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촉각미디어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teractive Assistance Continuous Quality Evaluation for Subjective 3D QoE Assessment (주관적 3D QoE 평가를 위한 IACQE 방법 연구)

  • Kim, Tae-Wan;Kang, Ji-Woo;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1-16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 3D quality of experience (QoE) 평가에 적합한 IACQE (Interactive Assistance Continuous Quality Evaluation)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크게 3D 평가 영상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와 평가 도구사이의 device interaction, 평가 도구와 평가 참여자사이의 human interaction process로 구성된다. Device interaction process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WLAN and WiFi)을 통해 3D 디스플레를 동작시키는 서버와 평가 도구 사이의 정확한 동기화 및 평가결과 기록 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human interaction process는 평가 도구로 사용하는 tablet-pc의 촉각, 시각, 청각적인 자극을 통해 기존의 주관적 3D QoE 평가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Bubble Popping System for Educational Augmented Reality (교육용 증강 현실을 위한 버블 포핑 시스템 구현)

  • Lee, Woo-Keun;Jung, Da-Un;Choi, Chang-Yeol;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71-374
    • /
    • 2009
  • 가상 현실과 현실 세계가 공존하는 증강 현실은 현재 및 향후 실감미디어 콘텐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증강 현실은 게임, 엔터테인먼트, 교육 분야 등에서 응용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의 결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적 효과를 주는 버블 포핑 증강 현실 기법을 제안한다. 버블 포핑 시스템은 비디오 입력용 웹캠, 마커 패턴 영상, 그래픽 구 버블 객체, 그래픽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그래픽 마우스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면서 버블과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충돌시 발생하는 버블의 이벤트로 동적 움직임, 터짐 등의 버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충돌 검출은 카메라와 마커 패턴의 좌표계 및 버블의 3차원 공간위치, 그리고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제안 시스템은 ARToolkit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시각적인 마커 기반 시스템으로 버블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버블 포핑의 증강현실을 전달한다. 향후, 현재 개발 중인 포스 피드백 기능이 있는 진동촉각공간 햅틱 마우스와 접목하여 보다 실감적인 증강현실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 PDF

Research o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Synesthesia through STEAM Education Program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는 공감각의 감성적 표현 연구)

  • Lee, Jin;Lee, Seungyon-Seny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9
    • /
    • pp.448-454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of expanding the mind in multi-disciplinary ways through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ience and art. The paper aims at analyzing both the analog- an digital-based emotional expressions experienced by students. Students use digital visualization technology using linguistic tool as well as sense of vision, hearing and touching. This is a STEAM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called "Kandinsky, Drawing the Sound". Kandinsky was a prominent proponent of synesthesia and through his artwork,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and develop synesthetic senses. Through this STEAM program, students are empowered to express diverse emotions reconstructed through plays, stories and synesthesia.

Digital Technology Facilitating the Fusion of Video Games and Films (디지털 기술의 발전 아래 전자 게임과 영화의 융합 연구)

  • Li, Jua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4
    • /
    • pp.71-82
    • /
    • 2019
  • Today's media environment is becoming very complicated and the trend of media convergence is getting clearer. The convergence of media is the supreme hot issue. In this wave of convergence, there has also been a huge change between movies and electronic games. The remake boom between them showed a tremendous economic effect that can be achieved by exchanging two media of essenti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computer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evolve, electronic games will provide a virtual world that can satisfy the demands of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aspects very real to the public with the Internet. At that time, movies and other media will be thoroughly melted into the virtual world created by electronic games, and they will become an element of the virtual world as those media that exist in the truth world.

스마트TV를 위한 증강방송 서비스 기술

  • Ha, Jeong-Rak;Jeong, Yeong-Ho;Hong, Jin-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5
    • /
    • pp.27-36
    • /
    • 2013
  • 애플 아이폰의 등장으로 촉발된 스마트 열풍이 전통적인 수동 시청기기에 지나지 않았던 TV에게로까지 미쳐 이제는 스마트TV를 자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스마트TV는 아직도 TV와 인터넷의 단순한 결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에서 소개하는 증강방송 서비스는 스마트TV의 하이브리드 망 특성을 이용하여 방송 연동형 증강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TV만의 특화된 서비스로 활용될 수 있다. 증강방송 서비스는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증강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융화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시청자는 2D, 3D의 그래픽 콘텐츠 뿐만 아니라 촉각 등의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자신이 선호하는 증강 콘텐츠로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증강방송 서비스의 특징과 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요소들에 대해 소개한다.

A study on Dart Game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다트 게임에 관한 연구)

  • Jo, Min-Hyeok;Ko, JunHyung;Lee, Ho-Jae;Kim, Ki-Yong;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663-664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은 시각, 청각, 촉각 등 인간의 오감을 활용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간적, 물리적 제약 때문에 현실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사용자가 현실과 가상세계의 구분 없이 체험이 가능하여 국방, 의료, 교육 등에 활용이 되며 특히, 가상현실 스포츠나 게임 등의 개발이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게임, 미디어 등에 손짓을 컴퓨터가 인식하게 할 수 있는 입력장치인 립모션(Leap motion)을 이용하여 VR다트 게임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다트게임은 방향 뿐 아니라 힘과 속도 등의 변수가 중요하며 바로 결과를 알 수 있고 위험하지 않는 장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VR스포츠게임이다.

  • PDF

Research on immersive elements to improve the reality of AR / VR content (AR/VR 콘텐츠의 현실감 향상을 위한 몰입 요소 연구)

  • Heo, Junwon;Byun, Daniel H.
    • Trans-
    • /
    • v.13
    • /
    • pp.17-34
    • /
    • 2022
  • This paper summarizes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virtual worlds and virtual reality, and advances research on immersive elements for improving the reality of virtual worlds. The immersive elements are broadly studied by separating the sensory immersive elements and the technical immersive elements, focusing on the sensory organs of sight, perception, touch, and hearing, and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elements to improve the immersive feeling in content design. Set standards.

A Study on Digilog Exhibition Technique of Cultural Heritage using Five Senses Interaction (오감 인터랙션을 활용한 문화유산 디지로그 전시 기법 연구)

  • Park, Jeong-Yeo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13-41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수중 문화재를 주제로 오감 인터랙션을 활용한 디지로그 전시 기법을 연구한다. 영상을 활용한 디지털미디어가 중심인 기존의 전시 기법에 시각, 청각, 촉각과 같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활용한 인터랙션을 추가함으로써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프로젝션 매핑, 증강현실과 같은 디지털 기술과 난파선과 자갈, 실물 크기의 모형 유물과 같은 아날로그를 결합하여 관람객에게 실재감을 주어 효과적인 몰입감(flow)을 유도하고자 한다.

  • PDF

Experience Expansion of Interface through Meta-Thinking in Digital Media -Focused on Augmented Things and Media Art Cases- (디지털 미디어에서 메타적 사고를 통한 인터페이스의 경험 확장 -증강된 사물, 미디어 아트 사례를 중심으로-)

  • Seo, Hyun-Seok;Song, Sang-Min;Han, Ki-E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09-1014
    • /
    • 2009
  • Meta-thinking is a kind of thinking beyond certain scope or border, which sees objects as an expanded definition exceeding its essence. It can be experienced when people come into contact with new things. As for digital media, experience acquired from computer screen makes users' thinking be changed continuously and help their thinking to be expanded. Today, studies 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garding virtual reality (VR) and experience obtained from digital media become a topic of conversation, however, this experience depends on the sense of sight through screen. Actually, transparent experiences in digital media are not the same with those in real worl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 expan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real things which are much closer to daily lives than virtual experiences. It can be found in media art which induces positive participation of audiences and shows them a new meaning through delight and amuseme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Visual expression in digital media should be more than spectacular which is only full of excessive images. In addition, interface should not be remained as an expression from technological attempts, instead, it is necessary to find humans aspiration with meta-thinking which accepts things expansively and visualize their experiences.

  • PDF

Development of a functional game device and Contents for improving of brain activity through finger exercise (뇌활동 증진을 위한 손가락 운동용 기능성 게임 장치 및 콘텐츠 개발)

  • Ahn, Eun-Yo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1
    • /
    • pp.1384-1390
    • /
    • 2012
  • It is well known that the exercising and stimulating of fingers have an important bearing on the brain. We take note of the fact and develope a game device for improving one's health and brain ability in respec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Especially, we develope the device focused on the balanced exercising of five finger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The game device is possible to used in two-ways, namely online and off-line mode. In online mode, the device is connected with other visual devices such as smart phone and smart TV and communicated with Bluetooth and it is used as a MMI(multi-modal interface) device. Whereas, in off-line mode the game device works independently and it makes possible to enjoy auditorial and tactual games without video images for promotion of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cultivation. For certification of the device, we implement two games(a fishing game for off-line mode and a shooting game for online mode) for people of all age, especially good for the elderly. It is usable as a game device to offering the elderly a great help for preventing impair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