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태도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Behavior of Dementia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 한은경;서유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77-385
    • /
    • 2022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 101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16일까지 수행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는 치매지식(r=.4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β=-.26, p=003), 주관적 건강상태(β=.26, p=.003), 치매에 대한 지식(β=.37,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8.7%이었다. 이에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매예방교육 중재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지역주민의 치매 인식도, 치매 태도 및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Depression of Residents in a Community)

  • 이은자;조미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depression among residents in a commun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from 226 residents in Incheon city from February to May,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depress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ementia according to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exercis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dementia were found in occupation, family history of dementia and education about dementia.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alcohol drinking. The scores of perception of dementia and depression were 11.09, 2.37, respectively on a 2-point scale and for attitude toward dementia was 85.94 on a 7-point Likert scale. The perception of dementi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ption of dementia and age and between depression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improve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reduce depression to prevent and manage dementia effectively.

대학생의 치매 지식 및 태도가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미정;문혜경;오두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54-566
    • /
    • 2017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based on 235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15, 2017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fter adjusting for the general and dementia-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were dementia attitude. Moreove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explained 27.8% of the variance i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educato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dementia attitude and to develop plans to increase dementia knowledge in order to reduce university students' prejudice against senile dementia.

요양보호사의 치매태도와 돌봄행위 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Dementia Attitude and Car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Competence)

  • 오영주;전영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6-4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passion competence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Methods: 211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May 24th, 2023,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ean score for care behavior was 3.67±0.97 (range 1~5). Car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dementia (r=.7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r=.75, p<.001). Using Baron and Kenny's approach and PROCESS Macro model 4, care behavior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β=.76, p<.001). Compassion competence (β=.66, p<.001)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competence (β=.47, p<.001, 95% confidence interval 0.10~0.23) on the impact of dementia attitude on care behavior was confirm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assion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dementia-related attitudes and improve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주관적 태도: Q 방법론적 연구 (A Q-methodology Study on Subjective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 하은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7-118
    • /
    • 2020
  • Purpose: Nursing students are key personnel to take care of people with dementia in the nursing field in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bjective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Methods: Q methodology, which is a research method to study people's subjective points of views, was used. Thirty seven Q-statements (Q-sample) were derived from the Q population (Concourse) and were arranged in rank order by each of 42 participants into a normal distribution grid (from -4 to +4). A QUAN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ree types of attitudes toward dementia were identified: 'self-guided dementia management', 'national-guided dementia management' and 'facility-guided dementia manage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rsing strategie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dementia and actively cope with dementia should be considered.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ith Early Dementia)

  • 백승숙;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149-15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변화과정을 행동변화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와 함께 질적연구를 통한 심층 분석을 이용한 혼합연구를 설계하였다. 양적연구는 수원시 P 구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초기치매노인 20명을 실험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질적연구는 초기치매노인 10명을 대상으로 행동변화 관찰일지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p<.001, t=-5.871을 미쳤다. 둘째,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p<.001, t=5.325)을 미쳤다. 셋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사전, 사후 변화에도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초기치매노인과 관련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등에 실효적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초기치매노인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치매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Virtual Reality Program for Dementia Education)

  • 김수현;박희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95-20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교육으로 제공한 국내·외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특성, 효과, 적용 전략 등을 확인하는 체계적고찰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20년 7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국외는 CINAHL, Cochrane, EMBASE, Pubmed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국내는 RISS, KISS, DBpia에 대한 검색을 시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6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선정된 문헌의 연구대상자는 비전문 간병인 2편(33.3%), 일반인 1편(16.7%), 간호학생과 의학 및 약학대 학생을 포함한 학생들 3편(50.0%)이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총 5개(공감능력, 치매 지식과 편안감을 포함한 치매태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 양자관계척도)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 중 공감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공감능력을 측정한 연구의 75%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인간중심적 간호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로마요법이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romatherap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최승완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69-10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시설 입소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의 효과를 연구하여 치매노인과 부양자에게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 등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요양프로그램의 적용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설계로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은 시설입소 치매노인으로 의사소통이나 의사표시가 가능한 15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은 라벤더, 카모마일과 그레이프푸룻을 혼합하여 연구조원들이 아로마 손마사지법과 흡입법을 각각 1일 1회씩 총 15일간 3주 동안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 후의 전체적 변화가 사전의 측정치는 1.47점, 사후1의 측정치는 1.09점, 사후2의 측정치는 1.01점, 사후3의 측정치는 0.71점으로 실험시기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F=11.501, p<0.001)가 있었고, 실험시기의 차이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결과는 대화 또는 태도에서 근심, 걱정, 두려움, 공포의 기분, 우울한 기분, 눈에 띄게 수선스러운 동작, 눈에 띄게 저조한 행동, 수면장애 및 야간배회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로마요법을 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면 치매노인의 심신의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nurse's pain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 류영선;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53-264
    • /
    • 2016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 소재 30개 요양병원의 간호사 168명이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6월 25일에서 7월 15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치매환자 통증에 대한 지식은 18점 만점에 10.73점으로 낮았으며, 통증관리태도는 평균 $2.98{\pm}0.27$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34{\pm}0.61$점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장애요인은 평균 $2.90{\pm}0.51$점으로 중간 정도였으며, 통증관리수행은 평균 $4.09{\pm}0.52$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통증관리수행 정도는 연령(p=.046), 요양병원경력(p=.009), 통증교육(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통증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장애요인과 통증관리수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태도(r=.21, p=.006), 자기효능감(r=.51, p<.001)과는 양의 상관, 장애요인(r=-.16, p=.035)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증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요양병원경력, 통증교육 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30.1%이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관리수행을 높이기 위해서 정확한 통증지식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치매 환자 통증에 대한 태도 및 통증관리 수행도 (Geriatric Hospital Nurses' Empathy, Attitude and Pain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 이미현;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8-39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nurses' empathy, attitude and pain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performance of pain management.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4 nurses working at 12 geriatric hospitals. This study utilized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which measures four empathy factors. Nurses' attitudes toward pain and performance of pain management, and general and pain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Results: Barriers to pain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were absence of guidelines, prejudice of pain in dementia, and lack of time and knowledge defici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attitudes, perspective-taking of empathy and pain management.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pain management.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pain management included perspective-taking of empathy, use of pain management in dementia guideline and attitudes toward pain. These factors explained 24.0% of 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empathy and positive attitude are the important provider attributes which needs to be enhanced by educational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guidelines for a dementia specific pai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