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생의 인식

검색결과 975건 처리시간 0.032초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실천의 빈도와 수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및 통합과학- (Scientific Practices Manifested in Science Textbooks: Middle School Science and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for the 2015 Science Curriculum)

  • 강남화;이혜림;이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7-428
    • /
    • 2022
  • 이 연구는 다가오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이를 바탕으로 하는 교과서 저술 및 새 교육과정 실행 관련 과학교사 연수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새로이 도입된 8가지 과학 교과의 '기능'의 바탕이 되는 과학실천이 얼마나 어떤 수준으로 교과서에 반영이 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중학교 검정교과서 14종과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 5종에 제시된 1,378개의 학생활동을 과학실천의 정의와 수준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학년의 교과서에서 대부분의 학생 활동이 3개의 실천에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고, 이전 교과서 분석 연구 결과와 달리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실천이 더 많이 강조된 것으로 정보화 사회에 따른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학생 주도형 과학학습의 중요 요소가 될 수 있는 '질문하기' 실천은 여전히 교과서에서는 거의 찾을 수 없고, 과학실천에 대한 최근의 이해를 반영하는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수학 및 컴퓨팅 사고 사용하기', '증거에 기초하여 논의하기'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교과서에 제시된 실천의 수준은 '설명 구성하기' 실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초등학교 수준으로 드러났다. 다수의 학생이 중학교 과학과 통합과학 이후 과학을 거의 이수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낮은 수준의 일부 실천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는 것은 다수의 미래 시민이 이해하는 과학실천이 일부 활동으로 인식되고, 중학교 이하의 수준에 머무를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학생 수준에 맞춘 다양한 실천의 강조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현재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되지 않은 과학적 기능의 정의, 과학적 기능별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수준을 제시하여 교육과정이 교과서 저술에 충분한 안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에는 해외 교육과정에 대한 벤치마킹, 학생들의 실천 능력과 수준을 탐색하는 연구,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실천에 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및 학부모의 가공식품에 대한 영양표시 인식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the Processed Foo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 Daegu Area)

  • 김정미;이미희;이난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07-111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perception concerning nutrition labeling and students' availability of processed foods and is to investigate parents'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conducting directly to th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105 persons) by the nutrition teacher in each school. The part that checked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education, the name of manufacturer (p<0.05), raw material and content (p<0.001), food additives (p<0.001), nutritive components (p<0.05) et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 idea about nutrition labeling ha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 question items in 'it is reliable' (p<0.001), 'satisfied'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ularly. In spite of one time education, it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t can be possible to get desired nutrition information. Thus, although it was one time training conducted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carried out formal education due to school environment, a variety of practical education of children's dietary life is required targeting comprehensive senior students,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conducted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s.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about Learning with a Humanoid Robot in Elementary School)

  • 김영애;채경화;손영준;양재명;구찬동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85-19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learning with a humanoid robot and seek for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using humanoid robot.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as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subject through the use of humanoid robot. While the students consider Physical Education as the major subject, the teachers consider Science as the one. The students recognize that the use of humanoid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learning while the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teaching. As an expected positive effect, both of them choose an increase in interest in learning as the main effect of the use of humanoid robot, but the students, unlike the teachers, conside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its main effect as well. Thes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humanoid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d in addition,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m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기장읍 치면열구전색 사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arents on School Based Fissure Sealant Program at Gigang-eup, Korea)

  • 전은숙;이정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7-241
    • /
    • 2006
  • 본 연구는 치면열구전색 사업의 확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2002년부터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기장읍 소재의 3개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8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우식예방수단 중에서 치면열구전색의 상대적 중요도는 100점 만점에 50.1점으로 잇솔질이나 식이조절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2. 치면열구전색 사업에 대한 인지자율은 93.3%였으며, 치면열구전색 사업 목적에 대한 정인지자는 96.3%였다. 3. 치면열구전색 사업 찬성여부에 대해서는 '좋다'가 94.1%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별, 학력별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치면열구전색 사업의 인지획득 경로별 응답률은 '전문가(치과병의원, 보건소)'가 5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치면열구전색 실시 후 64.5%가 유지상태를 살펴보았으며, 96.4%가 치면열구전색 후 재검사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프로그램과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 연구 (A Qualitative Evalua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an Infinite Creative Space Program)

  • 노영희;강정아;정은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1-1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무한창조공간에서 시행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창의성 증진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에 소재한 J도서관의 무한창조공간에서 '그림책 제작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3~6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은 Torrance가 개발한 TTCT(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언어검사도구이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 전 과정을 통해 환경과학에 대한 흥미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고, 둘째,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경험으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환경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창작활동을 통해 참여자 개인별 창의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섯째, 참여어린이들의 창작활동 결과물을 책으로 발행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자존감이 향상되었다.

전통 강강술래의 현대화를 통한 대중화 방안 (Transforming Traditional Ganggangsulae into Popular Modern Plays)

  • 윤숙;김재현;이상일;정석원;이상돈;최종명;조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5-174
    • /
    • 2010
  • 강강술래는 다양한 장단, 반복되는 선율, 놀이를 통한 공동체 의식의 함양으로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은 전통 문화 교육의 소재라 할 수 있다. 전래놀이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인 방식과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지 않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의 경우에도 많은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에 강강술래의 구성을 종전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대중적인 현대적 생활 스포츠로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강강술래의 지도 실태와 아이들의 강강술래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 분석하였고 강강술래를 구성하는 놀이에 대해 놀이를 수행하였을 때의 운동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초 분석을 토대로 특수 목적을 위한 군무로서의 재창조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또한 강강술래에 대중성을 입히기 위한 강강술래가 가지는 진화론적 다양성과 모듈식 구조를 반영한 놀이자 지향 강강술래 구성 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초등과학 지역화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Teaching Strategy on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Students)

  • 김순식;이용섭;이하룡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0-68
    • /
    • 2013
  • The aim of the study is determined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teaching strategy would influenc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students. In order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51 fifth graders from two classes in M Elementary School in U City were divided into a 26 of experimental group and a 25 of comparative group.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to November of 2012.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classes were conducted while for the comparative group, a general science clas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learn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class would have a significantly and statistically high environmental sensitivity comparing to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at proves the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class's being efficient at improving the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clas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ly and statistically strong will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would do. Such finding says that the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class is helpful to enhance the students' will to preserve th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study came to understand that the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teaching strategy can improve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the students for such elementary science localization class would efficiently encourage environmental interest of the students.

초등 정보 영재의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퍼즐의 교육적 활용 (Educational Application of Puzzles for Algorithm Learning of Informatic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51-159
    • /
    • 2015
  • 알고리즘은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문제 해결 과정을 설계하는 기법을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 과학을 배우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영역이다. 알고리즘 교육은 학습자들이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기법을 익히는 것 뿐 아니라 학습한 알고리즘 기법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익힐 때 효과적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가진 정보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활성화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영재 학습자들이 알고리즘 설계 기법을 보다 쉽게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퍼즐을 도입하였다. 연구 결과 퍼즐 기반의 알고리즘 학습이 전통적인 알고리즘 학습 방법에 비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을 통해 알고리즘 설계 기법을 적용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경험을 함으로써 흥미와 학습의 전이가 향상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자가-인식과 운동수행 상태 (Health-related self-cogni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status of a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7-72
    • /
    • 2004
  • Background : The part to be very important that we make the physical development rightly at elementary school student days.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a physical health status which itself recognizes and an exercise performance situation out for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health and exercise performance status of 1,032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examine children's a physical injury experience and injury occurrence characteristic and a personal computer utility condition, a body alignment status of the student which parents recognize and the relation of a fatigue and concentration level was an investigation with other factors. Results: An average age of the children was the 10.95 yr and an average weight was the 39.02 kg and an average height was the 145.17cm. The student to be experiencing currently an pain occurrence was 192(19.07%). It was most high to the grade 6(23.33%) compared with different grade(p<.01). Physical pain occurrence rate did not exist by gender(p>.05). There is most an pain occurrence region the ankle(38.0%). They had a 27.19% an physical injury experience of the students. A injury rate was revealed that were high as were the high grade(grade 6, 36.72%)(p<.01). A reason of the injury rate was high in a collision at the body(19.84%), falling down(18.68%) sequence at a traffic accident(22.96%)(p<.05). There were the significant relation to the school year the reason of the injury (p<.05). Currently there was the student to be taking special exercises a 57.97%. This that they have the relation with exercise with physical pain students to recognize 23.8%. The significant relation did not exist in the physical exercise execution and pain occurrence on the body(p>.05).

  • PDF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직무설정을 위한 초등학교 영양사와 학생의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 배인숙;신경희;이연경;이성국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4호
    • /
    • pp.393-40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getting information to set up the new roles focused on nutrition education for school dietitians as nutrition teachers. One hundred thirty nine school dietitians and 1169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iding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Sixty eight percent of the school dietitians perceived 1st-3rd year of the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proper time to start nutrition education, and 59.0% of them wanted to practice nutrition education as a discretion teaching time. The largest proportion(79.1%) of the school dietitians expect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helpful to get good dietary habit. School dietitians responded that major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nutrition education was balanced diet, diet and habit, managing healthy weight, dining etiquette, food safety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airly large proportion of the students(64.4%) responded nutrition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The conten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students wanted most were cooking and healthy diet. Forty six percent of the students perceived school dietitians are responsible for nutrition education and they wanted to have nutrition education as a part of special activity class. The most preferred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was 1 hour/week and 46.2% of the students responded they wanted to participate cooking cam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