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과학 영재아동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omparing Peer Rel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Ordinary Students (초등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 비교)

  • Yeo, Sang-Ihn;Park, Sang-H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5 no.1
    • /
    • pp.49-6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er relation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ordinary students. To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to access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peer relations, students' feeling of loneliness,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of 147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253 ordinary students in Korea. In the peer relations at the ordinary clas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was found in the students' feeling of loneliness, so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little lower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 ordinary students.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In the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 at the gifted and ordinary class, satisfaction with their peer relations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wer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more mutual peer relations between the gifted than the ordinary students.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 Kim, Kyung-Min;Cha, Hee-Young;Ku, Seul-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1 no.5
    • /
    • pp.709-7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shown in classification activitie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six gifted students in an institute for the gifted for science annexed to P school district in Gangwon-do and 6 students at B and M general elementary school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ime taken for classification activities of the gifted was shorter than regular regardless of subjects for classifying. The number of standards for classifying for the gifted was more than regular students. Coefficient for measuring classification skills of the gifted was higher than regulars regardless of age. Consequen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for classifying and generating the number of standards and in a numerical index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performed at science classe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A Study on the Sex Role Identity of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and Science (초등학교 수학${\cdot}$과학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 Jo, Son-Mi;Jin, Sag-A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2 no.2
    • /
    • pp.17-2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x role identity of children who are gif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x role identity types, Korean Sex Role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192 gifted and 128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are the following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 role identity types between gifted boys and gifted girls.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normal groups. The gifted children are more androgynous and less undifferentiated than normal group. 3. Gifted boys were higher in androgyny and masculinity than the normal group. Gifted girls showed the same patte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 Direction of Korean Gifted Education Perceived by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봉사학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초등영재아동의 특성과 영재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

  • Kim, Rah Kyung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12
    • /
    • pp.177-185
    • /
    • 2017
  • In order to succeed in gif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teachers with professional skills and qualities that mee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satisfy their educational des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mathematics gifted students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rvice learning in the hothousing center annexed to the university,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Korean hothousing should proceed. For this, the service learning was conducted in the hothousing institution targeting three students attending A education college for 12 weeks. As a result of study, the gifted children showed the outstanding cognitive, affective, and creative natures which were expressed positiv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teachers had a duty to admit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individual gifted children and to provide the specially contrived education for them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Korean hothousing. Simultaneously they thought the gifted children should be regarded as ordinary children before the gifted persons and treated as the children. The necessity for preservice teachers to take the hothousing lectures requisitely and provide the learning chance focusing on the practical contents beyond the hothousing teacher training was brought forward in order to develop the systematic hothousing curriculum.

A Study o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Styles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s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 연구)

  • 김판수;강승희
    • School Mathematics
    • /
    • v.5 no.2
    • /
    • pp.191-2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differences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styles of general students(69) and the gifted in mathematics(66) and sciences(66). 132 subjects, whose academic achievements are in top 1 % level in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from the gifted center of the university in Busan. MMTIC(Murphy-Meisgei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was used to classify personal style inventory(E-I, S-N, T-F and J-P). Adapted form of Grasha & Reichmann's learning style was used to classify 3 pairs: dependent-independent, competitive-collaborative, avoidant-participant. In this paper, we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 differences of learning styles, and personal types of three groups according to as indices, functions and temperament. One of our results wa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personality types between general students and the gif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s according to as indices, functions and temperament. And there were differences of learning style between three groups according to as dependent-independent, and avoidant-participant.. The gif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s prefer to independent and participant learning style in comparison with general students. Finally, there were relation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functions and temperament of MMTIC, SF (sensation-feeling) and NF(intuition-feeling) type students prefer to collaborative and participant styles in comparison with ST (sensation-thought) and NT(intuition-thought) type students. And NT(intuition-thought) type students prefer to avoidant styles in comparison with SF(sensation-feeling) and NF(intuition-feeling) type students.

  • PDF

A natural aptitude and role of teacher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 Kim, Gwang-Ch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63-271
    • /
    • 2004
  • 교육은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질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내재된 능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함을 물론 나아가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발전에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며, 이러한 교육은 우수한 잠재적 능력을 가진 영재에게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미미한 실정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실제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재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 그 싹을 피워가기 시작한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정의과학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Education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 Bae, Gi-Taek;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1-16
    • /
    • 2009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재교육의 교육내용 역시 세분화되고 있다. 그러나 영재교육이 지나치게 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면서 영재 아동의 사회성과 인간관계가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영재교육의 인지적 영역만 아니라 사회 정의적 영역 모두 중요 시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내용 중 하나가 리더십 교육이다. 영재교육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를 길러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그 자료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을 위한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초등정보과학영재용 리더십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 PDF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학적 학습 태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기초과정을 중심으로 -

  • Kim, Hae-Gyu;Kim, Dae-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41-3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서 트레핑거의 자기 주도적 학습 모형과 렌줄리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이용하여, 제7차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기본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영재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제들을 중심으로 초등 수학 영재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여, 개발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전과 이수 후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전 ${\cdot}$ 사후 수학적 학습 태도를 분석하였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 방안

  • 오성훈;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7-197
    • /
    • 2003
  •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이 그 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영재를 조기에 육성하고 교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에 영재교육 중 정보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영재’라는 이유로 기초가 되는 부분을 소홀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 프로그래밍 같은 고급기술을 요하는 것만 중시하지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활용 같은 컴퓨터 사용에 기본이 되는 것들은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기초가 단단해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뿌리가 깊어야 바람에 안 흔들리듯이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강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등 정보과학영재로써의 많은 것을 갖추고 있지만 단지 기초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보과학영재가 아니라고 단정지어 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초기술소양교육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기술소양교육을 분석해 보고 단편적인 기능이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새로운 기초기술소양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oblem-Solving Oriented Education Method Of Application Software for the Elementary School's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문제해결 중심의 기초기술소양교육 방안)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287-295
    • /
    • 2004
  •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이 그 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영재를 조기에 육성하고 교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에 영재교육 중 정보과학영계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 '영재'라는 이유로 기초가 되는 부분을 소홀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 프로그래밍 같은 고급기술을 요하는 것만 중시하지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활용 같은 컴퓨터 사용에 기본이 되는 것들은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맡았다. 하지만 기초가 단단해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뿌리가 깊어야 바람에 안 흔들리듯이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강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 등 정보과학영재로써의 많은 것을 갖추고 있지만 단지 기초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보과학영재가 아니라고 단정지어 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초기술소양교육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기술소양교육을 분석해 보고 단편적인 기능이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새로운 기초기술소양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