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출방법

Search Result 14,64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Robust Feature Extract ion Methods for Iris Recognition (홍채인식을 위한 강건한 특징추출 방법)

  • 김기진;손병준;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93-79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과 Direct LDA(DLDA)을 사용한 홍채 특징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것은 획득한 홍채 영상으로부터 독특한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특별히 이차원 이산 웨이블릿 변환의 다중해상도 분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홍채의 다양한 웨이블릿 성분으로부터 변별력을 가진 특징을 얻을 수 있도록 DLDA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특징추출 방법은 이동이나 회전에 변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요구하는 홍채의 모양을 묘사하는데 적합하다. 홍채의 패턴정합을 위해서는 최근접 평균 분류기(Nearest Mean Classifier)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인간의 홍채인식을 위해 제시한 방법이 홍채패턴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시간 및 공간의 절약이라는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Signature Extraction Method from H.264 Compressed Video (H.264/AVC로 압축된 비디오로부터 시그너쳐 추출방법)

  • Kim, Sung-Min;Kwon, Yong-Kwang;Won, Chee-S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3
    • /
    • pp.10-17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compressed domain signature extrac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for CBCD (Content Based Copy Detection). Since existing signature extraction methods for the CBCD are executed in spatial domain, they need additional computations to decode the compressed video before the signature extraction. To avoid this overhead, we generate a thumbnail image directly from the compressed video without full decoding. Then we can extract the video signature from the thumbnail image. Experimental results of extracting brightness ordering information as the signature for CBCD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is 2.8 times faster than the spatial domain method while maintaining 80.98% accuracy.

Accurate Extraction of the Effective Channel Length of MOSFET Using Capacitance Voltage Method (Capacitance - Voltage 방법을 이용한 MOSFET의 유효 채널 길이 추출)

  • 김용구;지희환;한인식;박성형;이희덕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7
    • /
    • pp.1-6
    • /
    • 2004
  • For MOSFET devices with nanometer range gate length, accurate extraction of effective gate length is highly important because transistor characteristics become very sensitive to effective channel length.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extract the effective channel length of nanometer range MOSFET by Capacitance Voltage(C-V) method. The effective channel length is extracted using gate to source/drain capacitance( $C_{gsd}$). It is shown that 1/$\beta$ method, Terada method and other C-V method are inadequate to extract the accurate effective channel length.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s highly effective for extraction of effective channel length of 100nm CMOSFETs.s.

Comparisons of Linear Feature Extraction Methods (선형적 특징추출 방법의 특성 비교)

  • Oh, Sa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4
    • /
    • pp.121-130
    • /
    • 2009
  • In this paper, feature extraction methods, which is one field of reducing dimensions of high-dimensional data,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We selected the traditional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d sNMF(Sparse NMF) for comparisons. ICA has a similar feature with the simple cell of V1. NMF implemented a "parts-based representation in the brain" and sNMF is a improved version of NMF. In order to visually investigate the extracted features, handwritten digits are handled. Also, the extracted features are used to train multi-layer perceptrons for recognition test. The characteristic of each feature extraction method will be useful when applying feature extraction methods to many real-world problems.

Traffic Sign Recognition Using Color and Shape Information (색과 형태 정보를 이용한 교통 안전 표지판 인식)

  • 이승우;김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141-144
    • /
    • 2000
  • 본 논문은 교통 안전 표지판 인식에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영상의 특징 정보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간의 인식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기본 특징인 색과 형태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인식에 적용한다. 색 정보의 추출은 RGB성분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이용하고 형태 정보의 추출은 기하학적인 형태 정보 추출 방법과 모멘트를 이용한다. 본 논문은 유사 영상 검색을 위한 새로운 특징 정보 추출 방법과 간단한 특징 정보 표현 그리고 계산량의 감소 효과를 얻었다.

  • PDF

Improved rule extraction from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CDRPs (CDRPs를 이용한 인공 신경망에서 추출된 규칙 개선방법)

  • Lee, Hurn-Joo;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554-556
    • /
    • 2018
  • 최근 인공 신경망은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인공 신경망이 학습한 지식이 어떠한 내용인지를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공 신경망으로부터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규칙을 추출하는 방법들이 고안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규칙추출 알고리즘 중 하나인 OAS 알고리즘을 이용해 규칙을 추출해보고 CDRPs(Critical Data Routing Paths)를 활용하여 추출한 규칙의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 Extraction based on Style (스타일 기반 키워드 추출)

  • Lee, Joon-Hwi;Lee, Wo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049-1052
    • /
    • 2002
  • 기존의 키워드 추출 방법은 출현회수(frequency)에 기반한 가중치(weight) 부여 방식이 많이 쓰였다. 본 논문에서는 HTML 문서와 같이 스타일이 적용된 문서의 경우 출현회수와 함께 단어에 적용된 스타일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해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가중치를 부여할 스타일 항목과 항목별 가중치 부여방법을 정의하고 이를 단어별로 합산하고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방법을 정의하여 스타일에 기반 해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내용이 특정된 도메인으로부터 순위(ranking)가 매겨진 도메인 키워드 리스트를 뽑아서 이를 기준으로 삼아 기존의 출현회수 기반의 키워드 추출 방식과 양적, 질적인 비교를 수행하여 우월함을 보였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rch Extracted from the Root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 (고사리 뿌리 전분의 추출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Moon, Jung-Seob;Yeom, Gue-Saeng;Yang, Jin-Ho;Gi, Se-hyun;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71-71
    • /
    • 2019
  • 고사리(Ferns)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 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 뿌리는 가정용믹서기로 분쇄하는 방법과 고무망치를 사용해 파쇄한 방법에서 식품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는 sodium metabisulfite 등 3종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추출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사리 전분의 추출 수율은 분쇄하는 방법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추출용액 중에서는 sodium metabisulfite 4% 용액에서 분쇄 처리 9.5%와 파쇄 처리 8.3%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ascorbic acid 침지에서는 5.1%와 5.5%로 낮은 수율을 나타냈다. 추출한 전분의 색도값에서는 파쇄하는 처리에서 L 값이 높아지고 a와 b 값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sodium metabisulfite 4% 용액 침지에서 분쇄와 파쇄 두 방법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보였다. 고사리 전분의 추출방법별 Ca 함량은 분쇄 처리에 파쇄 처리에서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파쇄 후 ascorbic acid 4% 용액에서 추출하는 처리에서 0.23%로 가장 높았으며, Mg 함량도 분쇄 처리에 비해 파쇄 처리에서 경미하게 높은 양상을 보였다. 유효태 Fe 함량 또한 파쇄처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추출 용액중에서는 ascorbic acid 4% 용액이 0.12%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고사리 전분의 추출방법별 호화특성에서 최고 점도는 증류수, ascorbic acid 및 sodium carbonate 추출에서는 파쇄하는 방법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지만 sodium metabisulfite 추출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하점도는 모든 추출용액에서 분쇄 처리에 비해 파쇄 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치반점도는 sodium metabisulfite와 ascorbic acid 추출은 파쇄처리에서 83.9 RVU와 53.0RVU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sodium carbonate와 증류수 추출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호화시간은 분쇄 처리가 파쇄 처리에 비해 약간 늘어나는 경향이었고 추출용액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호화온도는 분쇄처리가 파쇄 처리에 비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파쇄한 고사리 뿌리를 증류수를 이용해 추출한 전분에서 가장 낮은 $69.7^{\circ}C$의 호화온도를 보였다.

  • PDF

Region Extraction Methodology Using Edge Values of Image (이미지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 추출 방법)

  • 이승재;김창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49-45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이미지의 영역구분에 대한 새로운 방법인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추출 방법을 소개한다. 빠르고 정확한 이미지 검색엔진을 구현하기 위하여 질의의 결과가 될 이미지들은 전처리기에 의하여 모든 영역을 추출한 뒤 각각의 영역에 따른 특성(feature)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정확한 질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는 정확히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그 특성도 추출할 수 있는 전처리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정확도만을 중시하여 너무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그 또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추출 방법은 이미지의 각 점에 대한 경계값(edge value)을 이용하여 그 경계값이 작은 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경계값이 큰 점들을 병합해 가면서 인접한 영역간의 크기, 색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영역을 구분해 낸다. 이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텍스쳐(texture)를 제외한 일반적인 영역뿐 아니라 텍스쳐 포함하는 영역도 추출할 수 있는 점과 빠른 처리 속도에 있다.

  • PDF

An Improved Extraction Method for Splitting Base-Collector Capacitance in Bipolar Transistor Equivalent Circuit Model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가회로 모델의 베이스-컬렉터 캐패시턴스 분리를 위한 개선된 추출 방법)

  • 이성현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7
    • /
    • pp.7-12
    • /
    • 2004
  • An improved extraction method considering ac current crowding effect is investigated to determine intrinsic ( $C_{\mu}$) and extrinsic ( $C_{\mu}$) base-collector capacitances of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separately. The drawbacks of conventional methods are pointed out, and the improved extraction equations are derived from a cutoff mode equivalent circuit with the ac crowding capacitance. The frequency response curves of modeled current and power gains using the extracted values of $C_{\mu}$ and $C_{\mu}$ have much better agreements with measured ones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methods, verifying the accuracy of the improved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