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중등 비교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초·중등학교에서 성공적인 SW교육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 - 초중등 학생 및 교사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을 중점으로 - (A Research on the Successful Introduction Strategy for SW Education in K-12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K-12 Students and Teachers on SW Education)

  • 서순식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전략을 규명하고자 34개 초중등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학교 소재, 성별, SW교육 선행 경험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학교 소재에 따른 SW교육 태도를 비교한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에 따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중등학생의 경우, 대도시 학생들이 유효하게 높은 태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태도를 비교한 결과, 초중등 모두 남학생이 더 높은 SW교육 태도를 보였다. 또한 SW교육 사전 경험에 따른 태도를 비교한 결과, 초중등 모두 SW교육을 사전에 경험한 학생들이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초등 및 중등 교사 모두 SW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초중등학교에 SW교육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참여자,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학교 내·외 지원 등이 필요함이 규명되었다.

독일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 고찰 - 초·중등학생의 참여 관점에서 - (Students'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case)

  • 강구섭;김진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05-124
    • /
    • 2016
  • 평생학습이 하나의 전 사회적 문화로 형성되고 일상에서 향유되는 사회가 평생학습 사회이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그러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단위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의 내용을 고찰하고 우리의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에서는 개인학습지원, 다음 학제 단계로의 전환과정 지원, 직업 및 진로 지도라는 세 가지 방향에서 초 중 고등학생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가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실질적인 대상을 확장하고 초 중등학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학습 관련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학교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플립러닝이 소프트웨어 교육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in Software Education)

  • 전수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33-44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이 소프트웨어교육에 있어서의 대학생들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교육대학교 1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10주간 스크래치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SW교육 관련 온라인 강좌 사이트를 동시에 병행하여 플립러닝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학습동기는 사전 학습동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놓아졌으며, 사후 학습동기 검사 결과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습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에 향후 소프트웨어교육에서 플립러닝이 대학교에서 뿐 아니라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도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 저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간의 인식, 실행 및 기대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in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 김래영;이민희;김민경;노선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131-146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discrepanc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in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and how their beliefs and practices are interrelated. Analyzing the responses of 212 elementary teachers and 189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the questionnaire, we found that there is lack of consistenc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beliefs, practices, and expected benefits regarding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In addition,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each group of teachers' beliefs and expected benefits about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y that such inconsistenc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assessments may determine the effects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텍스트의 언어적 난이도 측정 공식 비교 연구 - 초중고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Modelling Readability Formulas: Focus on Primary and Secondary Textbooks)

  • 최인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173-195
    • /
    • 2005
  • 본 연구는 언어적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텍스트수준점수 측정공식을 구성하는 방법론이 초등학교 텍스트는 물론 중고등학교 텍스트까지 확장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텍스트가 확장됨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초중고 텍스트 통합공식, 중고등학교 텍스트 전용공식, 초등학교 텍스트 전용공식을 구성하여 각 공식들의 특징을 비교한 결과 텍스트의 범위를 넓게 잡아 통합 공식을 구성하는 것보다는 소규모 집단으로 분리한 후 전용공식을 구성하는 것이 해당 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우수한 공식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고등학교 텍스트의 점수를 측정하려면 단락내문장수요인, 문장수 $\cdot$ 단락수요인을 사용하고 초등학교 텍스트의 점수를 측정하려면 이형어절수요인, 이형어절수$\cdot$새어절출현비율요인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교육 대상에 따른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특성 비교 : 지질 답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ing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by Learner Groups: Focusing on Cases of Geologic Fieldwork Education)

  • 정찬미;신동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5-25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년간 국내외 문헌에 나타난 지질 답사 교육 사례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교육 대상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사례는 총 53건이며, 분석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및 하위 요소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반영양상에서 초중고생 대상 지질 답사 교육 사례와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사례 간 명확한 차이가 드러났다. 초중고생 대상 답사는 주로 교육 과정에 기반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중 관찰, 표상, 귀추적 추론 중 2~3가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답사는 지질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중 4~5개를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공간적 사고 및 통시적 사고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고, 지질도 작성 등 전문 기술을 요구하는 활동이 자주 활용되었다. 과학 교사 대상 답사는 초중고생 및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답사의 특징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났다. 포함된 탐구 요소의 다양성, 지질학자가 수행하는 활동과의 유사성, 학습자의 자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답사가 다른 교육 대상의 답사보다 야외 지질학 탐구의 실제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참 과학 탐구로서 지질 답사교육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고찰한 한국 초·중등학교의 데이터베이스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bas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focused on the IT curriculum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김형용;이혁수;김종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2-1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 중등학교에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경상북도 초 중등학교의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을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 일리노이 주 Arcola Schools(초 중등과정)의 해당분야 교육과정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사회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 및 21세기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규모와 성장속도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육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재 한국의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은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을 제공하기에는 대단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의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이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이 가능한 방향으로 시급히 개편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상황의 학교도서관 온라인 도구 활용 분석을 통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Readi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e of Online Tools in the School Libraries in the COVID-19)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7-217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코로나 상황 학교도서관의 온라인 도구 활용 분석을 통해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플랫폼으로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초중등 교육에 온라인 도구 활용이 극대화된 코로나 상황 속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지원과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 코로나 이전과 이후 상황의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활용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코로나 상황 속에서 전반적 온라인 도구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사서교사의 자유기술 의견을 중심으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이 학교도서관의 온라인 플랫폼으로 기능하기 위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실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Actua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 정주영;김향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39-347
    • /
    • 2007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은 사회 및 생활 전반에 깊숙이 보급되었다. 최근 인터넷을 활용한 e-러닝의 교육적 요구는 학교교육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시스템은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인 성장에 비해 질적인 운영관리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K지역 S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들의 인식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K지역의 초등교사 139명, 중등교사 139명, 총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시스템의 다양한 학습 콘텐츠 제공, 콘텐츠의 질, 학교수업 보충에의 도움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초등교사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더욱 더 효과적인 시스템을 위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 및 컴퓨터 활용 인프라 구축, 그리고 학교 및 교육당국의 지속적인 지원과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방안 등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창의융합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Components for Selecting Creative Convergent Talents)

  • 전경희;김은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97-204
    • /
    • 2017
  • 본 연구는 창의융합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의 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예비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타인배려, 대인관계능력, 정직성 관련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빈도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및 중요도에 대해 대인관계능력, 타인배려, 성실성 순으로 프로그램 효과가 높으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대입 전형에서 인성이 평가요소로 반영될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 고등학교의 인성 교육과정과 대학 입학전형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