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UPTION DISTURBANCE ASSOCIATED WITH A SMALL ODONTOMA

작은 치아종으로 인한 맹출 장애

  • Song, Ji-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Ra, Ji-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Lee, Do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송지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라지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동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Odontoma is defined as a benign odontogenic tumor containing enamel, dentin as well as cementum and constitued 22% of all odontogenic tumors. Although the lesions are commonly asymptomatic, they may be discovered routine radiographic examination. Odontomas often cause disturbances in the eruption of teeth such as, impaction or delayed eruption, retention of primary teeth, or abnomalities in the position of the teeth such as tipping or displacement of adjacent teeth. Radiologically, odontomas manifest as a dense radiopaque lesion surrounded by a thin radiotransparent halo. However, in some cases, radiopacity was not quite clear and images of the teeth shadowed very tiny odontomas. And at early development stages of odontoma, calcification remains immature and is difficult to diagnose on radiographs. This suggests that when delayed eruption of the teeth is found, periapical radiographs should be taken to clarify whether any small area of radiopaque material exists. This case report shows tiny odontomas involving an impacted tooth and crowding and we remove the tiny odontoma surgically.

치아종은 느린 성장을 보이는 치성기원 양성종양으로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그리고 치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성종양의 22%를 차지한다. 치아종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이기 때문에 치과 치료를 위한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및 인접치아의 위치이상 등을 유발한다. 치아종의 방사선학적 소견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과성대로 둘러싸인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관찰된다. 그러나 방사선 불투과상이 분명하지 않거나 매우 작은 치아종의 경우 치아의 상과 중첩될 수 있으며 발생 초기에 발육하는 힘에 의해 치아 맹출이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맹출지연을 보이는 치아를 발견하면 즉시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관찰되는지 확인한다. 또한 치아종은 치아의 발육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맹출지연을 보이는 경우 첫 방사선 검사시에는 치아종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찰될 수 있으므로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불투과성 물질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방사선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맹출지연 및 회전을 주소로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 있어서 치아의 정상적인 맹출 및 배열을 방해하는 작은 치아종을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적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