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교 학교 환경

검색결과 837건 처리시간 0.028초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임해경;박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기술된 과학이야기에 대한 학생들의 어려움 분석 - 6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tudents' Difficulty on Science Stor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Focusing on 6th Grade Science)

  • 임영현;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25-542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6학년 과학교과서에 실린 과학이야기의 내용 분석 및 과학이야기를 읽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그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6학년 2개반(65명)이다. 초등학교 6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이야기 총 26편을 영역별, 내용별(지식의 심화 보충, 과학자와 과학사, 생활 속 과학, 첨단 과학 기술, 환경 문제)로 분류하고 그 성격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 과학이야기(26개)를 이해하는데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65명), 그리고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4명). 과학교과서에 나온 과학이야기 내용과 설문지의 응답, 면담결과를 분석한 결과 과학이야기는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4개 영역이 고르게 제시되었으며 내용별로 생활 속 과학과 지식의 심화보충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제시 되었는데 이는 학습한 지식을 실제 사회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자 한 과학교과의 성격과 관련이 있었다. 과학이야기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과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과학이야기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부분도 있었다. 내용 이해의 어려움, 교과서 내용 제시 방식의 문제, 과학 용어의 어려움, 흥미 부족 등이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세부적 원인으로 설명식 수업과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라는 생각,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의 설명 부족, 삽화의 문제점 등 다양한 학생들의 반응이 나왔다.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 교사들 모두 과학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과학이야기가 흥미를 돋우며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는데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런 도움을 주는 과학이야기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겪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면 앞으로도 그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좀 더 나은 내용을 제시하여 학습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 PDF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수준의 변화와 발달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Students' Development of Interest in Science)

  • 최윤성;김찬종;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0-61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흥미가 발달한 초등학생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2개의 초등학교 201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3차례에 걸쳐서 흥미 변화, 과학과 관련된 활동의 선호도와 참여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례의 설문조사에서 과학 흥미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 참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사례연구 참여에 동의한 7명의 학생들에게 12주에 걸쳐서 매일 과학관련 활동 포토저널을 작성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2주에 한 번씩 연구자 중 한 명을 만나 총 6차례 반-구조화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7명의 사례연구 참여자 중에서 과학 흥미가 상황적 흥미 II 수준까지 발달한 학생 1인과 개인적 흥미 I 수준까지 발달한 학생 1인, 총 2명(TK와 QQ)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설문조사 결과와 포토저널과 면담내용이었다. TK 학생은 상황적 흥미 II 수준에서 개인적 흥미 I 수준까지 발달한 사례로서 주로 집에서 직접 실험하기, 수학 활동하기, 동식물 기르기, 관찰하기 등을 하였으며, 비형식 교육기관을 방문하는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이 학생은 과학과 관련된 활동 장소로 학교 밖 환경을 주로 선택하였으며, 스스로 자유로운 형태로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QQ 학생은 상황적 흥미 I 수준에서 상황적 흥미 II 수준까지 발달한 사례로서 사진 찍는 것을 자신의 대표 활동으로 하였다. 이 학생은 학생의 아버지 또는 연구자 중 1인과 함께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학생에게서는 장소 기반 활동, 타인과의 상호작용, 활동의 주체성이라고 하는 개인적 특성을 볼 수 있었다. TK 학생은 다양한 장소를 기반으로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타인과 상호작용의 목적이 인지적인 영역에 도움을 받는 것이었다. 반면에 QQ 학생은 특정 장소를 기반으로 활동에 참여하였고 타인과 상호작용의 목적은 정서적인 교감이었다. 이 연구는 과학 흥미가 발달한 학생의 사례에서 학교 안과 밖 활동 및 함께하는 사람까지 포함한 특성을 밝혀내었다.

인터넷 중독 소아-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취약성 (PSYCHOSOCIAL VULNERABILITIES OF CHILD-ADOLESCENT INTERNET ADDICTS)

  • 김은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04-1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취약성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107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고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과 비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간에 인터넷 기대, 자기통제력, 부모와의 의사소통, 친구관계, 외톨이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 집단은 비중독 집단에 비해 인터넷 이용시 자존감 고양, 갈등해소, 정보화 획득, 인간 관계 증진 면에서 더 많은 것을 기대하였고 자기통제력이 낮았으며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였고 친구가 없는 외톨이 경향이 많았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데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변인은 인터넷 기대의 하위 요인인 갈등 해소와 자존감 고양이였으며 자기통제력도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다. 또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환경적 변인은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통제였으며 친구관계나 외톨이 성향 등은 유의미하게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 PDF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 Devices)

  • 장준혁;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21-528
    • /
    • 2014
  • 오늘날 학생들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졌다고는 하나 대부분은 채팅, 게임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을 탐구해보고자 하는 의도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웹 2.0 환경에서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를 바탕으로 실험 집단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글 드라이브의 문서 작성 기능을 활용하여 협동학습을, 통제집단은 전통적 일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총 7주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의 한 영역인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더 신장되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웹 2.0 환경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서울시 초등학교 실내 먼지 중 프탈레이트 오염실태 조사 (Phthalates Contamination in Indoor Dust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Pilot Study)

  • 이영선;최인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48-55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yvinyl chloride (PVC)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nd libraries in Seoul, and to investigate phthalate contamination in indoor dust. Methods: PVC material was identified for building materials and furniture using portable x-ray fluorescence (XRF). Phthalates in dust samples (n=19) were extracted by ultrasonic extraction using cyclohexane and analyzed by GC-MS. Results: Diethyl phthalate (DEP), di-n-butyl phthalate (DBP), and Bis (2-ethylhexyl) phthalate (DEHP) were found in all collected dust samples (n=19), and diisonyl phthalate (DINP) was detected in all except for one sample (n=18). The concentration of DEHP (median: 2190 mg/kg) and DINP (2960 mg/kg) were higher than other compounds, suggesting that there are many products in the school that used these compounds. When comparing the phthalate concentration in the classroom (n=11) and library dust (n=8), the total concentration in the classroom (median: 10000 mg/kg) was higher than that in the library (8030 mg/kg). DEHP was the dominant compound in the library. The library is relatively more equipped with PVC furniture (n=83) and most floors are also identified as PVC material, suggesting that floors and furniture made of PVC materials are main sources of DEHP contamin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a pilot survey for investigating phthalate contamin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the survey, phthalate contamination in elementary school was confirmed. However, further study requires risk assessment of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phthalate metabolites in children based on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and information about the site.

초등학교 세면시설의 적정 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allation of Washstands in Bathrooms of Elementary School)

  • 권우택;이우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60-466
    • /
    • 2011
  • Objectiv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usually wash their hands in a washstand. However, little attention is paid to the washstand itself. Today, the importance of personal sanitation and hygiene is greatly emphasized. Therefore students' parents and the public are growing increasingly interested in accessibility to washstan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schools. Methods: With respect to this study, a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inelementary schools was performed on the installation of washstand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per number of washstands per school.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1.1 boys (per class) need a washstand, while 1.8 girls (per class) do so in order to maintain a 50% level of crowdedness. By of the regression equation, to maintain 50% congestion (50% of all students feel congestion) there should be 18.5 boys, and the 15.76 girls per washstand. Table 3 i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per washstand (x) and congestion (y), separated by gend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lation of male models i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of girls in the regression equation can be obtained. The linear regression fit of less than 0.7 determines tha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are 0.5399 and 0.4195, respectively. Significance was much smaller. Also, according to the simulation using the diffusion model, with 29 students per class more than one washstand should be provided in a school. Girls (per class) need 0.7 more washstands than boys (per class). Conclusions: More washstand facilities for girls than boys are needed. If the target is based on school class size two washstands should be installed. Finally, guidelines and/or standards in the Schools Health Act of Korea forin elementary school washstands is considerably needed.

전라북도 초등학교 천연 잔디운동장에 식재된 잔디의 무기성분, 중금속 오염물질, 총대장균군 및 벤조피렌의 함량 (Content of Mineral Elements, Heavy Metals, Total Coliform and Benzo(a)pyrene of Turfgrass Planting at Playground Soil in Elementary School of Jeollabuk-do)

  • 박봉주;조재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4호
    • /
    • pp.241-250
    • /
    • 2007
  • A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level of heavy metals, total coliform and benzo(a)pyrene that may be introduced through by-product fertilizers or air pollution to turfgrass in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in elementary schools around the western coast and eastern mountain areas in Jeollabuk-do, Korea. The level of heavy metals found in turfgrass was in the order of Cu > Zn > Pb > Cd. The majority of heavy metals was found in the roots. It is presumed that the absorption of some air pollutants and by-product fertilizers or chemical fertilizers. The level of benzo(a)pyrene showed an average of 0.05ng/g with a range between 0.02 to 0.08ng/g in the leaves. In the meantime, none was detected in the stems, while the average for roots was 0.02ng/g with a range between 0.01 and 0.03ng/g. The level detected is that found background level, however, benzo(a)pyrene can be introduced partly from the unstable combustion of fossil fuel or through vehicle emissions. Total coliform distributed in grass showed an average of 12MPN/100ml with a range between 2 and 36MPN/100ml. The density of total coliform displayed no regional predominance. However, in some urban areas, the density was slightly higher. The feces of pets or by-product fertilizers may have contributed to the input of pathogenic micro-organism. Yet the level was found to be negligible.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 구영산;오상철;이화진;장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1069-10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위해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09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변인과 일반 학습부진 변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설문 대상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습부진학생과 중상위권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포함시킨 후 변인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 특성과 학습 환경의 많은 부분에서 다문화가정 중상위권 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습부진학생에 비해 더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그러나 소속감과 사회적 관계의 일부 측면에서는 학습부진과 상관없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더 낮은 평균을 나타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은 아버지 또는 어머니 문화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고압 송전선로 주변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량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Prediction Model to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for the Selected Primary Schoolchildren Nearby High Voltage Power Line)

  • 김윤신;현연주;최성호;노영만;홍승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06-514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personal exposure estimated using a time activity pattern and microenvironmental model.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44 children attending a primary school nearby the lines (school A) and 125 children attending a school away from 154 kV power lines (school B). For children attending school A, the estimated personal level was a little weak correlated with the measured level($Pearson\;r\;=0.34{\sim}0.35$). For children attending school B, the correlation was very low ($Pearson\;r\;=\;0.09{\sim}0.16$) using the TW A Model II, otherwise, TWA Model II-I which considered the average residential MF level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power line and home explained $39{\sim}53%$ of the correlation in MF personal exposures. The estimated personal exposure level was very well represented by the measured exposure level using TWA Model II-2 which consisted on spot and 24 h stationary measurements at subject's home ($Pearson\;r\;=\;0.65{\sim}0.85$). In conclusion, personal magnetic field expsoure estimated using a TWA Model II-2 should be provided for a reasonable estimate of measured exposure in schoolchildren living near the power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