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 선별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 중요도 조사 (Survey on the Rol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belonging to Dementia Relief Center for Health Care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 주은솔;방요순;황민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99-608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중요도 순위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업무를 확인하여 역할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광주광역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메일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및 치매안심센터 현황(8문항), 치매안심센터 사업영역 및 업무 내용(45문항)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주관식 1문항), 총 5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은 대상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매예방 관리사업'을 주로 수행하고 있었고, 만족도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선별검사'는 수행도, 만족도가 높고 고유의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로는 배정되지 않아 역할의 미흡함을 나타내었다. '행정업무 및 지역사회 역량강화'는 수행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지만, 치매안심센터의 운영과 대상자 관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업무이기에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업범주 또한 작업치료사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와 일치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이 고유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립을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수행도, 만족도, 중요도를 기반으로 한 운영지침의 개정이 필요하며, 수행도 및 만족도가 미흡한 업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지역사회 치매 고위험군 선별 및 웹을 이용한 예방프로그램 개발 (Screening for High Risk Population of Dementia and Development of the Preventive Program Using Web)

  • 김정순;정인숙;김윤진;황선경;최병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6-245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model for identifying a high risk group of dementia an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web-based prevention program. Method: It was conducted in 5 phases. 1) Data were collected from dementia patients and non-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2) A screening model of the high risk population was constructed. 3) The validity test was performed and the model was confirmed. 4) Four weeks-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5)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and evaluated the effects. Result: The model consisted of age, illiteracy, history of stroke and hypercholesterolemia.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12 sessions, group health education using web-based individual instruction program, and 12 sessions of low-intensity physical exercise program. After the completion, their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s in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perceived barrier in the treatment group i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The screening model developed is very simple and can be utilized in diverse community settings. And the web based prevention program will encourage individual learning and timely feedback, therefore it can facilitat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promot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at home.

후각 바이오 정보 기반 치매 가상증강콘텐츠 기술 동향 (Digital Olfactory Based Dementia Screening and Cognitive Enhancer Content)

  • 최종우;장성준;방준학;이해룡;김진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4호
    • /
    • pp.89-97
    • /
    • 2019
  •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largely based on its corresponding recognition technology and smell stimulus that acquires, analyzes, and process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esent in chemical molecules, which are present in the breath or air evoked by an electronic nose artificially imitating the human biological nose.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also based on a scent display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diverges various digital flavors based on aesthetics, concentration, duration, and intensity information required to enhance the sensibility using a computer.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noninvasive screening of dementia by sensing, analyzing, encoding, and transmitting bio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olfactory interface, both domestically and externally; further, the olfactory medical content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delay or reduce the onset of dementia.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using olfactory biology information and dementia cognitive enhancer content that delays or reduces the onset of dementia.

우울정상노인과 우울노인의 인지기능저하에 미치는 위험요인 비교 (Comparison of Risk Factors in Cognitive Impairment between Non-depressive Elderly and Depressive Elderly)

  • 박광희;김혜순;이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1-310
    • /
    • 2013
  • 본 연구는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노인 1,477명을 대상으로, 우울이 없는 정상노인과 우울노인으로 선별하고, 이 두 집단의 인지기능저하요인들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결과를 보면 우울이 없는 정상노인의 인지기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학력이었으며, 연령(OR=1.095)이 높을수록 또한 무학(OR=9.129)이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이 높았다. 한편 우울한 노인의 인지기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학력, 거주형태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OR=1.101), 학력이 낮을수록(무학:OR=33.020, 초졸:OR=10.176, 중졸:OR=9.841), 기관에 거주할수록(요양원거주:OR=8.490)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고위험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우울노인들 중에서도 특히 학력이 낮고 사회적 지지가 취약한 노인을 초점으로 중재하는 것이 치매관리에 소요되는 사회자원을 비용-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Dementia Patients)

  • 이현진;권혁철;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72-480
    • /
    • 2018
  • 본 연구는 경도와 중등도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능력을 알아보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대구광역시 지역의 주간보호센터를 방문하는 95명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한국판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노인용(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Geriatric population: (LOTCA-G)을 사용, 작업 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HO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SPSS 20.0 통계처리 프로그램의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정도를 분석하였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의 평가 및 치료적 목표 수립 시 인지 기능과 관련한 작업 참여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논문 분석 (Analyses of Studies on the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Elderly with Dementia)

  • 차현수;황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91-40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문헌 검색은 치매, 알쯔하이머, 알츠하이머, 낙상, 낙상예방을 검색어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4u.net),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http://kiss. kstudy.com)와 pubMed, CINAHL을 통해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였다. 전자 자료를 검색한 후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하여 선별한 13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중재분야는 운동 치료(8편, 61.5%), 물리 치료와 작업 치료(2편, 15.4%), 보완대체요법(2편, 15.4%), 음악 치료(1편, 7.7%)이었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 리스트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 결과 10점 만점에 9점인 연구가 2편, 8점인 연구가 5편, 7점인 연구가 6편이었다. 낙상예방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재시간은 1회당 평균 55분을 시행하였고 중재 총 시행 횟수는 평균 37회이었다. 분석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운동 치료(타이치 포함), 음악 치료, 물리 치료와 작업 치료, 율동 동작 치료 등이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에 의한 낙상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선별검사(CIST),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2판(K-MMSE~2) 및 임상치매척도(CDR)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nd Edition (K-MMSE~2) an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of Patients with Stroke)

  • 황도연;류성현;권기현;최초롱;김수아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53-6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기능 평가 도구 간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에서 평가 도구를 선정하거나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병원 등 의료기관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도구는 인지선별검사(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2판(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nd Edition: K-MMSE~2)과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를 사용하였다. 평가 도구 점수 간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전체 CDR 점수에 따른 CIST와 K-MMSE~2의 총점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CIST와 K-MMSE~2의 총점 및 전체 CDR 점수 간 상관관계는 CIST와 K-MMSE~2(ρ=.956), CIST와 CDR(ρ=-.957), K-MMSE~2와 CDR(ρ=-.971)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CIST와 K-MMSE~2의 하위영역별 점수 간 상관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전체 CDR 점수에 따른 CIST와 K-MMSE~2의 총점 비교는 모든 전체 CDR 점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CIST, K-MMSE~2 및 CDR 간에 상관성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다른 대상자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병원 등의 임상에서 인지기능 평가 도구를 선정 또는 사용함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새로운 치매 선별검사를 이용한 도시지역 노인의 치매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Dementia in an Urban Elderly Population Using a New Screening Method)

  • 신희영;이정애;윤진상;김재민;정은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3호
    • /
    • pp.351-358
    • /
    • 2005
  • Objectives : Dementia has rapidly increased with the prolongation of life expectancy and aging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nd find related factors for, dementia in an urban elderly population, using a newly developed screening method. Methods : Seven hundred and six people, aged over 65 years-old, in Dong district of Gwangju, Korea, were recruited using stratified cluster sampling, and completed Korean version of Geriatric Mental State Schedule B3 (GMS B3-K), the Korean version of the Community Screening Interview for Dementia (CSID-K) and modified 10 word list-learning from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of Alzheimer's Disease (CERAD). Dementia was diagnosed by an algorithm derived from all three of these measures. Results : The crude and age adjusted prevalence rates of dementia were 13.0 and 11.5%, respectively.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a history of cerebrovascular disease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lated with dementia. Conclusions : The new instrument, using the GMS B3-K, CSID-K and modified 10 word list-learning from the CERAD, was considered effective as a community screening and diagnostic tool for dement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also be used to develop a community-based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dementia in the future.

일부 지역 노인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상태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in the elderly in some areas)

  • 김유린;허성은;장경애;강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Method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KDSQ-C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s-Cognition) an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normal and suspected dementia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Results: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assessed by the KDSQ-C, the higher the current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exercise status, the lower was the dementia level (p<0.05). During the assessment of oral health conditions in KDSQ-C subjects, dementia was more suspected in subjects with dental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than in those without dental decay (p<0.05). Conclusions: Dementia has been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to general and oral health conditions. Therefore, oral health-related programs are essential for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ince dental hygienists are best suited for providing oral care to older adults with dementia,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reflect their occupation in future national policies.

Cognitive Impairment Prediction Model Using AutoML and Lifelog

  • Hyunchul Choi;Chiho Yoon;Sae Bom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53-63
    • /
    • 2023
  • 본 연구는 고령층의 치매 예방을 위한 선별검사 수단으로 자동화된 기계학습(AutoML)을 활용하여 인지기능 장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치매 고위험군 웨어러블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구글 코랩 환경에서 PyCaret 3.0.0이 사용하여 우수한 분류성능을 보여주는 5개의 모형을 선정하고 앙상블 학습을 진행하여 모형을 통합한 뒤, 최종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Voting Classifier, Gradient Boosting Classifier, Extreme Gradient Boosting,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Extra Trees Classifier, Random Forest Classifier 모형 순으로 높은 예측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면 중 분당 평균 호흡수'와 '수면 중 분당 평균 심박수'가 가장 중요한 특성변수(feature)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층의 인지기능 장애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계학습과 라이프로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려를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