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ective Test Item for the Gifted of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의 개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In this paper, it conducted the following works to develop the selective test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s. First, it presented the discrete mathematical thinking as an essential competence of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gift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with many expert's stud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cience gifted. Second, it developed a test to measure the discrete mathematical thin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screte mathematical elements, appeared in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ive test for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gifted. Third, regarding the verification of items in a newly developed test, it adjusted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by conducting 2 sessions of preliminary test, and then finally confirmed that the standards of items in the test, by testifying sufficient level of validity after the application to a main experiment.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개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다양한 측면에서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후 정보과학영재를 정의하였다. 둘째, 제7차 초등수학교육과정 속의 이산수학적 요소를 분석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평가문항을 학교현장에 투입하여 다양한 관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예홍진, 위규범 (1999).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선발과 교육내용. 영재교육연구, 9(2). 131-152
  2. 이재호 (2004). 정보과학 영재를 위한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6. 369-384
  3. 교육부 (1998). 제7차 수학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이도영 (1995). 국민학교 고학년에서 이산수학의 소개에 관한 기초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김보라 (2001). 이산 수학의 기초개념 형성에 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6. 한길준, 정승진 (2001). 초등학교에서 이산수학의 활용방안 탐색. 교과교육연구, 5, 183-205
  7. 이재수, 이재호 (2004).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방법. 한국영재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8. 이재수, 이재호 (2005).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9. 이재수 (2006).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용 평가문항의 기준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0. 전경원 (2000). 한국 새천년을 위한 영재 교육학. 서울: 학문사
  11. 조석희 (2001). 영재성의 개념과 판별. 서울교육연수원 연수자료. 49-66
  12. Cangelosi, J. S. (1990).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13. Ebel, R. L. (1979). Essentials of Educational Measur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