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구 이미지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ffect of Self-image Pursuit by Female Consumers on Clothing Purchase Value and Fashion Images (여성 소비자의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Yoon, DoohAh;Lee,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9 no.4
    • /
    • pp.492-504
    • /
    • 2015
  •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elf-image pursuits by female consumers for clothing purchase values and fashion images as well as the role of age regulations as a measurement invariance. We surveyed 717 women aged 20-60 resid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The survey showed that pursuit affects clothing purchase values, which subsequently affect fashion images. However, expressive value was not shown to affect urban style fashion images for clothing purchase values. Age (one of main parameters for market segmentation) was also shown not regulate the effect of self-image pursuits on clothing purchase values and fashion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fashion image-based marketing to help predict consumer's purchase behavior and suggest practical advice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applying marketing based on differentiated fashion images to fashion marketing programs.

A Study on Image Pursuit Behavior according to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f Women using Image-Based SNS (이미지 기반 SNS 사용 여성의 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에 따른 이미지추구행동 연구)

  • Hyunok, Lee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26 no.5
    • /
    • pp.22-35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pursuit behavior according to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f image-based SNS-used wome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5 SNS-used women aging between 20 to 30 years old. The SPSS 25.0 package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single factor, and subfactors of image pursuit behavior(conformity, instrumentality, fashion pursuit, attractiveness pursuit, ostentation pursuit, interpersonal). It was observed that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the factors of image pursuit behavior. Body surveillance demonstrated a high influence on attractiveness pursuit while body shame demonstrated a high influence on ostentation pursuit. Body surveill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dy sham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psychological attitude and consciousness of women with regard to their body and image pursuit behavior. In additio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help to systematize women's theoretical physical consciousness, establish product strategies for physical appearance-related industries, and set marketing directions.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Benefits Sought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3
    • /
    • pp.293-30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추구혜택은 패션 이미지, 체형결점보완, 여성스러움의 표현, 자기향상, 개성표현등의 5분야에 걸쳐 측정되었다. 결과로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각각의 모든 의복추구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반면 신체만족도의 경우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이 특정 의복추구혜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부분의 신체에 만족하면 할수록 또한 이상적인 신체상이 중요하면 할수록 의복혜택을 통해 신체만족을 유지 또는 고양시키려는 소비자의 심리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의 상표 인지도, 상표이미지와 소비자의 추구이미지를 중심으로한 테이타 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김칠순;남영미;이훈자;탁창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96-300
    • /
    • 1998
  • 섬유산업내의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화하여 경쟁력이 있는 제품을 생산해 내는데 있어서 데이타 베이스를 제공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 일부로서 제품의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향상시킬수 있는 상표가 가지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 많은 선행 연구자들은 상표의 인지도, 상표 이미지와 상표 포지셔닝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의복의 구매행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1,3,5](중략)

  • PDF

Fashion Image Preference, Pursued Image and Self-Image Satisfaction of Businessme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직장 남성의 성격유형에 따른 의복이미지 선호, 추구이미지와 이미지 만족도)

  • Kim, Hyun-Sue;Lee, Ji-Yeon;Lee, You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62 no.1
    • /
    • pp.1-13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self-perception and value of clothing they wear to today's businessmen who work in a fast-growing global network society and for developing a suitable image consulting program for business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businessmen into personality types, and then analyzing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nd image perception, self-image satisfaction among categorized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320 businessmen who are from 20's to 50's and working in Seoul.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3 different parts as follows: 1) personality types, 2)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nd image perception, 3) self-image satisfaction.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In conclusion, an image consulting education program for businessmen has to be based on one's own personality type, current fashion style and image perception. Each person has to be provided a unique direction to increase his self satisfaction, which will result in improvements in both personal image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ese changes will ultimately become the driving force of career life.

The Influences of Consumers' Value Systems on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onsumption Values (소비자의 가치 체계가 추구 의복 이미지와 의복 소비 가치에 미치는 영향)

  • Lim, Kyung-Bock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5 no.5
    • /
    • pp.810-82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omen consumers'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onsumption values according to the value system. The data was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305 women living in Seoul and Gyung-gi.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alue,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s were consisted of various factors. Second, women's values influenced on the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s. Third, according to value factors, wom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nd they showed different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onsumption values. Also they were differentiated with shopping frequency and age. Therefore, value system was the important factor which can suggest the women's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er should know the value system of targeting consumers.

  • PDF

The Study o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여자 대학생의 의복 추구 이미지와 소재 선호에 대한 연구)

  • 정인희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9 no.4
    • /
    • pp.629-638
    • /
    • 200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260 woman college students through August to September of 2000. After eliminat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236 were analyzed. The most desired image was neat, and the most preferred fabric was natural fiber textile in fiber contents and light and soft in fabric sensation. The avoided image was masculine, and the negative sensation was heavines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7 factors -cute, intellectual, animate, neat, mature, sporty, sexy- were determined in image. And 8 factors -soft, durable, flat, rigid, light, bulky, heavy, pliable- were determined in fabric sensation. These factors explained large percentage of variance respectivel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Two dimensions were accept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One of the results showed the closeness among the natural fiber textile, lightness, durability and natural image. And the short distance among the blended textile, elasticity, warmness and sporty image was presented.

  • PDF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Clothing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Focusing on Familiarity and Pursuited Image of Jeans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의류 제품 만족에 관한 비교 문화 연구 - 청바지에 대한 친숙도와 추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 Park, Soo-Kyeo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5 no.1 s.66
    • /
    • pp.169-17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sumers' post acquisition behavior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f jeans, and pursued image.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urvey, three stages of pre-tests, and main survey conducted in the U.S and Korea. A total of 520 participants from each country(260 males and 260 female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amiliarity of jeans and pursued image of jeans wear were compared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countries on familiarity that the U.S showed higher familiarity, frequence of wearing and owned quantity. Pursued image was consisted of unique factor and activity factor and Korean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on pursuing individualistic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marketers of global jean brands.

  • PDF

우수성의 추구를 통한 골판지포장 산업의 이미지 제고(10)

  •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 Corrugated packaging logistics
    • /
    • no.56 s.12
    • /
    • pp.126-134
    • /
    • 2004
  • 골판지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이 책 자체의 주제이다. 그래서 이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가장 많이 직면하는 문제점과 이러한 문제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진단 및 치료법 제안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