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Beliefs in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Gifted and General Teachers

초등과학 영재교사와 일반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 비교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1.12.13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elementary teachers in charge of the gifted and the general teachers. For this study, a survey on beliefs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as conducted to 88 elementary teachers for the gifted and 90 elementary general teachers. Data was analyzed by their academic career and maj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betwee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in charge of the gifted and the general elementary teachers, but the former has a more constructivism in science learning than the latter. In the some sub-domains of the beliefs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career and major. Implications from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such as recruiting and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gifted.

이 연구는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신념을 비교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 88명과 초등학교 일반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최종학력, 심화전공에 따른 과학교육의 본성과 그 하위 영역에 대한 신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와 일반교사 사이에는 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의 차이는 없었으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서는 영재담당교사가 더 구성주의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의 하위 영역에 대한 최종학력과 심화과정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신념에서는 일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사의 선발, 영재교사를 위한 연수에 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