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적생육

검색결과 828건 처리시간 0.03초

내염성 미생물의 생태학과 산업적 이용 가능성

  • 조무제
    • 미생물과산업
    • /
    • 제14권3호
    • /
    • pp.31-32
    • /
    • 1988
  • 염농도는 미생물 생육에 중요한 환경요인의 하나로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염농도 1% 이내를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지만 자연계에는 염농도 1% 이상에서 포화염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것들도 많다. 미생물 중에는 생육 최적염농도보다 높은 환경에 처하면 여러가지 적응기작에 의해 고염분 농도에 적응하면서 생육할 수 있는 내염성 미생물과 고염농도 환경을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는 호염성 미생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신선초를 이용한 $\textit{Hericium erinaceum}$ 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unctional Drink Using the $\textit{Hericium erinaceum}$ Cultivated on the $\textit{Angelica keiskei}$)

  • 권상철;조주현;정재현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8권3호
    • /
    • pp.45-51
    • /
    • 2003
  • 본 연구는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폐기되는 신선초박에 H. erinaceum의 균사체를 발효시킨 배양생성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건강 음료 개발을 검토 하고자 하였다. 1. 종균제조공정개발 : 기본 배지의 선발에서 Hericium erinaceum의 균사 생육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10여종의 고체배지를 사용하여 균사 생육 및 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YMPG 배지에서 59.8mm/14days로 균사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최적 온도는 20-$25^{\circ}C$ 범위에 가장 생육이 좋았으며, 배지의 pH를 조절하여 균사생육을 조사한 결과, pH는 5.5, 접종비는 전배양액 9%(v/v), 배양에 적합한 배지액량은 50mL, 최적교반속도는 120rpm이었다. 이러한 최적 조건 하에서 배양 경시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당은 거의 일정한 속도로 감소하는 반면에 건조균체량은 배양 8일째까지 증가하다가 더 이상 변화가 없었다. 2. 발효공정개발: 수분함량이 200%(v/v)에서, pH5에서의 생육속도는 90mm/30 days, $25^{\circ}C$에서의 균사생육속도는 89mm/30days로 각각 H. erinaceum균사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3.추출공정 및 시제품 제조: 녹즙을 생산한 후 폐기되는 신선초박에 액체 종균을 접종하여 ,40일 동안 배양시켜 생육 상태가 우수한 배양생성물만을 선별하여, 열수추출방법으로 10$0^{\circ}C$, 10시간 추출한 것을 음료제조의 원료로 하고, 음료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산 및 한방추출물을 첨가하는 균사체음료의 조성비를 얻었다.

  • PDF

액체배양에서 잣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of Lentinus lepideus in Liquid Culture)

  • 신성의;차월석;강시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2-497
    • /
    • 2003
  • 액체배양을 이용한 잣버섯(Lentinus lepideus KACC 50120)의 균사체 생육에 관한 결과로는 최적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5.5이었다. 공시배지중에서 최대 균사 생육을 보인 최적배지는 YMG 배지로 조사되었다. YMG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영양 요구성 실험을 한 결과 탄소원 선발 및 최적 농도에서는 최적 탄소원은 glucose이고 최적 농도는 4.0%(w/v)이며 질소원 선발 및 최적 농도에서는 malt extract와 yeast extract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최대 균사 생육을 보였고, 상기의 두가지 복합질소원을 1:1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1.5%(w/v)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효모의 생육에 관한 연구 (제1보) Methanol자화균의 분리와 배양

  • 신규철;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8회 학술발표회
    • /
    • pp.188.1-188
    • /
    • 1976
  • 주유소, 공장주변의 하수 및 토양으로부터 Methanol 자화성 효모 7주를 분리하고 그중 생육이 왕성한 균주 2주에 대하여 동정을 행한즉 양주, 모두 Candida속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양주는 모두 ethanol 자화성을 가지고 생육에는 Biotin을 요구하였다. 배양특성은 최적온도 $28^{\circ}C,$ 최적 pH4~5이고 methanol 농도 1% v/v에서 증식이 양호하였고, 균체수율은 대소비 methanol에 대하여 30~40%에 달하였다.

  • PDF

어병균 Vibrio anguillarum 생육 저해 인자를 생산하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H41의 분리 (Isol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H41 Producing Growth Inhibition Factor against Vibrio anguillarum)

  • 김영희;정영기;정경태;류은주;정유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05-611
    • /
    • 2006
  • 양식 산업의 문제점인 어병균을 방제하기 위한 생물 전구체의 개발을 목적으로 해산어의 내장 추출물에서 어병균인 Vibrio anguillarum의 생육을 저해하는 새로운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 H41으로 명명하고 생육특성 및 생육저해인자 생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 균의 생육 최적 조건은 기본배지로 1% peptone, 질소원으로 1.5% yeast extract, 탄소원으로 1% sucrose, 0.5% NaCl, 금속이온으로는 0.05% $MgSO_4{\cdot}7H_20$이었으며 pH는 7.0-8.0, 온도는 $28-35^{\circ}C$에서 20시간의 진탕배양이었다. V. anguillarum 생육 저해물질은 B. amyloliquefaciens H41의 배양 상등 액에서 볼 수 있었는데 paper-disk 법으로 투명환의 생성여부로 확인하였다. 분리 균에 의한 생육저해 물질 생산 최적 조건은 1% peptone, 1.5% yeast extract, 1% NaCl, 0.05% $MgSO_4{\cdot}7H_20$, 1%의 sucrose이었으며 최적 pH는 7.5, 최적온도는 $35^{\circ}C$이었다. 분리 균은 최적 배양조건하에서 저해물질을 배양 후 16시간부터 24시간대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해 활성반응은 분리 균에서는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 amyloliquefaciens KCTC1724 표준균주에는 저해활성을 나타나지 않는 대조를 보였다. 또한 분리 균에 의해 생산된 저해물질은 V. anguillarum 에는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인체 병원성 Vibrio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균주 선택성이 특이적이었다.

미래 기후변화 및 그에 따른 재배시기 조정이 벼 생태형별 생육기간과 생육온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 이충근;곽강수;김준환;손지영;양원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33-243
    • /
    • 2011
  •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의 온난화는 전 지구적 온난화에 비하여 심하였으며, 미래에도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상승은 보통 벼 수량을 감소시키고 품질 저하를 야기하는데, 이 양상은 벼 생육기간 및 그에 따른 생육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벼 생육기간 및 생육온도 또한 이앙 및 파종시기와 같은 재배시기에 조정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및 그에 따른 재배시기 조정 여부가 현재 우리나라 벼 품종의 생태형별 생육기간과 생육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생육모델 ORYZA2000을 이용하여 오대벼, 일품벼, 화성벼의 파종부터 출수기까지의 생육기간을 예측하였을 때 예측값이 관측값의 약 84%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측오차 중 상당부분은 작물모형 자체의 문제보다는 육묘기 생육온도에 대한 정보부재 또는 불확실성 때문이며, 예측값과 관측값의 회귀직선과 1:1선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미래 기후변화 조건에서의 벼 생육기간 변화를 예측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조생종은 전체 57개 지역 중 55개, 중생종은 51개, 중 만생종은 40개 지역에서 최적파종기가 설정되었는데, 전체적으로 최적파종기는 생육기간이 짧은 조생종에서 비교적 늦고, 생육기간이 긴 중만생종에서 빠른 경향이었으며, 벼 생태형에 관계없이 지구온난화가 진전될수록 최적파종기가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재배시기를 고정하였을 경우 지구온난화가 진전되면서 벼 출수기와 그에 따른 출수전 생육일수가 빨라졌는데, 조 중생종에 비해 중만생종의 생육기간이 크게 단축되는 경향이었고, 출수후 생육기간은 벼 생태형간 차이 없이 10일 정도 단축되었으며, 출수전에 비해 출수후 생육기간 단축 정도가 컸다. 4. 최적파종기를 기준으로 벼 재배시기를 조정하였을 경우 지구온난화가 진전되면서 출수기는 늦어졌으며, 출수후 생육기간 및 생육온도는 변화가 없었다. 재배시기를 고정하였을 때에 비해 출수전 생육온도는 크게 상승하였고, 생육기간은 크게 단축되었는데, 조 중만 생종에 비해 중만생종에서 그 경향이 심하였으며, 생육온도에 비해 생육기간 변화의 지역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5.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가 진점됨에 따라 벼 생육온도가 상승하고 생육기간이 단축되어 벼 수량성 및 품질저하가 우려 되었는데, 특히 생육기간 단축이 큰 중만 생종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시기 조정은 벼 수량성 및 품질 결정에 영향력이 큰 등숙기간의 온도환경을 개선할 수 있지만 출수전 생육기간이 크게 단축되어 여전히 벼 수량성 감소를 경감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더욱 적극적인 재배기술과 품종개발이 요구된다.

좀나무싸리버섯(Clavicorona pyxidata)의 균사체 최적 배양조건 및 세포효소활성 특성 (Optimized Culture Condition and Enzyme Activity of the Mycelia of Clavicorona pyxidata)

  • 이태희;김진만;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1-134
    • /
    • 2006
  • Clavicorona pyxidata DGUM 29005의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및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 온도 및 pH는 각각 $24^{\circ}C$ 및 5.0이었다. 사용된 복합배지 중 malt extract medium (MEM)에서 가장 좋은 균사 생육을 나타내었다. 최소배지로 Czapek-Dox 한천배지를 사용하고 탄소원으로 trehalose, mannitol, sucrose 및 maltose 첨가시 균사생육이 우수하였다. 전반적으로 무기질소원이 유기질소원 보다 균사 생육을 더 촉진하였으며, 무기질소원으로 calcium nitrate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인산원으로 $Na_2HPO_4$를 사용했을 때 균사생육이 촉진되었으며, 가장 우수한 비타민원은 p-aminobenzoic acid이었다. MEM 액체배지를 사용하여 $24^{\circ}C$에서 20일간 C. pyxidata DGUM 29005를 배양하여 균사외 분비효소 및 균사내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균사외 분비 효소 중 laccase의 활성도가 다른 효소에 비해 높았으며, ${\alpha}$-amylase, chitinase, lipase 및 pretense의 활성도는 낮거나 없었다.

미생물(微生物)에 의한 Amaranth의 분해(分解) (Degradation of Amaranth by Microorganisms)

  • 손종록;최우영;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46-155
    • /
    • 1983
  • 색소로 인한 수질오염의 방지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전근교의 토양을 분리원으로 하여 amaranth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고 그의 균학적 성질을 검토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색소 분해에 대한 몇가지 주요한 요인등을 검토하고 분해산물을 TLC로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aranth의 분해능이 가장 강한 A12-은 Pseudomonas속으로 동정되었다. 2. A12-1 균주의 생육최적온도는 $35^{\circ}C$, pH 7.5이었으며 통기배양에서 더욱 생육이 촉진되었다. 3. Amaranth를 분해하는 최적조건은 생육최적조건과 비슷하였으나 통기는 생육을 촉진하는데 비해 색소분해는 저해하였다. 4. Amaranth 농도가 높을수록 균의 생육 및 색소분해는 저하되었다. 5. A12-1 균주의 배양으로 얻은 조효소의 amaranth에 대한 최적반응조건은 온도 $35^{\circ}C$, pH 7.5이었다. 6. Amaranth의 분해산해물은 TLC로 검토해본 결과 sodium naphthionate와 R -amino salt로 추정되었다.

  • PDF

온실의 미기후 및 근권 데이터 활용을 위한 R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n an R Web Application for Microclimate and Root Zone Data Utilization)

  • 정지민;노혜민;연효진;김태영;이지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40-442
    • /
    • 2021
  • 농업에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단순한 생육 환경 모니터링에서 벗어나 작물 생육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발견하고 인공지능에 기반한 자율제어가 가능한 농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자율제어가 가능한 농업의 시작은 최적의 작물 생육 환경을 아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집된 데이터들의 품질을 검증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물 생육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물 생장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이핑 결과를 기술한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입력하고 원하는 분석을 요청하게 되고,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과 관련된 R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Methanol을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에 관한 연구

  • 유주현;변유량;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5.3-205
    • /
    • 1978
  • Methanol이용 미생물의 집적배양을 통해 토양 및 하수로부터 분리하여 그 중에서 비교적 생육속도가 빠른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균주는 형태적, 생리적 특성에 따라 Methylomonas methanolica로 동정되었으며 obligate methylotroph 이었다. 균체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배지조성과 배양 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methanol 0.8%(v/v), 질소원은 $(NH_4)_2SO_4$ 0.6%, 금속이온은 $MgSO_4.$ $7H_2O$ 0.1%이었고, 최적 pH는 6.3, 최적 배양온도는 $32.5^{\circ}C이었으며,$ 생육인자는 요구되지 않았다. 그리고 최적 배양조건에서 1ι용 fer-mentor를 사용하여 회분배양을 하였을 때 최대 비증식속도 0.19$hr^{-1}$, 균체수율은 0.47g dry cell/g-methanol이었다. Chemostat를 이용한 연속배양시 균체생산을 위한 최적희석률은 D=0.1 $hr^{-1}$이었고 이때의 균체생산속도는 0.21g- dry cell/hr이었다. 생산된 건조균체의 단백질과 핵산함량은 각각 73%, 12%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