탕으로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행동을 14가지로 범주화하였다(자유발화, 음독, 경청하기, 묵독, 쓰기, 주의 집중하기, 손들기, 이동하기, 비참여적 움직임, 과제 움직임,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실험도구 다루기). 둘째, 이를 바탕으로 '과학수업 중 행동적 참여 상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셋째, Microsoft Excel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분석틀에 따라 학생들의 발화 여부, 시선, 몸의 움직임 등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면 수업 중학생의 각 행동이 수행된 시간과 학생의 네 가지 수업참여 상태(즉, 참여적 발화, 참여적 침묵, 비참여적 발화, 비참여적 침묵)를 파악할 수 있다. 개발된 분석 도구를 실제 과학시간의 초등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예시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 교사는 수업활동(일반, 시범실험, 실험활동)에 따라 발화의 양을 달리하였으며, 분석대상인 두 학생은 전체 수업시간 동안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시간이 가장 길었다(학생 A: 63%, 학생 B: 72%).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두 학생은 '경청하기'를 하는 시간이 가장 길었는데(학생 A: 51%, 학생 B: 42%), 교사의 발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실험활동 시간에는 오히려 '경청하기'를 거의 하지 않은 대신에 '관찰하기'를 가장 많이 하였다(학생 A: 47%, 학생 B: 53%). 개발된 분석 도구가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하여 과학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안정적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Stable Video Conference System)

  • 이문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2호
    • /
    • pp.11-20
    • /
    • 2005
  • 기존의 화상회의 시스템은 화상회의 참석자 수가 n으로 증가함에 따라 대역폭과 메모리가 n^2 요구된다. 그리고 또한, 음성데이터의 전송도 참석자 수가 증가하면 그에 따른 트래픽 증가와 참석자의 발언권에 대한 문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위한 서버 측 버퍼링 기법과 발언권자의 증가에 따른 트래픽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침묵탐지기법을 이용한 원격화상회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화상 버퍼링 알고리즘은 서버에서 다른 클라이언트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기법이 아니라, 클라이언트로부터 압축된 비디오데이터를 할당된 버퍼에 전송 받는 서버측 버퍼링 기법과 클라이언트에서 다른 참석자들의 비디오데이터를 자신의 대역폭과 네트워크전송속도에 맞게 얻어가는 클라이언트 인덱스처리방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이다. 침묵탐지기법을 이용한 음성전송 알고리즘은 다수의 참석자 중에서 말하지 않는 것으로 탐지된 음성데이터는 서버로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며 채널관리 알고리즘은 우선권이 있는 참석자에게 발언권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원격 화상회의 시스템은 참석자의 수와 관계없이 제한된 메모리와 대역폭 그리고 네트워크전송속도에서 20프레임 이상, 평균 30ms의 안정적인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전송이 이루어졌다.

특집 - 한국인 당뇨병환자의 특징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월간당뇨
    • /
    • 통권212호
    • /
    • pp.8-9
    • /
    • 2007
  •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당뇨병환자가 우리나라에서도 5백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70년대 50만 명 수준이던 당뇨병환자가 30년 사이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15년 뒤인 2020년경에는 당뇨병환자가 천만 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말 그대로 '당뇨 대란'이 온 것이다. 더욱이 당뇨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34.7 명으로 회원국 평균 13.4 명의 2.5배나 돼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당뇨병환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 원인이지만, 무엇보다 당뇨관리가 부실한 것도 문제이다. 게다가 한국인은 체질적으로도 당뇨병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