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과 대학생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opinions of health-unrelated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on medical personnel of dental hygienists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견해)

  • Jeong, mi-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9-280
    • /
    • 2019
  •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대한 찬반의견을 조사하였다.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의료인, 의료기사의 구분에 대한 인식 수준,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고, 40%의 응답자가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찬성하였다. 치과위생사를 단순히 의료인으로 편입시키는 정책보다는 치과의료와 관련된 법률을 제정한다거나 치과위생사 직업의 단독법을 제정하는 등 국민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한 체계가 무엇인지 다양한 시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치과의사 및 치과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와 만성 동통에 관한 개념과 지식

  • Jeong, Seong-Chang;Kim, Yeong-Gu;Kim, Su-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5 no.1 s.332
    • /
    • pp.34-42
    • /
    • 1997
  • 한국에 있는 치과병원의 전공의 및 대학원생과 치과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와 만성 동통에 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이화여대, 단국대, 원광대, 강남 성심 병원 전공의 및 대학원생 217명과 서울대, 연세대 치과 대학 3,4학년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병태 생리, 정신 생리, 만성 동통, 및 정신과적 장애에 관한 전공의 및 대학원생과 치과 대학생의 응답과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동통 전문가의 응답을 비교하였는데, 정신 생리학적 및 정신과적 장애 항목에 대한 전공의 및 대학원생들과 치과 대학생들의 개념과 지식은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 동통 전문가들의 개념 및 지식과 유사하였으나, 병태 생리와 만성 동통 항목에서는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 동통 전문가들의 개념 및 지식에 미치지 못하였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and Mental Hardiness, subjective well-being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

  • Ji, Min-Gye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59-6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and their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romote positive awareness of and access to dental service, and develop a plan for continuous oral health care. To collect data, convenience sampling of college students in North Jeolla Province was performed,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May 1 to 30, 2017. Dental fea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erefore, dental clinics need to apply a positive style of coping, taking into account psychological responses suitable for clinical competence on the basis of satisfactory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ive of promoting oral health.

The Convergence Study on Dental treatment of related to the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전공계열이 치과진료에 미치는 융합적 연구)

  • Kim, Min-A;Jang, Hyun-Jung;Lee, Yeon-K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
    • /
    • pp.87-94
    • /
    • 2019
  • This study aims to the effects for researching on dental treatment of related to the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study results, female students took 4.63 times(health-related major) and 2.56 times(health-unrelated major) more than male students for dental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if they think their gum health is subjectively good enough they relatively took only 0.92 times(health-related) and 0.39 times(health-unrelated) than students who do not. Depending on the major the result of the dental treatment are different. Based on this study the dental treatment of convergenc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 of health-unrelated major shall be developed. Through this it is will have to be well-organized and correct oral knowledg that shoud be acquire appropriate dental treatments.

전문대학생의 열등감

  • Lee, Tae-Jeong
    •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
    • v.8 no.1
    • /
    • pp.57-68
    • /
    • 1986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해 있는 대학에 다니고 있는 일반대학생 390명과 전문대학생 386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다섯가지 열등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대학생 전체와 전문대학생 전체의 열등감 비교에서는 학교생활에 대한 열등감과 전공 및 장래에 대한 열등감과 자기 자신에 대한 열등감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2. 일반대학의 남학생과 전문대학의 남학생과의 열등감 비교에서는 학교생활에 대한 열등감과 전공 및 장래에 대한 열등감 그리고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이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일반대학의 여학생과 전문대학의 여학생과의 열등감 비교에서는 학교생활에 대한 열등감과 전공 및 장래에 대한 열등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4. 주 성장지별에 따른 열등감 비교에서는 일반대학생은 주 성장지가 농촌인 학생이 모두 더 높았고, 학교생활과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이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리고 전문대학생은 주 성장지가 도시인 학생이 자기 자신에 대한 열등감을 제외하고 다른 열등감이 더 높았으며, 학교생활에 대한 열등감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5. 원하는 학교 학과 입학 여부에 따른 열등감 비교에서는 일반대학생과 전문대학생이 모두 원하지 않는 대학에 입학했다는 집단이 다섯가지 열등감이 모두 더 높았다. 일반대학생은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다른 네가지 열등감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그리고 전문대학생은 학교생활고 전공 및 장래에 대한 열등감에서 일반대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6.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열등감 비교에서는 일반대학생은 다섯가지 열등감 모두가“6년미만”인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며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7. 가정의 경제 수준에 따른 열등감 비교에서는 일반대학생은 다섯가지 열등감 모두 “하”인 집단이 모두 높았으며,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에서만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그리고 전문대학생은 가정환경과 자기 자신에 대한 열등감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교우 및 대인관계에 대한 열등감에서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8. 졸업후 직업전망에 따른 열등감 비교에서는 다섯가지 열등감 모두가 일반대학생과 전문대학생에서 “무직”으로 대답한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모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 PDF

Effects of Health Practice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besity in University Students (일부 대학생의 건강 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 Park, Hee-Jung;Lee, Mun-Jae;Kim, Seo-Khwan;Jeong, Mi-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9
    • /
    • pp.395-406
    • /
    • 2011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besity(BMI), health practices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ealthy campus communities. Total 177 students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alth practice and oral behaviors on obes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27.7%. Univar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gender, age, the preference of salt, sleep in every day, self-perceived general health, the visiting the dentist during the past ye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MI. In multivariable regression, preference of salt, sleep in every day, the visiting the dentist during the past year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BMI, after adjustment of gender and 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besity prevention program in overall, eating habit,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in students.

Change in Perception on Dental Fear for Health and Non-Health Sciences University Students after Oral Health Education (보건학과와 비보건학과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구강보건 교육 후 치과공포 인식변화)

  • Nam, Seoul-Hee;Kim, Min-Jin;Kim, Seo-Hui;Byun, Hyo-Eun;Baek, Seung-Hun;Lee, Hae-Rim;Jeong, Eun-Seol;Hong, So-Yeon;Jeong, Mi-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0
    • /
    • pp.102-109
    • /
    • 2017
  • This study is to seek a method to alleviate fear of dental treatment among college students. Research objects are students in public health department and those in other departments on. B University located in area A from April 5, 2017 to April 12, 2017. They were provided with education, and given two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9.0 program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fter the education, fear of dental treatment was reduced more among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than among those in other departments. After education on dental treatment, there were greater changes in oral health among students in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than those in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There were grater changes in oral health among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than those in other department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dental technicians through efficient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ose dental technicians should serve to reduce fear of dental care among the people, and change consciousness on such treatm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fear and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dental health among people, and make people not afraid of coming to dental cli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