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업준비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Job Preference among Culinary Students Based on Their High Schools (출신고교에 따른 외식조리학과 재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직업선호도 관계 연구)

  • Oh, Suk-Tae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9 no.4
    • /
    • pp.291-306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desirable way to design culinary education programs at university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job preference based on their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decided to choose culinary arts as their major by themselves. Most students found a career in the culinary field demanding, nevertheless, they appeared to have a strong desire to take up the challenge. Students from culinary high school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their practical cooking courses, while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seemed to be highly satisfied with those same courses. On the other hand,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s showed a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theory courses, which factored into their decision to choose culinary arts as their major. However, there appeared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ents. Most students, regardless of satisfaction with their education, considered working abroa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 culinary training program in universities should be divided tin three groups; academic, vocational & culinary. Each group to have classes in theory, practical and English designed with respect to their prior high school training. In addition, an opportunity for overseas employment should be offered to all three categories.

  • PDF

growth of Cadmium Sulfide (CdS) Thin Film by Solution Growth Technique and Study of Quantum Size Effects (용액성장법에 의한 Cadmium Sulfide(CdS) 박막 성장 및 양자 사이즈 효과에 관한 연구)

  • 임상철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4 no.1
    • /
    • pp.1-1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용액성장법에 의해 양자 입자로 구성된 CdS 박막을 슬라이드 유리기 판위에 성장시키고 이들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용 액성장법으로 성장된 CdS 박막의 양자 사이즈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성장시간은 1, 3, 10, 20분이었고 성장온도는 75$^{\circ}C$였다. X-선 회절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합성된 CdS 박막은 hexagonal상의 결정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시간에 따라 막의 투께는 61~195nm, 입자사이즈는 8.5~22.5nm로 나타났다. 광에너지 변화에 따른 투과도 측정결과 본 연구의 CdS 시료는 성장시간에 따라 에너지 밴드갭이 2.43~2.51 eV로 나타나서 벌크 CdS의 에너 지 밴드갭인 2.42 ev보다 높은 에너지 밴드갭을 갖게 되어 양자 사이즈 효과에 의한 blue shift 현상이 용액성장법에 의해 합성된 CdS 시료에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 같은 용액성장법으로 성장된 CdS에 대해 최초로 수행된 Raman 산란 실험결과 이성장방법 으로 성장된 CdS에는 1TO, E2, 1LO 포논 모드가 존재함을 알수 있었고 또한 입자 사이즈 감소에 의한 1LO포논 모드의저주파수 shift 현상 즉 포논 모드의 softening 현상이 있음이 밝혀졌고 softening은 최대6.2%까지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높은 softening은 본연구의 CdS 박막 내 양자 입자의 입도가 작은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CdS 시료의 양 자 사이즈 효과의 결과로 1TO 포논도 나타났는데 이 1TO 포논과 E2 포논의 Raman shift 는 성장시간 즉 막의 두께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행렬모형(二重比例行列模型)을 이용하여,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직업별 인력수요 변화가 충분히 고려되도록 하였다. 전망의 결과에 따르면 향후 우리 경제는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로 이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산업구조면에서 지식집약적산업으로의 구조조정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산업별 취업구조에서도 고기술산업의 취업준비중이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직업별 취업분포에 있어서도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등의 고숙련 사무직의 비중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생산관련직과 농림어업직의 비중은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경제가 지식집약화되어 감에 따라 고학력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현재 적절한 인력양성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향후 기술이나 기능에 따른 수급부일정(需給不一政)(skill mismatch)현상이 매우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의 인력정책에서 가장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첨단기술산업과 관련된 인력의 양성에 있다고 하겠다.2시간까지 LPDG용액은 MEC용액보다 비교적 나은 회복을 보였고 재관류 3일과 7일의 폐기능 평가에서 두 용액 모두에서 폐기능의 점차적 소실을 보였으며 이는 병리조직검사에서 보듯이 폐혐에 의한 외적인 요소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LPDG용액은 허혈재관류손상 방지 및 급성폐렴 등 염증을 잘 관리한다면 20시간 이상 LPDG용액의 안전한 폐보존의 가능성 을 얻을 수 있었다.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A Study of Development a Curriculum for Character Designer -Focused on Two-Year Course Work of College Education (캐릭터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2년제 전문교육을 중심으로)

  • 김용우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3
    • /
    • pp.231-244
    • /
    • 2004
  • Th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shall be planed and operated on a basis what is the occupational category that the students can be employed after their graduation and the ability necessary to the engagement in their occupations. Accordingly, the course selec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curriculum plan for the vocational training shall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gradually through the maintenance of dose relation by the participation of the persons in the industries related to the major field. If th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is for the preparation of employment, the focus of curriculum shall be adjusted to the employment. It needs to collect and analyze the related data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industries, particularly regional industries synthetically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The curriculum shall be planned on a basis of the data. As for the data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it needs to develop new programs considering the prospect of demand of manpower by the industry, necessary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category available in the employment with a bright prospect hereafter. Also, the contents to improve in the existing curriculum(a change of technology, a form of facilities for experimentㆍpractice, and a type of continuing & further education) shall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objec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more systematically in order to foster the character designer specially who to engage in the character industry that increases its role and expectation all the more with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industries and the extension of markets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rease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school education that has been problems and the practical affairs in the field, to foster the special manpower that can satisfy the industries demand.

  • PDF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clinical competency and job readin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과 취업준비도)

  • Bang, Kyung-Sook;Kang, Jeong Hee;Nam, Eun Sook;Hyun, Mi Yeul;Suh, Eunyoung;Chae, Sun-Mi;Choi, Heeseung;Shin, Da-A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27 no.4
    • /
    • pp.402-41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attending clinical practicum courses in 2020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focusing on their confidence in clinical competency and job readiness.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hat were uploaded to a free online survey website and distributed via a link to the survey to 334 nursing students attending four-year nursing colleges at four national universitie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ANOVA.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female (83.2%) college seniors (78.1%). About 60% of the participants practiced between 40% to 100% of their clinical practicum hours in alternative ways. Almost a third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ready for a job (30.2%). However, participants' confidence in clinical competency and job readiness was not related to the rate of alternative practice, but rather to both achievement of educational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the nursing practicum. Conclusion: Due to COVID-19, it is evident that effective and efficient materials and ways of delivering clinical courses are constantly to be sought and developed. In particular, recently graduated nurses who experienced abrupt and considerable alterations in their clinical practicum courses due to COVID-19 are in need of attention while they strive to make clinical adaptations.

A Study Having the Certifications Students of Majoring in Culinary Arts on the Satisfaction of Class and Preparation for Employment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자격증 소지가 수업 만족도 및 취업 준비에 미치는 영향)

  • Oh, Suk-Tae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3 no.3
    • /
    • pp.242-25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culinary arts. The effects of students' certifications on cla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ir effects on preparation employment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the certifications ha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class satisfaction, but they also had high stress in the school life. In other words, it seemed that the stress was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school life in obtaining the certificate. In the case of qualification for preparation employment, the certification affects the preparation for employment even for the culinary arts majors. As for the number of certificates and passions, the change was found from 3 certifications, lower in 4, but again in 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rtification initially increases enthusiasm, but when it reaches a certain level, it reaches its limit and it rises again after passing the interval. Also, students who graduated from cooking related high school showed high passi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Web Crawler Service Implementation for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정보 검색을 위한 웹 크롤러 서비스 구현)

  • Kim, Hye-Suk;Han, Na;Lim, Suk-Ja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5
    • /
    • pp.933-942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crawler service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efficiently about college students and job-seeker's external activities, competition, and scholarship. The proposed web crawler service uses Jsoup tree analysis and Json format data transmission method to avoid problems of duplicated crawling while crawling at high speed. After collecting relevant information for 24 hour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web crawler service is running with an accuracy of 100%. It is expected that the web crawler service can be applied to various web sites in the future to improve the web crawler servic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Awareness and the Program of Undergraduate's Career Education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교육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 Ji Hyeon Jo;Dong Yub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271-279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o compil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career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undergraduate'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data was collected by restructuring career education-related items from a career awareness survey conducted on 1,322 enrolled students at G University. Analyzing students' career awareness based on their year and major,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while the preference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proposal was made to strengthen career exploration programs through self-understanding, expedite the timing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highligh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individual career readiness levels.

Study on Service Internship Participation Determinant Content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Influence Their Career (대학생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인턴십 참여결정 콘텐츠 요인 분석)

  • Park, Hye-Young;Hur, Sun-Jo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4
    • /
    • pp.595-604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ervice internship participation determinant content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airline service to influence their care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211 students were analys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characteristic, big 5character factors, social support were analysed as service internship determinant conten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grade, GPA, broad experience, flight experience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raversion among big 5factors personality as significant service internship determinant contents of students. Als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career prepar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non-significant service internship determinants of students. It was concluded that active participation with service internship is imperative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airline service major to enhance career competence upon graduation.

A Study for the Certified Security Certification in Private Security Industry in Korea (민간경비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 Ahn, Hwang-Kwo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1
    • /
    • pp.159-181
    • /
    • 2006
  • This study is concerned on Why The Certified Security certification is needed and How to control the security quality to get better service to the clients. Theses days are required The Certified Certificate in all the industry. And in this point of view, the certified certificate is a kind of confirmation by an authority to the person who has how much special knowledge and practice in a certain field. Moreover, in the functionalism society the certified certificate system would be very positive effect to the related industry and society as official measurement by an authority. The security is freedom from fear and anxiety. Which means the security can not be operated in isolation from citizen's safe-living expectation, and which is also dealing with valuable human being's life. For getting the better purpose the security industry employees should have more organized special training and education. As my understanding the certified certificate exam system is the confirmation by an authority, the certified certificate is only neutral evidence to get the confidence and credit from the clients. In this point of view the core point is How to control The Certified Certificate by a credied authority.

  • PDF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