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환자 유형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 조사 (Research for Recognition Levels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on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 조미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05-212
    • /
    • 2020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 수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별 기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 중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7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 모두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의 경우, 방문형 모델을 제외한 6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은 치매환자 쉼터 운영사업과 치매가족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이용경험 유무에 따라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 치매가족 지원사업,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작업치료 전공 관련 교육기반 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확인 유형 (A Study on the Types of Pain Identification by Nurses for Nursing Home Patients with Dementia)

  • 이수정;장성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8-51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types of pain identification made by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Method: To collect the Q-population, 12 nurses working in nursing homes were interviewed. From the collected data, 69 statements were derived and eight patterns of pain identification were categorized. Thirty statements were derived as the Q-sample. Thirty nurses were sampled as the P-sample. The 30 Q-cards with Q-statements were Q-sorted by the P-sample. The results of the Q-sorting were coded and analyzed using the PC 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pain identification were identified by nurses for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nursing homes; Type 1 was named "estimating based on verbal expressions". Type 2 was named "reasoning through physical symptoms". Type 3 was named "confirming pain based on nonverbal expressions being consistent with conditions of physical function". Type 4 was named "empathizing with vocal expressions". Type 5 was named "confirming by comparison with objective pain indicators one by on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in identification by nurses could help improve the assessment of pain in patients with dementia.

치매환자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Dementia Inpatient)

  • 류은정;박혜원;배현숙;권재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253-1262
    • /
    • 2006
  • This research explored the clothing behavior of dementia inpatient according to the dementia severity, dementia typ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149 dementia in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X^2$-test, one 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mentia severity was classified into the severe, moderate and mild dementia by K-MMSE and the dementia types were composed of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the others. The severe dementia group and Alzheimer's disease group included the more aged and more female inpatients. And the severe dementia group was lower self-support of th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an the mild dementia group. Second, the change motions of the dementia inpatient's clothing differed from the clothing item and dementia severity. That is, the motions for pants were more difficult than those for upper garment. And the motions for severe dementia group were more difficult than those for the mild dementia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by dementia severity and between the male and female dementia inpatient in the clothing behavior. Most of abnormal clothing behaviors were found in the severe dementia group. The positive clothing behaviors appeared in the mild dementia group. And interests of clothing and appearance appeared in the female inpatients.

운동이 치매 환자의 수면 관련 인자,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Quality and Dementia-related Factors of Dementia Patients)

  • 윤병곤;김종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40-746
    • /
    • 2019
  • 운동은 치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매 관련 연구에서는 치매의 증상 완화, 치매에 관한 다양한 치료 및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 기능과 치매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치매와 뇌 기능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수면 관련 인자(melatonin, serotonin), 치매 관련 인자(BDNF, beta-amyloid, IGF-1, Irisin, GLU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yokine (Irisin, IGF-1), GLUT 및 Melatonin이 지구성 운동을 통한 BDNF 활성화를 통해 치매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유형, 형태, 기간 및 운동 강도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추후 운동과 치매에 관한 기전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이해 증진 : 양안 지각 (A Convergent Approach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Alzheimer's Disease: Stereoscopic Vision)

  • 김남균;이호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3-110
    • /
    • 2019
  • 알츠하이머형 치매(Alzheimer's disease, AD)가 입체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정상노인, AD환자,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환자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입체시 지각능력을 검사했다. 화면 좌우에 두 개의 정육면체가 제시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둘 중 자신에게 더 가까운 물체를 지적하였다. 이 때 물체들 간의 상대적 거리를 절대부등과 상대부등으로 분리하여 조작하였으며, 각 부등 유형에서 교차부등과 비교차부등으로 부등의 방향도 함께 변화시켰다. 그 결과 MCI환자들과 AD환자들이 정상노인 못지않게 정확하게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입체시 지각과정이 AD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를 AD로 인해 영향을 받는 고차원 시각 과정과 비교하면서 논의하였다.

메타분석을 통한 주·객관적 인지-언어 평가 간 상관성 연구 : 정상 노년층, MCI,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 Focused on Normal Aging, MCI, and Dementia)

  • 이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14-7423
    • /
    • 2015
  •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호소는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의 진전을 예측하는 중요 요인이다. 그러나, 인지-언어 능력의 주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연구마다 상이하다. 특히, 양자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게재된 국내외 문헌 중 총 26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상 노년층, MCI, 치매 집단의 자기 보고형 및 정보제공자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상자의 수는 26~657명이었다. 주관적 평가의 유형은 자기 보고형 75.4%, 정보제공자 보고형 24.6%였으며,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은 기억력, 전반적 인지능력, 언어능력 등의 순으로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 자기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치매 집단이 가장 높았고, 정보제공자 보고형은 세 집단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는, 정상 노년층에서 자기 보고형과 추론력,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기억력 및 언어능력 간에 상관성이 높았다. MCI에서는 자기 보고형과 언어능력 등,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전반적 인지능력 등의 영역 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치매 집단에서는 두 유형 모두 기억력, 언어능력, 전반적 인지능력을 잘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세 집단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두 유형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과 비운동 증상의 상관관계: 요인 분석 융합 연구 (Correlation of motor and non-motor symptoms in Parkinson's disease: a factor-analytic convergence study)

  • 강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1-78
    • /
    • 2022
  • 파킨슨병은 임상적으로 인지 및 신경정신과 증상을 포함한 다양한 운동 및 비운동 증상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증상을 통합하여 임상적 하위유형(clinical subtype)으로 분류하는 것은 초기 치료 개입에 유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인지, 신경정신증상과의 상관관계 패턴을 확인하고자 한다.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104명의 환자에게 운동 및 인지기능 검사와 신경정신증상에 대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운동, 인지, 신경정신증상을 포함한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적 하위유형을 추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개의 운동관련 요인과 3개의 인지관련 요인 및 4개의 신경정신과적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상관관계의 특성이 파킨슨병의 질병과정에서 특징적인 동반증상 패턴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하위유형을 확인하고 치료적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Anxiety and Depression in Dementia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채공주;이미경;남은숙;이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0-530
    • /
    • 2021
  • 목표: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PsycINFO에서 종합적인 문헌검색을 하였고 메타분석에서는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 차이(Hedge's g)와 95% 신뢰 구간은 요약 측정으로 산출하고 랜덤 효과 모델과 역분산 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13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오류 위험 평가를 위한 코크란 평가도구를 근거로 질 평가를 하였다. 결과: 효과 크기(Hedge's g)는 1차 결과 변수인 인지기능 0.31[95% CI:-0.02, 0.65], 초조행동 -0.03[95% CI: -0.17, 0.11], 2차 결과 변수인 불안 -0.61[95% CI: -1.17, -0.05], 우울 -0.44[95% CI: -0.88, 0.00]이었다. 음악중재 유형별 하위그룹 분석 결과 복합음악요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g=0.45[95% CI: 0.03, 0.87])에 유의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악요법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복합음악치료는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

행동심리증상을 보이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 유형 (Types of Empathy among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김근면;이옥균;이정란;강옥희;정영화;장수정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2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structures and types of empathy among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using Q-methodology. Methods: Thirty-eight Q-samples (statements) were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The Q-sorting was conducted in rank order (the responses obtained by each of the 30 nurses working at 3 long-term care hospitals and 4 nursing homes) into a normal distribution grid (from -4 to +4). The types of empathy among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empathy accounting for 48.5% of the total variance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taking the patients' personality into consideration while helping, (2) interacting closely and emotionally, (3) supporting the patient as a companion, (4) performing the duty in a defensive manner, and (5) resolving patients' problems by focusing on their need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empathy in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BPS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and educative programs to enhance empathy competency and deal with burnout based on the type of empathy.

치매환자 동거 가족의 미충족 의료 유형별 관련 요인 (Factor Associated with the Unmet Healthcare Needs Types among Family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 김봄결;노영민;이예진;김태현;노진원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31
    • /
    • 2020
  • Purposes: Family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have the burden for caring and suffer from health problems. Therefore, proper supports for their health disorder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regard to this is to subdivide unmet healthcare needs of family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into affordability, accommodation, and accessibility and figure out the relevant factors. Methodology: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was used, and 2,331 familie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was included. To figure out the factors with regard to the types of unmet healthcare need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ex,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economic activity, self-rated health, self-rated stress and perception of depressive symptoms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related to unmet healthcare needs. Regarding affordability, unmet healthcare needs were low when the object was female, over 65, highly educate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high. On the other hand, unmet healthcare needs was high when self-rated health was bad, self-rated stress was high, and had depression. With regard to accommodation, unmet healthcare needs were low when the object was over 65. Unmet healthcare needs were high when the object was female, economically active and had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was high. Regarding accessibility, unmet healthcare needs were low when the object was high school graduate, but it was high when self-rated health was bad.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amily with dementia patients had a high proportion of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affordability and accommodation. The existing main discussion was that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normally occurred due to economic reasons, but a consideration on various cases and factors is required to ultimately achieve the policy goal to reduce the unmet healthcare needs of the family living with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