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 과학 영재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을 위한 초등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a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오성훈;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9-9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현재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재량 및 특활 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ICT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실제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교육내용을 여러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영역에 따른 학습주제를 원격교육, 참여교육, 집중교육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연간 교육일정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ective Test Item for the Gifted of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 이재호;이재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81-1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개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다양한 측면에서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후 정보과학영재를 정의하였다. 둘째, 제7차 초등수학교육과정 속의 이산수학적 요소를 분석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평가문항을 학교현장에 투입하여 다양한 관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김경민;차희영;구슬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09-71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의 P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과학영재 학생 6명과 B와 M초등학교의 일반아동 6명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학생들에게 부여되는 분류 활동 과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물자료 과제 3가지와 사진자료 과제 3가지로 총 6가지였으며,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 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 측정, 분류 활동 결과 분석 및 분류 기준 수 비교, 분류 능력 지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류 과제 종류에 관계없이 초등과학영재가 일반아동에 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이 더 짧게 걸렸다. 분류 활동 결과 분석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비교 관찰을 실시하였으나 생성된 분류 기준 수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가 더 많은 기준 수를 산출하였고, 분류 능력 지수 또한 초등과학영재의 경우가 더 높았으나 학년의 발달과 유의미한 관계는 없었다.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 개발

  • 이재수;이재호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7-216
    • /
    • 2005
  • 정보과학영재의 선발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할 문제는 교육에 의한 가능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보과학영재의 선발에서는 정보과학영재의 정의와 특성에 따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과학분야에 대한 창의적 사고력과 이해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와 특성을 바탕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평가에 필요한 필수요소를 추출하여 선발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Education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 배기택;이재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16
    • /
    • 2009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재교육의 교육내용 역시 세분화되고 있다. 그러나 영재교육이 지나치게 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면서 영재 아동의 사회성과 인간관계가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영재교육의 인지적 영역만 아니라 사회 정의적 영역 모두 중요 시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내용 중 하나가 리더십 교육이다. 영재교육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를 길러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그 자료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을 위한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초등정보과학영재용 리더십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 PDF

초등과학 영재교육 - 장곡 초등학교 사례 -

  • 김순희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샵 21세기 창의적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 교육
    • /
    • pp.171-174
    • /
    • 2002
  • 본 발표자가 재직하고 있는 시흥시 장곡 초등학교는 2001-2002년 교육부로부터 2년동안 영재교육연구학교로 지정 받아 $\ulcorner$잠재능력 발현 기회 확대를 통한 영재아 육성$\lrcorner$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영재교육을 운영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으며, 본 교사는 그 프로그램 가운데 5학년 과학 심화반을 운영하고 있다. 영재아 선발, 영재반 편성, 프로그램 적용 등이 학교교육과적운영의 큰 축과 맞물려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영재반 프로그램 소개 이전에 배경이 되었던 연구학교 제반 여건과 영재아 선발 방법 등을 먼저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 다음 순서로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 비교 (A Comparison of Overexcitability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 김학준;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01-414
    • /
    • 2014
  • 다양한 형태의 자극에 대해 더 많이 더 오래 그리고 더 강렬하게 반응하는 내적 경향으로서의 민감성을 의미하는 과흥분성과 한 개인이 사회생활, 특히 학교생활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개념인 사회적 자아개념은 과학영재의 매우 중요한 정의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을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의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학생 135명과 일반학생 91명을 대상으로 과흥분성 검사와 사회적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흥분성의 5개 하위 영역에서 일반학생보다 초등과학영재의 모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별로는 대학부설영재교육원 및 지역공동영재학급의 초등과학영재의 과흥분성이 단위학교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단위학교영재학급은 일반학생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사회적 자아개념에서는 대학부설영재교육원 과학영재가 단위학교영재학급의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과학영재의 지도에서 영재교사가 유념해야 할 시사점과 영재교사의 연수 등에서 고려해야 할 점 등을 논의하였다.

  • PDF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오성훈;이재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판별 방안 연구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hods of Identifying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황국환;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판별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의와 판별을 위해 영재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행하고,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수학 과학영재의 판별원칙 요소 절차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원칙 요소 절차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절차와 그에 따른 내용을 정의하고, 6학년들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친 관찰 및 평가를 통해 영재판별을 실시한다. 셋째, 판별절차에 의해 정해진 영재집단과 타 초등학교의 수학 과학 학업우수자인 일반집단과의 과제 성취를 비교, 분석하여 타당도를 분석한다.

  • PDF

초등과학 영재교사와 일반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 비교 (Comparison of Beliefs in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Gifted and General Teachers)

  • 전혜린;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40-249
    • /
    • 2011
  • 이 연구는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신념을 비교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 88명과 초등학교 일반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최종학력, 심화전공에 따른 과학교육의 본성과 그 하위 영역에 대한 신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와 일반교사 사이에는 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의 차이는 없었으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서는 영재담당교사가 더 구성주의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의 하위 영역에 대한 최종학력과 심화과정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신념에서는 일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사의 선발, 영재교사를 위한 연수에 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