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5.361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Goo, Youngsan (충남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LPSMBs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rocedure involved surveying students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d responses from 1,147 students from 200 elementary schools and 3,760 students from 320 middle schools who were LPSMBs and NPSMB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LPSMB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an NPSMBs. LPSMBs in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scores on teachers' learning support, LPSMBs in middle school showed higher scores on classmates' learning support. LPSMBs born in foreign countries need to be given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as well as their father's and mother's culture. I give suggestions for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Keywords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Basic Academic Competency; Learning; Learning Environ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부, 2015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교육부 다문화교육지원팀, 2015.
2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구영산, 다문화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보고 PRI 201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3 구영산, 이화진, 이혜원, 장의선,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보고 PRI 2014-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4 구영산, "다문화 예비학교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연구: 중학교 장(場)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제42권, 제3호, pp.35-69, 2015.
5 구영산, "다문화 배경 중도입국 청소년을 고려한국어 기초학력 개념의 보완 방안," 선청어문, 제42권, 제0호, pp.161-185, 2015.
6 신진아, 김경희, 박상욱, 김영란,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김현경, 이영주, 최숙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교과별 성취 특성 분석, 연구보고 PRE 2012-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7 김수동, 이화진, 유준희, 임재훈,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제 7과제: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연구, 연구보고 RRC 98-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8 오상철, 이화진, 김태은, 노원경, 김영빈, 학습부진 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강점 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 RRI 2011-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9 P. A. Spevak and M. Karinch, Empowering Underachievers: New Strategies to Guide Kids to Personal Excellence, NJ: New Horizon Press, 2006.
10 류방란, 김경애, 이재분, 송혜정, 강일국, 중등교육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보고 RR 2012-01,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원진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언어교육, 원진숙(편),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 사회평론, 2010.
12 송현정, 양정실,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정책 방향 연구, 연구보고 RRI 201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3 구영산, "다문화 특별학급 학습자의 공간 인식과 언어 학습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 제54집, pp.7-35, 2014.
14 조영달, 윤희원, 박상철,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실태 조사,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교육인적자원부, 2006.
15 오성배,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pp.61-83, 2005.
16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 다문화 청소년 이해론, 서울: 양서원, 2007.
17 김정원, 이혜영, 배은주, 허창수, 외국인 근로자 자녀 교육복지 실태 분석 연구, 연구보고 RR 2005-5, 한국교육개발원, 2005.
18 조영달, 구정화, 이혁규, 다문화 가정 학생 DB 현황 및 유형별 교육 요구 분석, 교육과학기술부, 2009.
19 백병부, 강세창, 김선혜, 신수희, 신호현, 이욱범, 정경숙, 정선희, 학습부진학생지도 전담강사 운영 실태 및 성과 분석 연구, 정책 연구보고 2011-58,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1.
20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학교-지역사회 연계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1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1 C. E. Sleeter and C. A. Grant, 문승호, 김영천, 정정훈(역), 다문화 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아카데미프레스, 2009.
22 이화진, 오상철, 김태은, 김영빈,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지원 체제, 연구보고 CRI 2011-10,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2011.
23 이화진, 김민정, 이대식, 손승현,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연구보고 RRI 2009-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