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 돌봄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을 통해 본 모녀관계 경험연구 (Study on the Experience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rough the Process of Admission to Nursing Care Facilities)

  • 서승희;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61-172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을 통해 중년기 여성의 모녀관계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치매어머니가 요양보호시설에 입소한 중년 여성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Colazz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17개의 주제묶음과 6개의 하위범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치매어머니가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에서 모녀관계가 극적으로 역전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에서 아들보다 딸이 치매어머니의 돌봄과 관리에 주체적인 입장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에서 급격한 모녀관계 변화, 나아가 가족관계의 전환으로 우울증과 불안, 상실감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시설 입소가족을 위한 교육 또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재가치매 환자의 미충족요구와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Unmet Needs of Elders with Dementia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 최소라;박명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63-67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test a prediction model for caregiving experiences including caregiving satisfaction and burden in dementia family caregivers. Methods: The stress process model and a two factor model were used as the conceptual framework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done with 320 family caregivers who were selected from the Seoul Dementia Management Survey (2014) data set. In the hypothesis model, the exogenous variable was patient symptomatology which included cognitive impairment, behavioral problems, dependency i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i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Endogenous variables were caregiver's perception of dementia patient's unmet needs, caregiving satisfaction and caregiving burden.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dows and AMOS program. Results: Caregiving burden was explained by patient symptomatology and caregiving satisfaction indicating significant direct effects an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from unmet needs. The proposed model explained 37.8% of the variance. Caregiving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patient symptomatology and unmet needs. Mediating effect of unmet need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ymptomatology and caregiving satisfaction.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interventions focusing on relieving caregiving burden and enhancing caregiver satisfaction should be provided to caregivers with high levels of dementia patients' unmet needs and low level of caregiving satisfaction.

지역사회 거주 남성노인을 위한 치매 돌봄 프로그램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 Dementia Care Support Program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 Men)

  • 고하나;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1-93
    • /
    • 2020
  • Purpose: We developed and tested the effects of a car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 men.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26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multiple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ing improving understanding of dementia through education, activities for dementia prevention, and promoting psychological change. In particular, based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care of the men older adults, we used strategies to promote motivation and reinforce strengths.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6-week intervention program,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lder adult men in the care program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for the following: cognitive functions (p=.035), attitude toward dementia (p=.026), preventive behavior (p=.007), geriatric depression (p=.013), caring confidence (p=.018), and self-esteem (p=.013).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ir cognitive function, attitude towar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caring confidence, self-efficacy, and on decreasing depression rates in this population. Based on this, we can recommend this program to men caregivers for the improved care of dementia in community centers.

간호사의 치매노인 말기 돌봄에 대한 경험 (Nurses' Experiences of End of Life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 김춘길;이영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9-13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urses' experiences of end of life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geriatric care fac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nine nurses. Open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June, 2016 to November, 2016. Colaizzi's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nurses' reported experiences of end of life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were 'warm care with living together', 'care for family', and the 'self-reflection and responsibility as a nurse'. There were ten clusters of themes and 24 themes.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end of life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were individualized holistic care with dignity, being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family, and responsibility as a professional. Nurses reported the need for dementia hospice care.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nursing intervention for hospice care. The findings support the need for educational strategies and programs to improve end of life care amo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요양보호사의 치매태도와 돌봄행위 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Dementia Attitude and Car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Competence)

  • 오영주;전영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6-4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passion competence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Methods: 211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May 24th, 2023,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ean score for care behavior was 3.67±0.97 (range 1~5). Car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dementia (r=.7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r=.75, p<.001). Using Baron and Kenny's approach and PROCESS Macro model 4, care behavior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β=.76, p<.001). Compassion competence (β=.66, p<.001)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competence (β=.47, p<.001, 95% confidence interval 0.10~0.23) on the impact of dementia attitude on care behavior was confirm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assion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dementia-related attitudes and improve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치매노인환자 간병지원을 위한 스마트 돌봄 플랫폼 설계 (The Design of Smart Care-platform for Supporting Care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김미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11-125
    • /
    • 2020
  • In modern society, dementia patients are increasing due to busy daily life. Due to the nature of dementia, family members are having a hard time with their caring activities. Dementia diseases reduce the quality of life not only of the patient, but also of the family, and nursing activities lead to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or frequent turnover.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difficulty and stress of the nursing process by supporting daily life of dementia patients and nursing activities through smart care platform. Ultimately, we will reduce the cost of treatment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delay the worsening of symptoms through a systematic care program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smart dementia care platform features smart technology to help the dementia patients' daily lives and support their caregivers.

AI로봇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I Robot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fe activi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t home)

  • 김연미;송미영;양정숙;나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11-52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다양한 노인돌봄 방식의 변화가 제기되고 있어, 재가의 경증치매 및 신체허약노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방식의 돌봄기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 로봇 통합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6월 4일부터 9월 17일까지이며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 대상자의 설문결과를 SPSS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언어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등도 이상 우울과 경증 우울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인지기능은 장기요양등급과, 일상생활활동은 동거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노인돌봄 현장에 비대면 방식의 돌봄기술을 도입한다면, 노인의 인지기능훈련 및 우울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환자 부양자부담과 생활권 내 소규모 주·야간 돌봄 서비스 모델 (Caregiver Burden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Day Care Center of Small Size Model within a Zone of Life)

  • 나승권;박은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28-43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장기요양보험 제도의 틀 안에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 선행연구와 2012-2013년에 걸쳐 조사된 Caregivers of Alzheimer's Disease Research(CARE study)를 사용하여 부양자의 특성과 부담을 조사하였다. 치매환자의 주부양자 부담은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연령, 경제력,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등 여러 요인이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부양자가 우울증을 겪을 위험도 높게 나왔다. 이에 부양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서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현 제도의 재가서비스 확장 모델로 소규모 주 야간보호서비스(가칭)를 신설하는 것으로 9인 이내의 규모로 주거지에서 5분 이내 거리에 개설을 하고 치매환자에만 국한시켜 질환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기존의 주 야간보호서비스와 소규모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과 차별화하는 것이다.

요양병원에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일부 치매노인 환자의 특성과 부작용 관련성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Relevance of Physically Restrained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Nursing Hospitals)

  • 김수연;채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21-2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치매노인 환자의 구체적인 특성과 부작용 발생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2016년 5개 요양병원에서 치매노인에게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간호사,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90개의 자료를 SPSS 21.0의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5- 84세' 연령의 환자가 58.3%, 1일 총 적용시간 중 '17-24시간'인 환자가 22.6%, 밤에 적용한 환자가 57.4%, 낙상과거력이 없는 환자가 54.2%를 차지하였다. 연령은 국소부종, 관절구축과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85세 이상의 환자에서 관절구축의 발생빈도가 25%로 나타났다(p<.05). 보행능력은 욕창과 관련이 있었으나 걸을 수 없는 환자보다 걸을 수 있는 환자의 욕창 발생빈도가 오히려 더 많았다. 총 적용시간은 피부발적, 국소부종, 관절구축의 3가지 부작용과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5). 본 연구를 기초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환자 돌봄 시 연령과 총 적용시간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AI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care using AI technology)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51-156
    • /
    • 2023
  • 현재 다양한 정보통신기술들이 독거노인 돌봄과 치매노인 실종방지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커뮤니티케어 정책을 통해 인공지능과 로봇활용 비대면 돌봄은 향후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정부정책 방향에 기반하여 커뮤니티케어에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 돌봄서비스 현황과 활용 및 활성화 전망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커뮤니티케어에 활용될 수 있는 서비스인 AI 스피커와 돌봄로봇은 노인층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며, 감성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대화 부족이나 외로움을 해소하는데도 활용하고 있다. 향후 AI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커뮤니티케어 고령자의 AI기기 친밀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고령층을 위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디자인'이 필요하며, 둘째, 기능위주의 기술 활용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감성적인 상호관계가 가능한 인간중심의 기술 활용이 필요하며. 셋째, 사용자의 자기결정권 보장, 사생활 보호 등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