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근린 분석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GIS 기반의 상권분석 모형 연구 - Huff 확률모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e Area Analysis Model based on GIS - A Case of Huff probability model -)

  • 손영기;안상현;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4-171
    • /
    • 2007
  • 본 연구는 GIS공간분석기법과 Huff의 확률모형을 이용하여 근린생활권중심의 상권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본도는 청주시 복대동을 대상으로 하여 업종, 세대수 등을 현장 조사하여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LMIS에 있는 연속지적도를 활용하였다. 분석에서는 커널밀도함수(Kernel Density Function)와 최근린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활용하여 근린생활권내 점포분포 중심권역을 설정하였다. 상권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된 중심권역에 따라 중심지(점)와 규모를 산출한 후 상권분석의 모형인 Huff 확률모형에 적용하여 중심권역별 상권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상권을 지도로 도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분석기법 중 커널밀도함수와 최근린지수를 통해 Huff 확률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상권분석을 할 수 있으며, 향후 창업하고자 하는 소상공인들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사례 연구를 통한 Pre-con 단계의 린 건설 기반 IPD 프로젝트 적용 방안 도출 (Integrated Project Delivery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 Case Study of IPD for Lean Construction)

  • 장한별;이주성;안용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1-22
    • /
    • 2019
  • 현재의 건설사업 과정은 사업 참여자들 간의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소유자의 요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건설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참가자들 간의 수평적 관계 형성을 통해 협력과 신뢰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린 건설기반 통합 프로젝트 발주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린 건설 기반의 IPD는 건설 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린 건설 기반의 IPD 를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린 건설 기반의 IPD 프로젝트가 어떻게 성공했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는 IPD 프로젝트가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기존 연구와 보고서를 통해 분석되었다. 영향 요인을 기반으로 단일 사례 분석을 통해 실제 적용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이전의 분석을 바탕으로 IPD 프로젝트의 각 성공요인에 대한 적용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건설 기반 IPD 프로젝트의 실행에 사용될 수 있다.

건설주체간의 니즈분석을 통한 발주자 참여형 린 건설 연구 (Owner-driven Lean Construction based on Participants' Needs Analysis)

  • 이강욱;유충규;박희대;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2-226
    • /
    • 2008
  • 건설산업은 불확실성이 높은 산업으로 이에 따른 비용효용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린 건설의 대표적인 요소기술인 라스트플래너 시스템은 기존의 상의하달식 의사결정체계를 개선한 하의상달식 접근방식으로서, 모든 참여주체가 함께 중 단기 공정계획을 검토 시행하는 체계이다. 이와 같은 린 건설은 최근 들어 건설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발주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체 생애주기를 총괄할 수 있는 리더역량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발주자가 참여하는 린 건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설주체 상호간에 요구하는 니즈(needs)수준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시공과정에서의 참여주체 니즈 요소를 규명 분석하고, 중점관리항목과 이들 항목들의 개선가능성을 도출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발주자 참여형 린 건설 협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DGPS/Echo Sounder 조합에 의한 호퍼준설량 산정 (The Estimation of Hopper Dredging Capacity by Combination of DGPS and Echo Sounder)

  • 김진수;서동주;이종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해상측량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DGPS기법과 음향측심기를 조합하여 취득된 해저지형의 3차원 위치정보를 크리깅(kriging), RBF(radial basis function), 최근린(nearest neighbor) 보간법을 이용하여, 항만공사에서의 호퍼준설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보간법에 의해 산정된 호퍼준설량과 실제 준설량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준설량 산정에 있어 DGPS/Echo Sounder 기법의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크리깅 보간법을 적용한 경우 내용적 차이는 15,364㎥로 약 1.89%의 오차율을 나타내었으며, RBF 보간법과 최근린 보간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각각 3.9%, 4.4%의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향후, 항만공사에서의 준설량 산정에 있어서 해저지형의 특성에 따른 적합한 보간법 적용에 관련한 연구가 선행될 경우,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준설량을 산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군수지원(ILS) 측면의 린 메인터넌스 프레임워크, 정비 전략 제시 및 린 예방정비(PM) 사례 연구 (Lean Maintenance Framework, Maintenance Strategy for ILS and Case Study on Lean PM)

  • 임재훈;서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502-5512
    • /
    • 2014
  • 최근까지의 종합군수지원 개발은 정비계획, 지원장비, 보급지원, 군수지원교육 등 ILS 지원성요소의 개발, 획득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이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무기체계의 운용유지와 총수명주기관리체계(TLCSM)와 같이 지속유지성을 강조하는 제도 등을 고려하여 지원성 분야의 효율성 증대, 비용절감 등 린(LEAN) 관점에서 지원성 전략과 정책이 필요할 때이다. 본 논문에서는 ILS 이론, 린 개념, 린 메인터넌스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군수지원 측면의 린 메인터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정비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레이더 체계의 금속형 필터에 대한 린 예방정비(PM) 사례를 정비 시간, 정비 인시, 정비 비용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무기체계의 지원성요소 측면에서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수도권의 도시성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using GIS Analysis: Focused on Urban Growth of Seoul Metropolitan Area)

  • 정재준;노영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9-331
    • /
    • 2007
  • 도시화 지역은 지역발전과 더불어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수도권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개발을 주도하며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범위가 확대일로에 있다. 그러나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를 평가함에 있어 그 분포 양상이 집적형태인지 임의적 형태인지 아니면 분산된 형태인지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즉, 시기가 지남에 따라 도시화 지역이 확대되기는 하지만 정량적으로 그 분포를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GIS의 통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화 지역의 확대와 성장이 도시화 지역의 분포 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시계열적 도시성장 과정에서 수도권 내 도시화 지역의 분포패턴을 파악하고자 래스터 기반의 GIS 분석방법, 방격 분석(quadrat analysis), 그리고 최근린 분석(nearest neighbor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수도권의 도시화 지역의 집적정도는 1980년대 초반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98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 내에서는 외연적 성장이 약화되고 비지적 도시성장 또는 도로망과 연계한 소규모 개발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GCM 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비선형 축소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Nonlinear Downscaling Technique to Use GCM Data)

  • 김수전;이건행;김형수;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73-73
    • /
    • 2011
  • 일반적으로 미래 기후자료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후 시스템을 수치화한 GCM에 의한 결과를 사용한다. 하지만 GCM의 시공간적인 해상도의 문제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 분석을 위해서는 축소기법의 적용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한 일기발생기를 이용한 축소기법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기발생기에 의한 방법은 월 평균값의 연간 변동성이나 계절적 변화를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기 발생기의 한계가 강우의 발생 특성이 평균과 표준편차로 대표되는 통계학적 기법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따라서 최저온도, 최고온도,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과 같이 6개의 기상자료를 선정하여 비선형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기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RES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CNCM3 기후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고 각 관측소 마다 다양하게 발생하는 강우 특성은 과거의 강우 특성과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공간적 축소기법으로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을 적용하고 시간적 축소기법으로 최근린(NN: Nearest Neighbor) 방법과 유전자 알고리즘(GA: Genetic Algorithm)을 적용하는 기법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법들을 실제 남한강 유역의 기상관측소 지점으로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모의된 대부분의 기상자료가 관측치를 비교적 잘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선형 축소기법은 추후 기후변화 연구에 중요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공정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도로현장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Time Management; Based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 이규선;박희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51-456
    • /
    • 2011
  • 공정관리의 원활한 수행은 프로젝트의 성패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 효율적인 공정관리업무를 수행을 위해 새로운 공정관리기술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건설 현장의 공정관리 업무 및 활용기법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 및 린 건설이론의 현장 적용정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공정관리 측면에서 린 건설도입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도로 현장의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장에서 효율적인 공정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추후 현장 현황을 고려한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개선방안 및 도입방안을 현장에 적용하여 성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추후에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탄저린 수입이 감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의 시뮬레이션 분석 (A Simulation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 of U.S. Tangerine Importing in the Korean Citrus Industry)

  • 김배성;김화년;김만근;고성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03-311
    • /
    • 2020
  • 미국의 탄저린 감귤귤 재배면적은 2009년 19,000ha에서 2016년 27,000ha로 급격히 증가하여 7년 동안 42% 증가했다. 최근 일본으로의 수출이 급증함에 따라 향후 약 6 ~7천 톤의 수출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미국 탄저린 수입이 감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는데 있다. 미국 탄저린감귤의 수입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 감귤이 수입된 적인 없기 때문에 미국 탄저린 감귤의 일본 수출 단가가 사용되었다. 감귤류는 재배 방법과 품종에 따라 노지감귤, 하우스감귤, 한라봉 등 만감류(월동 온주 포함)로 분류하였다. 노지와 하우스감귤의 생산시즌을 고려해 보면, 미국 탄저리감귤의 수입량은 2021년 약 4,700 톤에서 2027년에는 10,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탄저린감귤의 수입은 국내산 노지와 하우스감귤의 생산량과 품질뿐만 아니라 미국산 탄저린감귤의 생산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그렇지만, 미국 탄저린감귤의 관세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2021년 이후에는 수입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