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췌장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오디 Flavonoid의 alloxan 처리 zebrafish 췌장섬에 대한 회복효과 (Recovery Effect of Flavonoids from Morus alba Fruits on Alloxan-induced Pancreatic Islet in Zebrafish (Dinio rerio))

  • 서경화;남윤희;김영언;홍억기;홍빛나;강동호;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51-54
    • /
    • 2015
  • 오디에서 분리한 flavonoid가 zebrafish에 alloxan을 처리하여 손상된 췌장섬을 어느 정도 회복 시키는지 검토하였다. Zebrafish의 배아에 alloxan을 처리하면 확실하게 췌장섬의 크기가 감소하였다(p <0.001). Rutin, isoquercetin 및 quercetin의 처리에 의해 췌장섬의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 <0.001), 형광세포의 fluorescence intensity도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ICR 마우스 췌장 내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in the ICR mice)

  • 구세광;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1-28
    • /
    • 2002
  • ICR 마우스 췌장에 존재하는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를 4 종류의 항혈청 즉, insulin, glucagon, somatostatin 및 human pancreatic polypeptide (PP)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췌장은 췌장섬, 외분비부 및 췌관의 3 부분으로 구별되었으며, 췌장섬은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의 출현 부위에 따라 다시 중심부분, mantle부분 및 가장자리부분으로 다시 세분되었다. 췌장섬의 경우, insulin 면역반응세포들은 주로 췌장섬의 중심부분과 mantle 부분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나, somatostatin, glucagon 및 PP 면역반응세포들은 다양한 출현빈도를 나타내며 주로 mantle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 걸쳐 관찰되었다. 또한 극소수의 PP 면역반응세포들은 췌장섬의 중심부분에서도 관찰되었다. 외분비부에서도 insulin, glucagon, somatostatin 및 PP 면역반응세포들 모두 관찰되었으며, 주로 외분비 샘포 세포 사이공간에서 관찰되었다. 췌관에서는 insulin 및 glucagon 면역반응세포들이 소수 또는 극소수의 빈도로 췌관 상피세포 사이공간에서 관찰되었으며, 극소수의 PP 면역반응세포들 역시 췌관상피 아래부위에서 관찰되었으나,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은 이 부위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생지황(Rhemanniae Radix)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emanniae Radix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33-1138
    • /
    • 2004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STZ)을 투여하여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UM군)에 생지황(Rhemanniae Radix) 전탕액의 투여(5.0 mL/kg/day, RR군)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STZ로 유발된 생쥐에 생지황 전탕액을 6주 동안 구강 투여한 후 혈당과 당내성 검사 및 췌장섬의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하였다. 혈당수준은 RH군이 HM군에 비하여 2, 3, 5, 6주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당내성 검사 또한 RR군이 HM군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6주 후 insulin-양성 5-세포들과 insulin-like growth factor-II 양성 물질들은 HM군에 비하여 RR군에서는 보다 높게 나타났다. HM군에서는 apoptosis 면역반응성 과립들이 췌장섬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RR군에서는 일부 세포들의 핵에서 면역반응성을 보여주었다. HM군에서는 대부분 췌장섬들이 파괴되어 소수 관찰되었으나 RR군은 다수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생지황 전탕액은 STZ로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췌장섬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생단계에 따른 닭 태자 췌장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developing pancreas of the chicken embryos)

  • 함태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3-138
    • /
    • 2001
  • 부란 1일부터 부화직후까지의 닭 태자 췌장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검색하였다. 췌장은 해부학적으로 배쪽, 등쪽, 제 3엽 및 비장엽의 4개엽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엽은 조직학적으로 외분비 부분, light 및 dark 췌장섬의 3부분으로 세분하였다. 이들의 각 발생단계에 따른 닭 췌장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의 분포 및 빈도는 췌장의 엽, 조직학적 부위 및 발생단계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나, 대체로 원형 또는 난원형의 형태로 모든 엽에서 관찰되었다. 외분비 부분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비장엽의 경우 부란 13일과 14일에서만 국한되어 관찰되었고, 제 3엽에서는 부란 10일부터 부란 19일 동안 관찰되었다. 또한 배쪽엽에서는 부란 10일부터 부화 직후까지 관찰되었으며, 등쪽엽에서는 부란 11일부터 부화 직후까지 관찰되었다. 췌장섬에서 이들 면역반응세포는 비장엽의 dark 췌장섬에서만 부란 15일과 부란 16일에 국한되어 극소수 관찰되었고 다른 엽 또는 light 췌장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부란 발생 초기에는 다수 관찰된 이후 발생단계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이런 양상은 엽의 종류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조절 T 세포 유래 TGF-β1에 의한 췌장섬세포의 기능 및 활성 증가 (Regulatory T Cells Promote Pancreatic Islet Function and Viability via TGF-β1 in vitro and in vivo)

  • 최봉금;김사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4-31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면역 억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조절 T 세포 (regulatory T cell, Treg)의 새로운 생리학적 기능 대하여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시험관내나 동물실험에서 조절 T 세포가 분비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GF-{\beta}1$)에 의하여 이식 직전까지 췌장섬세포의 생존률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혈당조절 기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한 1형 당뇨병 모델을 제작한 뒤, 180 IEQ (islet equivalents)의 췌장섬세포를 동종간 이식하였다. 췌장섬세포는 이식 수술 시행 전까지 48시간 동안 $4{\times}10^6$의 Treg 세포와 함께 배양하여 Treg 유래 $TGF-{\beta}1$에 충분히 노출시킨 뒤 사용하였다. Treg 단독군, 췌장섬세포 단독군 및 Treg/islet 동시 배양군에서 각각 $TGF-{\beta}1$, IL-6 및 인슐린 분비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Treg/islet 동시 배양군에서 IL-6와 인슐린 분비는 증가하였고 (P<0.0005, P<0.005), 췌장섬세포 단독군과 비교하여 생존율이 향상되었다(P<0.005). 또한, 이식 후, 동시 배양된 췌장섬세포는 1형 당뇨병 마우스 모델에서 혈당 수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reg 세포가 $TGF-{\beta}1$ 분비를 통하여 췌장섬세포의 기능과 생존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배에서 추출한 Phenolic Compound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ar Phenolic Compound on the STZ-treated Mice for Induction of Diabetes)

  • 김정상;나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07-1111
    • /
    • 2002
  • 배에서 추출한 phenolic compound가 streptozotocin(STZ)응 투여하고 고혈당을 유발시킨 생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생쥐의 혈당, 혈중 creatinine, BUN의 변화 및 insulin-면역 조직화학적 검색과 췌장섬 $\beta$-세포의 전자현미경관찰을 통한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적인 동물 사료를 식이토록 한 대조군, 사료에 phenolic compound(PA군, 13 mg/g/kg/day; PB군,90 mg/kg/day)를 혼합하여 6주 동안 섭식하게 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의 혈당 농도는 4주부터 높게 나타났으며, PA군의 혈당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p<0.05)있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PB군에서는 4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6주까지 유의성 (p<0.05)있게 감소하였다. BUN과creatinine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STZ을 투여한 대조군의 췌장섬은 대부분 파괴되어 insulin-면역조직화학적 반응을 보인 세포들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PB군에서는 다수의 췌장섬이 관찰될 뿐만 아니라 인슐린-면역조직화학 반응이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관찰 결과 대조군의 $\beta$-세포에서는 인슐린 함유 과립들이 소수 관찰되었으나 PB군에서는 이들 과립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henolic compound를 섭식한 실험군 생쥐는 STZ에 의해서 손상된 췌장섬이 회복 또는 재생되어 $\beta$-세포의 인슐린 분비가 복원되 어 가고 있다고 사료되었다.

암컷 생쥐의 췌장 부분절제가 배아와 신생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total Pancreatectomy of Female Mice on the Embryo and Offspring)

  • 조영재;이정선;구선경;박문녀;이하규;조병남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3호
    • /
    • pp.185-192
    • /
    • 2006
  • 산모의 당뇨병은 조산과 함께 광범한 선천성 기형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원인으로 제시되었지만 알려진 것은 별로 없다. 당뇨병의 모델로서 췌장을 부분절제한 동물의 배아와 신생자를 조사하였다. 1) 췌장을 90% 절제한 어미로부터 태어난 신생자는 정상 신생자보다 생존률이 낮았지만, 살아남은 신생자의 경우에 생후 6주까지 체중을 조사하였을 때 암수 모두 정상적인 신생자와 비슷하였다. 간 조직을 조사하였을 때, 췌장을 절제한 어미로부터 태어난 신생자는 암수 모두에서 간의 이상이 발견되었다. 간에서 합성되고 소변으로 분비되는 major urinary protein(MUP)도 암컷 수컷 모두에서 그 양이 감소하였는데, 간조직의 이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2) 췌장을 부분절제한 어미에서 남아있는 췌장내의 랑게르한스 섬이 커져 있었으며, 간조직도 이상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췌장을 부분절제한 어미의 경우에 혈당 수준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hibin-{\alpha}$가 과발현된 생쥐에서 태어난 신생자의 경우에 저체중과 생존률 저하가 나타나고 있는데, 당뇨병 신생자와 유사한 점이 매우 많다. 이에 DNA 주사법으로 $inhibin-{\alpha}$의 과발현을 유도한 후에 어미 자신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inhibin-{\alpha}$를 과발현시킨 생쥐에서 랑게르한스 섬이 작아졌지만, 혈당 수준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합하면, 췌장의 부분절제는 신생자와 배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어미 자체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렇지만 조사한 기간 내에서 산모의 혈당 수준은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산모와 배아 및 신생자와의 관계는 매우 복잡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발생단계에 따른 한국재래산양 췌장에서 pancreatic polypeptide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ancreatic poly-peptide-immunoreactive cells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native goat (Capra hircus) during developmental stages)

  • 함태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1-430
    • /
    • 2000
  • 태아기, 신생아기, 생후 1개월령, 6개월령 및 성체의 한국재래산양 췌장에서 pancreatic poluypeptide(PP) 면역반응세포의 분포 및 출현빈도를 PAP 법에 의해 검색하였다. 외분비부에서는 모든 연령에서 관찰되었으며 췌장세포 사이에 분포하였다. PP 면역반응세포는 신생아가기에서 생후 1개월에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하였다. 췌도관에서는 PP 면역반응세포가 생후 1개월부터 관찰되면 그후 점차 감소하였다. 췌도관에서는 PP 면역반응세포가 생후 1개월부터 관찰되면 그후 점차 감소하였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는 생후 1개월령 및 6개월령의 췌도관 상피하 결합조직에서 소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는 췌도관 상피세포 사이에서 극소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는 췌도관 상피세포 사이에서 극소수 관찰되었다. 내분비부(췌장섬)에서 PP 면역반응세포는 신생아기부터 관찰되며, 생후 1개월령부터의 PP면역세포의 분포는 췌장성 주변부에 중등도 또는 소수가 산재하는 것과 다수의 PP 면역반응세포가 췌도 전체 (생후 1개월령)또는 췌도 중앙부(생후 6개월령)에 산재하는 것 등 두가지 유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재래산양의 췌장에 있어서 PP 면역반응세포의 분포와 출현빈도는 발생단계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는 발생단계 동안의 식이성 및 생리학적 조건변화가 이와같은 상이함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용량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모델 생쥐에서 발효 구아바 잎 추출물의 고혈당 억제 효과 (Effect of Fermented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Extract on Hyperglycemia in Low Dos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진영준;강신해;최수연;박수영;박지권;문상욱;박덕배;김세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79-683
    • /
    • 2006
  • 저 용량 Streptozotocin(STZ)으로 유도한 제l형 당뇨 모델 생쥐에서 건조 구아바 잎과 발효 구아바 잎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STZ로 유도된 쥐에서 발효 구아바 잎 추출물(500 mg/kg/day)은 투여 4주후에도 공복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내당능 장애도 개선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건조 구아바 잎 추출물은 투여 후 2주 동안 공복 혈당이 낮게 나타났으며 내당능 장애도 개선되었지만 3주후부터 고혈당으로 약화되었다. 각 실험군에서 적출한 췌장 조직과 인슐린의 면역 조직 화학 분석 결과, 발효 구아바 잎 추출물은 STZ로 유도된 췌장섬 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건조 구아바 잎 추출물은 베타 세포의 손상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STZ로 유도된 당뇨 모델 생쥐에서 발효 구아바 잎 추출물이 췌장 베타 세포의 손상을 보호함으로서 혈당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자구자(Hovenia dulcis Thunb)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김정상;나창수;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32-637
    • /
    • 2005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STZ)을 투여하여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에 지구자(Hovenia dulcis) 추출물의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조군(Con군)은 STZ로 고혈당을 유발한 후 생리식염수 2 mL/kg를 투여하였으며, 실험군은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에 지구자 추출물 0.01 g/kg(H1군)과 0.049/kg(H2군)를 매일 5주간 구강 투여하였다. 체중은 CG군이나 H1군에 비하여 H2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당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H1군과 H2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당내성 검사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H1군과 H2군 모두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여주었다. 인슐린 면역조직화학 결과 대조군 췌장의 췌장섬은 파괴되어 있었으나, H1군과 H2군에서는 인슐린-양성 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IGF-I과 II의 면역조직화학 결과 대조군에서는 소수의 샘포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H2군에서는 다수의 샘포세포에서 아주 높은 면역반응성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지구자 추출물은 STZ로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beta$-세포의 회복 또는 재생과 췌장 샘포세포의 IGF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