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면세균막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8초

일부 대학생에서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및 관리 난이도 (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 Control Difficul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 최하나;임순연;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4
    • /
    • 2012
  • 본 연구는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및 관리 난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지역에 위치한 N대학교 치위생학과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학생들이 제출한 임상치위생 증례보고서의 대상자 158명의 기록 가운데 가운데 본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기록을 제외하고 총 131부(82.9%)의 진료기록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1.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 수행 시 방문 차수에 따른 치면세균막 감소효과를 확인한 결과 2회 방문자(p=0.001), 3회, 4회, 5회, 6회 방문자(p<0.001)는 각각 방문 횟수가 많을수록 치면세균막 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7회 방문한 대상자의 경우에는 감소된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42). 2.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의 최종방문 시 치아 부위별 치면세균막 지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치아 부위를 순/협면, 설/구개면, 인접면으로 분류했을 때에는 설면/구개면의 치면세균막 지수가 26.5%로 가장 높았다. 3. 상/하악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측정한 결과 상악과 하악의 치면세균막 지수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501, p=0.014). 순/협면, 설/구개면, 인접면의 치면세균막 지수에 대한 분석 결과 순/협면, 설/구개면, 인접면의 치면세균막 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Wilks의 람다=0.686, F=26.329, p<0.001). 육분악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확인한 결과 각 부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illai의 트레이스=0.166, F=4.443, p=0.001).

회전법과 변형스틸맨법의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비교 (Comparison of Dental Biofilm Reduction between Rolling Method and Modified Stillman Method)

  • 한예슬;임순연;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0-665
    • /
    • 2012
  • 본 연구는 회전법과 변형 스틸맨법간의 치면세균막 감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천안 소재 대학교 3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한 순수실험을 설계하여 치면세균막 관리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재 전후에 따른 각 잇솔질의 치면세균막 관리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에 측정한 SPS Score와 ${\Delta}R30$에서 두 잇솔질 방법간의 차이는 나타났으나(p<0.05), 나머지 측정값들과 중재 후의 측정값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2. 각 잇솔질 방법에 따른 중재 전 후의 치면세균막 관리를 비교한 결과 PCR, QLF-PCR, ${\Delta}R30$, ${\Delta}R60$에서 회전법과 변형 스틸맨법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회전법보다 변형 스틸맨법 집단에서 치면세균막 지수는 더 큰 감소를 보였고, 잇솔질 교육 중재를 실행한 후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CR과 QLFD 촬영 측정값의 관계에서 PCR과 육안검사 QLF-PCR의 관계, SPS Score와 그 하위 척도 ${\Delta}R$값들의 상관관계는 보였으나, PCR와 QLF값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회전법과 변형스틸맨법의 치면세균막 관리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회전법보다 변형 스틸맨법 집단에서 치면세균막 감소차이는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잇솔질 교육을 실행함으로써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 에션셜 오일 함유 구강양치액(가글)의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 효과 (The anti-plaque effect of mouthwash containing Hinoki essential oil)

  • 안소연;성정민;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17
  • 본 연구는 편백 에션셜 오일을 이용하여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강양치액을 연구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 및 치면세균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연구(in vitro)와 전임상연구(preclinical observations)를 통해 조사하였다. 편백에센셜오일은 실험실 연구결과 S. mutans 성장 억제효과와 항미생물 효과를 보였고, 전임상시험 결과 자원자들의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였다. 편백 에센셜 오일은 뛰어난 항미생물 효과와 치면세균막 억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기분해수소수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on Streptococcus mutans)

  • Kim, Ji-Hye;Youn, Ha-Young;Kim, Eun-Kyong;Lee, Young-Eun;Jang, Ji-Eon;Song, Keun-Ba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27-533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표적인 치아우식 유발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S. mutans)에 대한 전기분해 수소수의 항균효과와 치면세균막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BHI 액체배지 상에서 6시간 배양한 S. mutans를 전기분해수소수에 1분 또는 3분 노출시켰다. 전기분해수소수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균주 현탁액을 Mitis Salivarius agar bacitracin(MSB) 배지 상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집락수를 계수하였으며, biofilm formation assay에 따라 crystal violet solution을 30분간 처리하여 치면세균막을 염색하고, 60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치면세균막 형성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전기분해수소수는 S. mutans의 증식과 치면세균막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p<0.001), 특히 치면세균막 형성의 경우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치면세균막 형성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수돗물 전기분해수소수는 S. mutans의 증식과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를 통해 치아우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맞춤형 반복교육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효과 (Control Effect of Oral Health Following Individualized Repeated Instruction)

  • 조민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1-365
    • /
    • 2008
  • 본 연구는 환자 스스로 구강관리를 적절히 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도록 개개인을 상대로 4차례의 맞춤형 구강교육을 실시하여 성별, 나이별, 직업별, 가정의 월 평균 소득별, 학력별로 1차에서 4차까지의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환자의 구강관리 정도를 평가함으로서 국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환자별 맞춤형 구강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1. 환자별 맞춤형 구강교육의 진행에 따라 치면세균막관리점수가 높아졌다. 2. 성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남자보다 여자의 점수가 조금 더 높았으나 큰 점수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나이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50~59세, 30~39세가 전체 치면세균막 평균점수보다 1차~4차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20~29세, 40~49세, 60세 이상은 1~4차 모두 낮게 나타났다. 4. 직업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무직과 전문직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5. 가정의 월 평균 소득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25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250~500만원 미만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6. 학력별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는 1차와 2차에서는 대졸이상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3차와 4차에서는 전문대졸 또는 대학중퇴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 PDF

Qraycam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laque Score Using Qraycam)

  • 김미;이수영;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7-382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 64명을 대상으로 Qraycam을 이용한 이미지로 치면세균막 지수를 측정하여 착색 검사와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정 방법, 측정 부위, 지수유형별에 따른 치면세균막 지수의 각 측정값 사이에 높은 일치도가 나타났다. 측정 방법에 따른 전치부 순면의 Quigley-Hein index와 PCR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측정 부위에 따른 Quigley-Hein index와 PCR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Qraycam 검사와 착색 검사의 지수유형별 kappa계수를 확인한 결과 kappa값의 평균은 Quigley-Hein index 0.90, PCR 0.84로 전체적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Qraycam과 착색 검사의 전치부 순면 및 전체 치아를 Quigley-Hein index와 PCR로 측정하였을 때, 변수 간 ICC는 1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측정방법, 측정 부위, 지수유형별에 따른 치면세균막 지수의 일치도 평가에서 모든 측정값의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Qraycam은 치면세균막 검사 시 screening 도구로서 충분한 신뢰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 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 평가 (Dental plaque removal efficiency of a smart toothbrush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children)

  • Min-Ji Park;Suk-Bin Jang;Jae-Young Le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3-42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활용한 증강현실의 기반의 칫솔질 가이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린이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중맹검 교차임상시험을 통하여, 5-12세 어린이 20명을 대상으로 일반 칫솔질 후 치면세균막 제거효율을 측정하고 워시아웃기간 이후, 증강현실 기반 칫솔질 수행 후 치면세균막 제거효율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증강현실 기반 양치질이 일반 양치질보다 플라그 제거 효율이 우수하였다(p<0.05).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전치부에서는 두 가지 칫솔질 방법 간 플라그 제거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6), 구치부에서는 플라그 제거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결론: 증강현실 기반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양치질에 대한 치태 제거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ICT 기술을 접목한 구강보건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치면세균막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 효과 (Effect of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Education on Plaque Control)

  • 조민정;민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88-2092
    • /
    • 2010
  • 이 연구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H치과의원에 방문한 환자를 교육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134명과 대조군 110명에게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구강지식, 구강인식, 구강실천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실제 구강실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를 O'Leary index로 평가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 후 관심도, 주관적 건강상태, 구강인식, 구강지식, 구강실천, 치면세균막 관리점수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01). 그리고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의 횟수가 늘어남 에 따라 치면세균막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일부 청정식품의 경도 차이에 따른 치면세균막 제거 및 구취감소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Reduction of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Malodor according to Hardness of Detergent Food)

  • 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24-330
    • /
    • 2017
  • 본 연구는 수분이 많은 청정식품의 경도라는 규격화된 기준을 두어, 경도에 따른 청정 작용의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 그 효과로 구취가 제거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 20.8세의 여성 19(95.0%)명, 남성 1(5.0%)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PASW SPSS statistics 24.0(IBM Co,Armonk,NY,USA)를 사용하였으며, 제1종 오류는 0.05로 하였다. 모든 청정식품에서의 섭취 전과 섭취 후의 치면 세균막의 제거정도는 오이는 PHP Index, 토마토는 PHP Index와 plaque rate, 배추는 plaque rate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경도에 따른 청정식품 종류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청정식품에서의 구취제거 효과에는 구취성분 중 $H_2S$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변화량의 평균이 배추, 토마토, 오이순으로 청정식품의 경도에 따라서는 구취제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청정식품 종류의 다양화와 많은 피험자의 수, 구취측정 시간을 통제하는 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실생활에서도 이를 활용한 식이조절법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식품에 관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칫솔질 교육의 치면 세균막 억제 효과 (PLAQUE CONTROL EFFECT OF TOOTH BRUSHING INSTRUCTION)

  • 유은규;손미연;최성철;김광철;박용덕;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25
    • /
    • 2012
  • 좋은 구강 위생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치태 조절은 필수적이며, 가장 보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올바른 칫솔질이다. 그러나 아동들은 올바른 칫솔질을 시행하기 어려워 칫솔질 교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교육의 치태 조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기본 정보를 조사하고 치면 세균막 지수와 치아 및 혀 세정도, 구취 관리도를 측정하는 조사를 총 4회에 걸쳐 시행하여 칫솔질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치면 세균막 지수는 감소하였고(p<0.01), 치아 및 혀 세정도는 증가하였다(p<0.01). 구취관리도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1). 이러한 결과 칫솔질 교육은 구강 내 치면 세균막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보여, 아동들의 좋은 구강 위생 환경의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