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적노선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G.I.S 기법을 활용한 최적노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rout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최재화;서용운;이석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7-138
    • /
    • 1991
  • 본 연구는 지형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최적 노선선정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노선의 선정은 후보노선대, 최적노선대, 최적노선의 선정 순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노선선정계획의 마지막 부분인 최적노선선정부분을 고려하였다. 최적노선의 선정은 연구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정규형격자로 구분하고, 각 정규형격자에 토지이용현황, 지가, 경상도 등을 고려하여 얻어진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이를 지형 정보시스템의 속성 데이타로 활용하여 노선선정에 적용되는 가중치의 특정부분으로 고려하고, 세개의 노선을 선정하였다. 이들 세개의 노선을 비교ㆍ분석하여 실제노선의 선정과정에서 지형정보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HP 기법을 이용한 도로의 노선 선정시 다중인자의 정량화 연구 (The Quantification Research of Multi-Factors for Route Determination Using AHP Technique)

  • 양인태;김동문;최승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9-206
    • /
    • 2002
  • 대부분의 노선선정에 있어서 GSIS의 적용은 노선선정시 고려되는 토지이용, 토공량, 지가등 몇 가지의 기본자료를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선선정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노선선정시 고려되는 다중인자들에 대한 복합적인 고려가 미미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GSIS를 이용하여 최적노선 선정시 다중의사 결정 지원 및 노선선정 절차의 표준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최적 노선선정시 AHP기법을 이용하여 다중인자의 정량화를 시도함으로서 노선선정에 이용되는 자료가 효율적으로 제공되어 최적의 노선선정이 되도록 하였다. AHP기법을 적용한 결과 종래의 노선선정시 다중인자들의 경중률을 임의로 적용하던 것보다 합리적으로 최적노선을 선정할 수 있었다.

컨테이너선의 총 비용 분석을 통한 노선별 최적선형 도출 (A Determination of the Optical Containership Size Using a Total Shipping Cost Analysis)

  • 김태원;곽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21-429
    • /
    • 2005
  • 선사가 운영하는 노선에서 최적선형의 선박을 결정하는 것은 선사가 해운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가지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해운시장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특성 아래 경쟁관계에 있는 여러 선사들과 연구자들은 최적의 선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해왔었다. 본 연구는 선사들이 주요노선 상에 운영하고 있는 선형들에 대한 총 비용 분석을 통하여 노선별 최적의 선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비용을 산출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비용변수들은 자본비용, 운영비용, 항해비용, 항만비용 및 기타비용이 포함되며, 대상이 되는 주요노선은 '유럽-극동 노선', '극동-북미 노선', '유럽-극동-북미 노선'으로 구분된다. 분석 결과 '유럽-극동 노선' 및 '유럽-극동-북미 노선'의 경우 6,500TEU급 선형이 최적으로 나타났으며, '극동-북미 노선'의 경우 8,200TEU급 선형이 최적으로 나타났다.

GIS기법을 이용한 천안시 자전거도로 노선선정 (Selection of the Bicycle Road in Cheonan City using GIS)

  • 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2
    • /
    • 2018
  • 본 연구는 GIS기법, GPS기법을 이용하여 천안시 내의 자전거도로 최적노선을 선정하고 문제점 제안에 관한 것이다. 연구에서 자전거도로 최적노선을 위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등 다양한 측면의 조건과 제안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GIS, GPS기법을 이용해 데이터값을 표출하여 해당 지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편의성, 안전성, 접근성을 고려한 자전거도로의 노선을 제안하였으며천안시 자전거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자전거 이용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PDF

도로의 최적노선대 선정방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ing Highway Routes)

  • 김관중;장명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59-179
    • /
    • 2006
  •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과 국도의 노선계획 설계지침에 준하여 실행되는 현행 노선선정방법과, 컴퓨터 발전과 함께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선형최적화 모형식으로 사례연구 구간의 도로 노선을 선정하여 노선 특성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현행 노선선정방법은 단계별, 구간별로 순차적인 노선선정이 이루어지는 국지적 최적을 추구하나, 선형 최적화 모형식 선정방법은 모든 설계요소가 동시에 고려된 체계최적(System Optimal)의 노선탐색 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선형최적화 모형에서 기존 설계공종별 실제공사비로 비용함수를 보정하여 노선을 선정한 결과 현실에 부합되게 설계되었으며, 경제성이 높은(B/C=1.66) 대안 노선이 탐색되었다. 선형최적화 설계모형은 터널 종단에서 종단 경사가 변화하는 등 보완될 점이 있음에도 타당성조사와 기본설계단계에서 노선선정 도구로서 설계시간 및 비용단축, 다양한 대안 노선의 검토 등의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철도 최적 노선설계 모형의 해석과 적용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Railway Optimal Alignment Design Model)

  • 김정현;신영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845-1850
    • /
    • 2014
  • 철도 운영측면에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노선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형 위에 설계기준에 맞는 노선을 배치하여야 하며, 절토량과 성토량을 최소화 하거나 이 둘의 합을 균형화 하여 공사비용을 최소화하고 있다. 열차의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노선의 설계는 다양한 변수의 해 공간을 모두 고려하여야하기 때문에 조합최적화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비를 최소화 하는 최적 철도 노선을 설정하기 위한 수리적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Genetic Algorithm을 사용한 문제의 해석을 하였고, Algorithm과 결과를 활용한 철도 최적 노선 설계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가상의 구간에 대한 사례적용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에 대하여 평가하여 성토량과 절토량을 균형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적으로 수명 동안의 에너지 비용이 공사비보다 높은 현실에서 철도노선설계의 최적화 과정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BTRNDP)의 고찰 (Reviews of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

  • 한종학;이승재;임성수;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47
    • /
    • 2005
  • 버스 대중교통은 정해진 노선, 운행시간표에 의해 정류장을 경유하여 운행하므로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BTRNDP: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는 승용차위주의 가로망 설계 문제와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적용모형은 설계방법의 역사적발전과정에 따라 매뉴얼 및 지침, 시장분석기법, 시스템해석모형, 휴리스틱모형, 하이브리드모형, 경험기반모형, 시뮬레이션모형, 수리최적화모형 등 크게 8가지 분류할 수 있다. BTRNDP는 이용자비용과 운영자비용의 조합인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현실적 제약조건하에서 버스노선집합과 배차횟수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BTRNDP는 조합최적화문제로 일반적 수리최적화문제로 가능해 공간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모든 가능해로 구성된 큰 탐색공간으로부터 최적해를 탐색해야하는 NP-Hard라는 특성을 가진다. BTRNDP의 목적함수는 이용자와 운영자관점을 모두 고려한 다목적함수(Multi-Objective Function)를 이용하며 수요는 고정수요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가변수요를 고려한 방법론이 연구되고 있다. 해알고리즘으로 최적 버스 노선망을 구성하게 될 모든 가능한 후보노선집합(Candidate Route Set)을 생성하고 노선집합의 최적조합을 찾는 메타휴리스틱(Meta-heuristi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역최적 노선집합을 찾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최적 버스 노선망의 배차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대중교통 통행배분모형이 필요한데 BTRNDP에 적용되는 통행배분모형은 다중경로 통행배분모형이 주로 활용되었다. 국내외 BTRNDP를 고찰한 결과 주요 시사점으로는 BTRNDP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세분화된 버스정류장 기반 기종점통행량 구축, 버스 노선망 평가 모형 및 대중교통 통행 배분모형의 개발, 탐색 해알고리즘의 개발 등의 향후 연구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DTM에서 최단노선과 토공량을 고려한 최적노선의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Route Considering on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Balance of Earthwotk Volume in DTM)

  • 조규전;조영호;임선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9-226
    • /
    • 1994
  • 노선의 거리와 토공량은 노선의 계획시에 경제적인 인자로써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노선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실제로 경사가 균일하고 굴곡이 존재하지 않는 지형과 경사가 없고 굴곡만이 존재하는 두 지형을 선정하여 두 인자를 고려한 최적노선의 선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최단거리를 갖는 노선은 지형의 경사에 관계없이 굴곡정도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토공량의 산정은 지형의 굴곡정도와 보간식에 영향을 받아 차이가 발생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 PDF

도심지 도로설계에서 가능교통량과 가상 주행을 통한 최적노선선정 (Optimal Route Location using Possible Traffic Capacity and Virtual Running and Application at Road Design in the City Centre)

  • 최현;송석진;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46
    • /
    • 2005
  • 본 연구는 가능교통량과 가상주행을 통한 최적후보 노선선정에 군을 선정한 다음 최적 노선 선정에 관한 연구이다. 노선선정은 예비타당성조사, 기본 및 실시설계단계 등을 충분히 검토한 다음 도로를 설계하게 된다. 다양해진 도로이용자의 요구사항은 도로설계를 할 때부터 반영되어야 하나 기존방법은 2차원적인 지형요소를 고려하기 때문에 불규칙한 지형에 대한 적정 설계기준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보노선을 선정을 위해 가상교통량분석과 주행을 실시하였다. 3차원 자료구축 구조물의 가상도로주행에서 모의관측으로 경관 및 지형 분석을 실시하여 최적노선을 선정하였다. 가상교통량과 3차원 모의관측기법을 통하여 도로건설 후에 미치는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경관분석이 가능하고 조망권 차단 등 지역주민들과 마찰이 예상되는 부분에서 객관적인 해석이 가능하였다.

  • PDF

다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최선노선선정 기법 관한 연구 (Road Optimum Route Selection Technique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 연상호;이진덕;이종극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9-152
    • /
    • 2010
  • 본 논문은 지구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및 철도 계획과 공사를 위한 최적노선을 선정하는 기법에 관한 새로운 연구이다. 사람과 물자를 수송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공공교통시설인 도로 및 철도를 건설하기 위하여 초기에 가장 중요한 결정이 바로 최적노선결정이므로 환경파괴를 최대한으로 감소시키고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대상 지역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노선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3차원 지형 환경의 공간영상콘텐츠는 국토계획 및 통신설비계획, 철도건설, 시공, 입체적인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요구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지리정보 기반의 2차원적인 지도정보와 시설정보를 다차원의 도시공간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등고선을 이용한 DEM 방식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철도와 같은 노선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서 궤적 관리가 어려운 작은 구조물의 경우에는 그 고도모델이 무시되기 쉬우므로, 레이저 측량 기술을 이용한 공간대상물에 대한 높은 정확도 취득이 크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영상 Data를 중심으로 하는 정사보정하고 이에 매칭 할 수 있는 수치 지도 벡터와의 통합 및 전환으로 다차원 공간에서 건물 모델의 생성과 다양한 활용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이미 취득한 2차원적인 평면사진을 지상 기준점에 의하여 정밀기하보정을 하여 얻은 사진영상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동일지역에 대한 수준 측량결과인 높이 데이터를 매칭하여야 하므로, 항공기에 탑재한 센서로 모든 대상지에 대한 지형지물의 고밀도의 높이 값을 획득하여 위치보정 작업 후에 3D로 매칭할 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험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의 지형조건, 기존 노선과의 비교, 토지이용, 지형경사, 사면방향, 지가 등을 분석하여 각각의 경중률을 고려한 후 선택된 후보노선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최적노선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