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 인증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3초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Consumer's Recognition on Naturally-Grown Forest Products)

  • 민경택;구자춘;김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68-676
    • /
    • 2015
  • 이 논문은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수요측면에서 산림복합경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 가구 64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산지재배 임산물을 구입하는 이유는 영양 효능과 안전성 때문이며, 같은 임산물이라도 밭 재배보다 품질이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산지재배 임산물이 친환경 밭 재배 작물보다 선호되기는 하지만 자연산 인정 여부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비자들이 임산물 속성 가운데 중요시하는 요소는 품질과 효능으로 나타나 이를 강조하는 마케팅이 요구된다. 소득이 증가하면 신선도와 가격보다 자연산 여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체험이 자연산 임산물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림복합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자연산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획득하고 체험 관광과 연계하는 6차산업화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동로봇용 In-Wheel Motor의 가속수명시험 (Accelerated Life Test of In-Wheel Motor for Mobile Robot)

  • 김영기;김상훈;김학원;목형수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98-505
    • /
    • 2010
  • In-Wheel System은 고성능의 전기모터를 Wheel에 직접 장착하여 파워트레인 요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차량시스템의 효율을 높인 시스템이다. 추후 친환경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고효율, 고성능 차량 시스템이기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급증은 우리 생활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개발단계에서 부품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인증하여야 한다. 신뢰성이란 "부품이나 시스템이 주어진 환경에서 고장 없이 일정기간 동안 요구기능을 수행하는 특성"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n-Wheel System의 핵심 부품인 In-Wheel Motor를 신뢰성 평가 중 하나인 내구 수명에 대한 검증 방안을 In-Wheel Motor의 운전 조건으로부터 가감속 토크 및 실효토크를 계산해서 이를 바탕으로 가속수명시험을 위한 속도 패턴을 제안하여 시험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In-Wheel Motor의 수명 신뢰성을 검증한다.

ICT 기반 환경모니터링 센서 데이터 검증을 위한 원스탑 플랫폼 (One-stop Platform for Verification of ICT-based environmental monitoring sensor data)

  • 채민아;조재혁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32-39
    • /
    • 2021
  • 기존 환경측정기기는 전자파 및 친환경 제품 인증, 내구성 시험 위주이며, 센서 신뢰성 검증 및 측정 데이터에 대한 검증은 형식 승인 및 등록, 인수시험, 초기교정, 주기시험 등을 통해 센서 성능평가 위주로 수행된다. 본 플랫폼은 각 타겟 센서별 성능평가 뿐만 아니라 센서의 데이터 신뢰성에 대한 검증체계 지원 ICT 기반 환경 모니터링 센서 신뢰성 검증 체계를 구축하였다. 환경 정보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센서보드를 제작하였고 센서 및 데이터 신뢰성 평가 및 검증 서비스 체계를 규격화 하였다. 또한, ICT 기반 센서 데이터 신뢰성 평가 및 검증을 위해 LoRa 통신을 이용한 센서 데이터 플랫폼 모니터링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이를 스마트 시티 등에 실증 테스트하였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받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센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통합 평가 및 검증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농산물 판매 및 소비이력 시스템에 관한 연구 (Blockchain-based Sales and Purchase Record Management Systems for Agricultural Products)

  • 나원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1-46
    • /
    • 2022
  • 미래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맞춤식 솔루션을 제안하는 연구로 기존의 유통방식을 벗어나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병행된 솔루션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데이터의 위변조가 없도록 한다. 판매, 유통, 소비 등으로 생산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에게 맞춤식 서비스가 필요하고, 농산물과 관련한 식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줄 수 있게 되면서 소비나 생산에 대한 사용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형된 제품의 홍보나 생산물의 방향을 파악함으로써 미래의 4차산업과 관련한 발전 방향이 될 것이다. 하나의 시스템이 아닌 복합적인 기술들이 접목되어 관리되는 이력관리 시스템으로 블록체인과 빅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면 미래의 트랜드에 맞춤식 서비스가 될 것이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친환경 인증과 관련한 사업이 진행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으로 가치가 창출된다면, 필요한 통합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 및 무농약 농산물 생산자의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Survey and Analysis of Organic and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rs on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 System)

  • 김하연;강혜정;한옥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7-230
    • /
    • 2022
  •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was conducted for certified operators. The survey included the necessity of certification system, difficulties in producing certified products, and general evaluation of the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Certified operato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ertification system in terms of the certification standards, the public subsidy programs, and the farm management costs. Individuals with parallel production farms were relatively less satisfied than the group with full-time organic farmers. Analysis using the ranking probit model indicated that the longer the certification experience, the more highly aware the need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was. Our results indicated that policy strategies are needed to enlarge the market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ince economic factors of organic produc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and expanding certification in overseas as well as in Korea. It seems to be necessary to implement economic triggers for certified operators to continue their certification programs by promoting the transition period certification for individual farms in parallel with conventional agriculture. Analysis of the variables correlated with the expans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y the logit model implied that certified operators with the younger age and higher annual incomes were more likely to exp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erefore, it might also be important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and incentives for new entry farmers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establish a system to share the know-how of successful certified organic farmers.

친환경 인증 농경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 Focused on Jeollanam-do -)

  • 박유진;구정윤;이상우;안경진;최진아;김상범;박세린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79-89
    • /
    • 2023
  • As the demand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ontinues to rise due to increased concerns regarding food safety and ecosystem conservation, it is becoming important to identify regions and spatial locations where environmental-friendly should be intensively established for production integr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in Jeollanam-do, South Korea.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Local Moran's I and Getis-Ord Gi* were used to identify spatial cluster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indices were utilized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enam-gun, Gangjin-gun, Muan-gun, and Jindo-gun were identified as hotspots, while Muan-gun, Goheung-gun, and Jindo-gun exhibited high connectivity. This suggests that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in Muan-gun and Jindo-gun were clustered and closely connected to one an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areas belonging to the hotspot and with high connectivity should be managed as clustered districts to secure the foundation and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Areas that belong to cold spots and have low connectivity should be preceded by measures to promote conversion to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t possible to create a large-scale cluster district through a long-term spatial planning strategy to exp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ed fa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quantitative data on policies and discussions for developing a model for rural spatial planning.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2010과 LEED2009에서의 에너지평가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Methods of Energy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2010 and LEED 2009)

  • 현은미;김용식
    • KIEA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39-47
    • /
    • 2012
  • Recently, the green building and energy connection system are establishing. But,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is indicated hangup about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 Commissioning, energy conservation, renewable energy, carbon dioxide emissions, it is determined that the energy associated with LEED and GBCC four item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n the practical performance of the system after the completion of commissioning of the energy associated with the system completed until after the final performance for secure operation from the planning stage to verify and document systematically how to perform, but the domestic review and verification is incomplete. Second, the use of energy-saving and renewable ener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but GBCC the strengthening of standards on how to evaluate it is deemed necessary. Finally, the evaluation of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LEED Unlike GBCC the life-cycle of the system without considering the global warming index only because a substantial step in the operating efficiency can not be assessed. Based on this study GBCC energy savings through efficiency to actively carry out research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basic guidelines to proceed.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에 대한 농가 만족도 분석 (A Study on Farmer's Satisfaction for Cert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 신용광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3-16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raw up some measures for improving the farmer's satisfaction for certificate system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survey in 2013. The results of survey for farmers produc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as follows. First, almost 60% of the respondents are certified by the private certificate bodies. Seco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farmers' choice of the authority are their trust (49%), geographical adjacency (22.1%), and other farmers' recommendation (7.7%), etc. Third, the index of farmers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certification bodies and the examiner is estimated as 4 out of 5 marks followed by ex post facto management (3.8), application process (3.77), application document (3.66), etc. Lastly, farmers want to make improvement on the complicated application process most (37.9%), followed by expensive application fee (25.2%) and excessive application documents (17.5%). The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 supervision system of certification bodies of farmers, who produc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국내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Greening Level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 및 배포하여 전국 978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평가영역별 평균을 분석한 결과, 녹색도서관 평가영역 중 도서관 자원의 전체 평균이 1.93으로 가장 높았고, 토지이용 및 교통 1.81, 재료 및 자원 1.74, 실내환경 1.30, 물 순환관리 1.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강점을 보이는 녹색화 평가영역은 도서관 자원 영역으로, 전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장서보존의 효율성, 친환경 용품사용 및 관리 등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거나 도서관에서 자주 구입하거나 소모되는 비품들을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 및 교통 영역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자전거 보관소를 설치하고, 대중교통과의 근접성 및 도시중심과 도서관과의 거리를 고려한 도서관위치를 선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료 및 자원 영역에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특히 화장실 소비재를 절약하고자 손 건조기 및 롤링타월을 설치해 친환경적인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지역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인증 논토양의 환경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Certified Organic and Non-pesticide Paddy Soils Cultivating Rice at Goseong-Gun)

  • 주희식;조영손;전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3-410
    • /
    • 2014
  • 유기농산물인증과 무농약농산물인증 지역의 논토양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고성지역 친환경작목반 중심으로 유기농산물 생산지역 266필지와 무농약 농산물 생산지역 545필지로 나누어 비교 조사하였다. 유기재배지 토양의 Cd, Cu, As, Hg, Pb, $Cr^{6+}$, Zn, Ni는 각각 0.05, 14.5, 1.08, 0.92, 10.7, 1.34, 35.9, 22.2 mg $kg^{-1}$인 반면에 무농약 재배지 토양은 각각 0.32, 13.6, 1.01, 0.03, 10.4, 0.91, 42.4, 22.5 mg $kg^{-1}$이었다. 토양의 화학성 중 pH, 유기물, 유효 $P_2O_5$, 유효 $SiO_2$의 평균값은 유기 재배지 토양에서 각각 5.9, 28.9 g $kg^{-1}$, 126.2 mg $kg^{-1}$, 150.8 mg $kg^{-1}$이었으며, 무농약 재배지 토양은 각각 5.92, 28.4 g $kg^{-1}$, 98.4 mg $kg^{-1}$, 230.1 mg $kg^{-1}$이었다. 치환성 양이온인 $K^+$, $Ca^{2+}$, and $Mn^{2+}$의 평균값은 유기재배지 토양의 경우 각각 0.22, 4.83, 0.94 cmol + $kg^{-1}$이었고, 무농약 재배지 토양의 경우 각각 0.33, 5.25, 1.04 cmol+ $kg^{-1}$이었다. 유기 재배지 농업용수의 pH, DO, BOD, COD, SS는 각각 7.23, 8.40, 2.80, 1.86, 2.58 mg $l^{-1}$이었고, 무농약 재배지의 농업용수는 각각 7.65, 9.16, 2.25, 4.11, 4.00 mg $l^{-1}$이었다. 이와 결과를 기초로 하면,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의 인증기준이 되는 토양과 농업용수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한국의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로 나누어진 친환경농산물인증을 국제기준의 유기(식품)인증으로 일원화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