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 학습부진아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Grounded Theory)

  • 강지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44-64
    • /
    • 2022
  • 본 연구는 근거이론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을 탐색하였다. 과학학습부진학생을 최근 3년 이내에 지도한 경험이 있고, 5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가진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에 대한 자료가 이론적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심층면담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은 119개의 개념과 41개의 하위범주 및 17개의 범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범주들을 패러다임 모형에 근거하여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을 바탕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및 결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교사의 과학교과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핵심범주는 '어려움을 극복하며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하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핵심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과학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유형은 '현실타협형', '현실극복형', '현실수용형', '현실갈등형'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을 교사-학교-교육청 차원의 교육공급자 측면과 학생-가정 차원의 교육수요자 측면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통합할 수 있는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과 부진학생 지도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 최승현;조성민;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135-145
    • /
    • 2012
  • 학교 교육의 책무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에서 교사의 수업 진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 채 학습부진아가 되는 연결고리를 끊으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의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에서부터 학습 부진아들의 학습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들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설정된 수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도달해야 할 필수 학습 목표와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부진 정도의 판별을 위한 평가 도구와 학습 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자료와 학습 자료는 개인의 학습 부진 정도에 따라 개별 관리가 가능한 맞춤형 학습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학습 결손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 발생 경향 분석 (A Trend Analysis on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박주경;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5-283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진단평가 결과 및 교사와 학생들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의 발생 경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은 저 중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감에 따라 부진이 점차 누적 및 심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학습 부진이 저학년 시기부터 시작되어 나타난 결과임을 의미한다. 또한, 단순히 총점수로만 부진 여부를 판별하는 현재의 방법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영역별 점수 및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방법이 또 다른 학습 부진의 원인이 될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학 학습 부진 학생지도를 담당하는 대다수의 교사들과 학생들은 수학 학습 부진의 원인이 학생들 자신의 내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적 처치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수학에 대해 긍정적이고 성공적인 경험을 하여 학습 결손이 생기지 않도록 지원해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자료 분석에 바탕을 둔 지도 방법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 PDF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Levels of Elementary Mathematics Underachievers' Understanding of Place Value)

  • 장혜원;임미인;강태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347-366
    • /
    • 2015
  • 초등 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선수학습요소의 결여가 하나의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학습부진의 원인으로 자릿값 이해의 결여 가능성을 고려하여,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을 분석하고, 그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자릿값 개념의 과제 유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학 학습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3학년 학습부진아 10명을 대상으로 자릿값 개념 이해 검사인 SToPV를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이전 학년에서 자릿값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릿값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 유형에 있어서도 경향성이 있음이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개념 진단과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

  • 김규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9권
    • /
    • pp.73-81
    • /
    • 1999
  • 7차 교육과정을 시행에 앞서, 현재 초등학생들이 수학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어 떤 이유로 수학에서 학습 부진을 느낄까? 라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정규교육의 첫 단계인 초등학교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고자 했다. 본 연구대상은 대전 ${\cdot}$ 충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초등학교 6개 반을 선정하여 발달사고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는 4학년에서 6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교과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 대해초등학생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고, 어떤 교과요인을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중학생 ${\cdot}$ 고등학생 ${\cdot}$ 대학생들까지 연속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함이며, 새롭게 시행될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학교과 구성면과 수학 학습 및 교수 방법론에 보다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초·중 다문화 가정 학습 부진 학생 교과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 구영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1-374
    • /
    • 2016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147명의 다문화가정 학생과 전국의 32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760명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학습 일반'과 '학습 환경'으로 나누어 설문 문항에 반영하였다. 문항 타당도 검증을 거친 뒤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부진', '학교 급(초등학교 중학교)', '출생지'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부진'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학습 동기, 학습 전략, 학습지원에 대한 거의 모든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 환경 중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에게 부모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학교의 경우 사회적 관계가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학교 급'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학습 동기 측면에서 긍정적이며 교사 및 교우와의 학습 또한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생은 교사의 학습 지원을 중학생은 교우의 학습 지원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출생지' 변인과 관련하여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학생에 비해 중도 입국 다문화가정학생에게 보다 면밀한 언어적, 정서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부모 나라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균형감 있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방향을 제언하였다.

초등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불안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정지연;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15-335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에 따른 학업적 실패내성, 우울,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ner/External Motiv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 Basic Learning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Depression and Academic Efficacy)

  • 박순길;조증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35-14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 학업적 실패내성(감정, 행동, 과제선호도), 우울(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 학업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내·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는 목적이 있다. G광역시 10개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동 3학년과 학년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학습부진아동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하였고, 내·외적동기 예언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외적동기에서 3학년과 5학년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초학습부진아동은 부모의 강요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 행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습부진 아동의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우울정서, 흥미상실, 생리적 증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 3학년 학생들은 5학년 학생들보다 외적동기에 의해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우울 변인들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겠다.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 2.0 교수학습모형 연구 (An Instruction-learning Model throug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2.0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 이명근;이정민;최용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07-214
    • /
    • 2012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최적의 사이버 가정학습 2.0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기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부진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부진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고, 면담 결과를 통해 규명된 일련의 학습부진 원인들을 공통 개념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학습부진 원인을 8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상위범주로 묶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 가정학습 2.0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고, 적용 기간에 학습부진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및 교사와의 심층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여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습부진학생들은 사이버 가정학습 2.0에 임하면서 '사이버 가정학습 2.0 적응과정', '기초지식학습과정', '과제수행과정', '반복적인 모둠토의 과정', '되알리기와 학업성취도 평가 과정' 등 다섯 가지의 구체적인 전략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정분석 결과로 나타난 구체적인 전략들을 토대로 학습부진학생들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 2.0 상황모형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영어과 학습 부진아를 위한 RPG 게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PG based learning contents for English low-achiever of elementary school)

  • 오영범;정희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35-34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 학습부진아를 위한 RPG 게임 기반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교수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을 토대로 교육과정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설계 전략을 추출하였으며, 이 설계 전략을 활용하여 영어 교육용 RPG 게임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초등학교 5학년 영어 학습부진아 4명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유 글쓰기, 인터뷰, 그리고 담임교사의 관찰 방법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영어 학습부진아들은 RPG 게임 자체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학습 기대감과 만족감으로 이어졌다. 게임에서 미션의 해결에서 오는 만족감은 새로운 미션에 대한 도전감을 갖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Keller가 언급하고 있는 '계속동기(continuing motivation)'의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