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근단 방사선 사진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Periapical cemental dysplsia의 진단에 대한 치험례 (DIAGNOSIS OF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 이순영;이찬영;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1호
    • /
    • pp.66-71
    • /
    • 2005
  • 치근단 백악질 이형성증은 대부분 하악 전치부에서 발생하는 병소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3단계의 독특한 방사선 사진상의 변화 양상을 보인다 (방사선 투과성기, 혼합기, 방사선 불투과성기). 특별히 1단계인 방사선 투과성기의 방사선 사진 상의 양상은 치수 괴사로 인해 발생하는 치근단 육종이나 치근단낭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이를 감별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방사선 사진 검사와 함께 치수의 생활력을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해당 부위의 치아가 PFG bridge로 수복되어 있는 치수 생확력 검사를 정확하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병소가 처음에는 하악 전치부에 발생하였으나 뒤이어 하악 견치와 소구치부에서도 연달아 발생한 특이한 소견을 보였다.

재근관치료를 통한 치근단 병소의 치유

  • 전정훈;황호길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0-341
    • /
    • 2002
  • 근관치료 후 성패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근관충전의 양상으로 판단 될 수 없다.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소견과 주기적인 환자의 관찰을 통한 방사선 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치근단 병소의 소실과 더불어 불편한 임상증상이 소실되었을 때 비로소 근관치료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방사선학적 치근단병소의 크기와 특징에 대한 치근단낭종 및 육아종의 상관관계연구 (THE RELATIONSHIP OF RADIOGRAPHIC LESION SIZE AND CHARACTERISTICS TO DIAGNOSIS OF PERIAPICAL CYSTS AND GRANULOMAS)

  • 최호식;이우철;손원준;금기연;배광식;백승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24-29
    • /
    • 2010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 중 치근단수술을 시행한 환자 167명에서 생검을 위해 적출한 187개의 치근단병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 얻은 진단명과 환자의 진단기록에서 환자의 성별, 나이, 발병 부위, 방사선 사진 상의 특징 그리고 병소의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초진시 방사선 사진에서 치근단병소의 크기를 $PiViewSTAR^{(R)}$ (INFINITT, Korea)를 이용하여 화소를 계산함으로써 면적을 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계 분석프로그램 SPSS (version 12.0K,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해 방사선사진상 크기와 진단명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나이와 진단명과의 상관관계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고 성별, 부위, 방사선사진상의 특징과 진단명과의 상관관계는 교차분석을 통해 카이제곱검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87의 치근단병소 조직검사결과 치근단병소 중 치근단낭종의 비율은 28.34%, 육아종의 비율은 65.24%, 기타병소의 비율은 6.42%로 나타났다. 2. 방사선사진상 병소의 크기가 커질수록 치근단 낭종일 확률이 높았다(p<0.01). 3. 나이, 성별, 발병부위와 진단명사이에서 유의 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4. 병소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것과 치근단육아종의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진단의 치근단 X선사진과 디지털영상의 비교 (A comparison of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for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 강병철
    • 치과방사선
    • /
    • 제24권1호
    • /
    • pp.31-35
    • /
    • 1994
  • 전남대학교 치과진료처에 내원한 환자의 구내방사선사진중 1단계 (Cl: 30개 병소)또는 2단계(C2: 213.8병소)의 인접면 치아우식을 가진 방사선사진 168장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방사선사진은 코닥사의 Ektaspeed(E group) 필름을 사용하여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다. 168장의 방사선사진에 대하여 1단계 및 2단계 치아우식증을 4명의 구강악안면방사선학을 전공한 치과의사들이 같이 판독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또한 168장의 방사선사진을 필름-비디오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이때 486 DX PC에 PCVision과 frame grabber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구내방사선사 진영상은 17"크기의 1280×768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모니터상에서 256단계 흑화도를 갖는 700×480픽셀로 제시되었다. 모니터상에서의 치아우식 판독 결과를 구내방사선사진 판독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sensitivity는 0.98이었다. 1단계 치아우식은 0.87, 2단계 치아우식 은 1.00의 sensitivity를 나타내었다.

  • PDF

기능하중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의 변화에 대한 프렉탈 구조 분석 (Fractal Analysis of Peri-Implant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Functional Loading on Implant)

  • 홍성완;이재인;조혜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359-370
    • /
    • 2011
  • 임플란트의 골유착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프렉탈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하중 전 후의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를 분석하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성공한 임플란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 식립 시술을 받은 30명의 환자에서 총 42개의 임플란트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환자는 14명의 남자와 16명의 여자로 구성 되었고 나이는 22세에서 73세 사이였다. 치조골의 trabecular 양상의 형태와 프렉탈 분석은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다. 총 2장의 치근단, 즉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임플란트 보철물 장착 후 기능 하중이 가해진 뒤 3개월 후의 방사선 사진이 사용되었다. 분석은 Image J(1.40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USA)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분석방법은 one-way ANOVA(P<.05)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그리고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프렉탈 분석 결과와 임플란트 주변의 골밀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하악에서 이런 결과가 더욱 명백하였다. 또한 두개의 실패한 임플란트의 경우 프렉탈 수치가 각각 1.2865에서 1.1521로, 1.1135에서 1.0478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치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딥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델의 인접면 우식증 객체 탐지 능력의 평가 (Assessment of the Object Detection Ability of Interproximal Caries on Primary Teeth in Periapical Radiograph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 전홍주;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3-27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인접면 우식증 객체 탐지 의 객체 탐지를 위해 YOLO (You Only Look Once)를 사용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M6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자료군으로 2016개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이 선택되었고 이 중 1143개는 한 명의 숙련된 치과의사가 주석 도구를 사용하여 인접면 우식증을 표시하였다. 표시한 주석을 데이터 세트로 변환한 후 단일 합성곱 신경망(CNN)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YOLO를 데이터 세트에 학습시켰다. 187개의 평가자료군에서 객체 탐지 모델 성능 평가를 위해 정확도, 재현율, 특이도, 정밀도, NPV, F1-score, PR 곡선 및 AP를 계산하였다. 결과로 정확도 0.95, 재현율 0.94, 특이도 0.97, 정밀도 0.82, NPV 0.96, F1-score 0.81, AP 0.83으로 인접면 우식증 탐지에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 모델은 치과의사에게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인접면 우식증 병변을 객체 탐지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MTA APEXIFICATION OF TRAUMATIZED IMMATURE PERMANENT INCISORS: A RETROSPECTIVE STUDY)

  •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4
    • /
    • 2011
  •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반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사선사진의 기하학적 보정에 관한 연구 (GEOMETRIC CORRECTION OF RADIOGRAPHIC IMAGES USING GENERAL PURPOSE IMAGE PROCESSING PROGRAM)

  • 정지성;김은경;이상훈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371-379
    • /
    • 1994
  • 본 연구는 비규격화시켜 촬영한 두장의 방사선 사진을 일반 영상처리 프로그램으로 기하학적 보정을 하여 디지탈 공제 촬영술을 시행한 결과를 개인별로 제작된 필름유지장치를 이용하여 규격화 시켜 촬영한 두장의 방사선사진을 디지탈 공제 촬영술을 시행한 결과와 비교하여 일반 영상처리 프로그램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시행하였다. 19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에서 4매의 하악구치부 치근단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중 2매는 XCP 필름 유지장치만으로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고, 나머지 2매는 교합제에 인상재를 부가하여 개인별로 제작된 XCP필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표준화시켜 역시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다. 기하학적 보정은 "Adobe Photoshop"과 "NIH Image" 프로그램으로 시행하였다. 특히 "Adobe Photoshop"의 임의영상회전 기능과 "IH Image"의 공제시술시 중첩된 사진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기능, 병진기능을 활용하였다. 두 사진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공제된 사진의 계조도의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표준화군의 평균 표준편차가 기하학적 보정군의 평균 표준편차보다 약간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하악구치부 에서 XCP필름 유지장치로 평행촬영한 비표준화방사선사진을 "Adobe Photoshop"과 "NIH 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보정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작은 치아종으로 인한 맹출 장애 (ERUPTION DISTURBANCE ASSOCIATED WITH A SMALL ODONTOMA)

  • 송지현;이광희;라지영;이동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0-497
    • /
    • 2007
  • 치아종은 느린 성장을 보이는 치성기원 양성종양으로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그리고 치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성종양의 22%를 차지한다. 치아종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이기 때문에 치과 치료를 위한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및 인접치아의 위치이상 등을 유발한다. 치아종의 방사선학적 소견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과성대로 둘러싸인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관찰된다. 그러나 방사선 불투과상이 분명하지 않거나 매우 작은 치아종의 경우 치아의 상과 중첩될 수 있으며 발생 초기에 발육하는 힘에 의해 치아 맹출이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맹출지연을 보이는 치아를 발견하면 즉시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관찰되는지 확인한다. 또한 치아종은 치아의 발육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맹출지연을 보이는 경우 첫 방사선 검사시에는 치아종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찰될 수 있으므로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불투과성 물질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방사선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맹출지연 및 회전을 주소로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 있어서 치아의 정상적인 맹출 및 배열을 방해하는 작은 치아종을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적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두개의 구개측 치근을 갖는 상악 제2대구치에서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활용: 증례보고 (Detection of maxillary second molar with two palatal root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 case report)

  • 김정희;송병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87-92
    • /
    • 2016
  • 이 임상증례의 목적은 상악 제2대구치의 해부학적 형태를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해 확인하여 근관치료에 활용한 증례이다. 이번 증례에서는 두개의 구개치근을 갖는 상악 제 2대구치에서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서 CT를 활용하여 해부학적 형태를 확인하여 활용하였다.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의 사용은 구개치근과 협측치근이 겹쳐보이는 치근단 방사선 사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