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과학교육과정

검색결과 863건 처리시간 0.021초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for Shadow Phenomenon)

  • 윤혜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5-305
    • /
    • 2019
  •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효과적인 시각적 표상 활용과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 차원으로 구성된 시각적 표상 능력의 교육목표 분류체계(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VRC-T)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VRC-T에 기초하여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조사하고 그림자에 대한 과학 지식과 표상 능력 사이의 관계 및 VRC-T 인지 과정의 위계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해석하기', '통합하기', '구성하기'의 대범주로 나누어 보면 대체적으로 '해석하기'가 가장 점수가 높고, 다음이 '구성하기', '통합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그림자 관련 단원을 학습한 이후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표상 능력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텍스트 기반의 과학 지식은 시각적 표상 능력의 모든 범주와 상관이 높지 않았다. 이것은 텍스트 형식의 과학 지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시각적 표상 능력은 갖추어져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과 과학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좀 더 강조하여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서열화 이론에 따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시각적 표상 능력의 인지 과정 위계 관계를 탐색한 결과, 인정비율을 다소 느슨하게 하는 경우 6개 인지 과정 사이에 일직선의 위계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평가 도구나 과제, 시각적 표상 능력을 지도하는 수업 활동을 계획할 때 VRC-T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석틀임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the ICT Curriculum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이수정;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03-412
    • /
    • 2006
  • 7차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교육과 교과 교육상의 컴퓨터 관련 영역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2000. 8)을 기본으로 하여 개발된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교재-'즐거운 컴퓨터'-와 교과 교육의 컴퓨터 관련 영역의 교육과정 및 교재내용을 검토하고, 외국의 컴퓨터 교육 동향과 실태를 조사한다. 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설문조사한다.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2005년 12월 고시된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안을 검토하고, 현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교사, 학생의 요구와 비교 분석한다.

  • PDF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for Nuclear Power and Rad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이승구;최윤석;한은옥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187-198
    • /
    • 2014
  • 학교에서 표준화된 원자력 및 방사선 기초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학생, 과학교사, 전문가의 입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초(78.4%), 중(78.6%), 고등학교(93.1%) 모두 높은 빈도로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학교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냈다. 교과목 제목은 초등학교의 경우 "방사선과 생활", 중, 고등학교의 경우 "원자력과 방사선"이다. 학급별로 한 학기, 주당 1시간(초등학교 40분, 중학교 45분, 고등학교 50분 기준) 교육을 요구하였다. 교재는 얇고, 만화와 사진이 많이 포함된 것을 요구하였다. 교육 시작시기로는 초등학생은 6학년, 중학생은 2학년, 고등학생은 1년 때 배우는 것을 요구하였다. 교육형태는 정규교과가 아니라 창의적 체험학습으로 학교와 과학교사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학급별로 교육시간, 교재형식, 교육형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모두 같은 요구 경향을 나타냈다. 고안된 교육과정을 모의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적합도는 5점 만점에서 초등학생 $3.88{\pm}0.60$점, 중학생 $3.89{\pm}0.60$점, 고등학생 $3.66{\pm}0.63$점으로 모두 70점(100점 만점 기준)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원자력 및 방사선이해를 바탕으로 가치판단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을 최초로 고안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둔다. 그러나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학교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후속조치로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개발, 관련 법령 개정, 교안제공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ogramming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Sociality)

  • 강오한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85-18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심화 수학 정보 과정의 3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학습을 수행한 후 사회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업에서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의 리믹스 기능을 활용하였으며, 협동학습이 가능하도록 동료 학습자의 프로젝트를 수정 보완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팀 단위의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크래치의 리믹스 기능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사회성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사회성 구성 요소인 사교성, 자주성, 협동심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부장 업무 1년 돌아보기 - 계획·실행과 관리·보충의 관점을 중심으로 - (Looking One Year Back at the Work of the Science Chie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Planning, Implementation,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 김형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402-414
    • /
    • 2024
  • 본 연구는 학교 과학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과학부장들의 업무에 초점을 두고 1년 동안 구체적으로 어떠한 일을 하는지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과학부장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연구자와 면담을 통해 과학부장의 업무와 역할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과 관리하고 보충하는 것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에게 자신이 기안한 문서, 과학대회 관련 성과물, 과학실 기자재 목록 등을 가져오게 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부장들이 계획하고 실행하는 부분에서는 '학년 초 과학의 달 교내 행사 운영', '교내 행사 결과에 따른 교육청 대회 출전', '교내 과학동아리 운영', '연말 과학교육 실적 심사 준비'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관리하고 보충하는 부분에서는 '수시로 이루어지는 과학실 관리 및 개선', '과학실 상주 교육공무직과의 관계 유지', '과학교육과 관련 있는 기타 사항 관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과학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학부장의 업무를 살펴볼 수 있었고 추후 업무의 효율성과 어려움 개선을 위하여 여러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4-183
    • /
    • 2019
  •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B초등학교 5학년 5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5학년 한 개 반 25명을 연구집단으로, 또 다른 한 개반 25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집단에게는 8차시의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게는 교육과정에 의한 일반 과학수업 10차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통한 상황중심수업이 학생들의 일상적 경험을 통해서 과학 원리를 탐구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서 초등학생들의 과학수업동기 및 과학적 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활용하는 암석 표본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Rock Specimens used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권윤경;김정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2-93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활용하는 암석 표본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경북 K시 소재 5개 초등학교에서 활용하고 있는 암석 표본 세트 중 대표성을 띠는 암석 표본 세트 20종을 임의로 선정하여 현장 조사와 사진 촬영을 실시하고, 과학 업무를 5년 이상 담당한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 3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반영된 암석 표본 세트는 10%에 불과하였다. 유효 기간이 약 30년 지나 교육적 가치가 떨어지고 명패와 설명서에 제시된 정보들에서 많은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암석 표본의 크기가 너무 작고 특징이 나타나지 않아서 학습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암석 표본의 구입과 검증 절차를 소홀히 하거나 교사의 관심과 관련 지식 부족, 암석 표본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교육을 위한 좋은 암석 표본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암석 표본에 대한 전문가의 검증이 필요하며, 암석 표본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되어야 한다.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서 초등학교 과학 교육용 암석 표본 설명서를 제안하였다.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Alignment betwee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 - Examining Learning Objectives in 2009 Grade 3~4 Science Curriculum -)

  • 나지연;윤혜경;김미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183-193
    • /
    • 2015
  • Teacher guidebooks are practical and commonly used resources for teachers to deliver the goals an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in classroom teaching. Thus, the alignment of teacher guidebooks and science curriculum could be critical to undertake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mplication in science classroom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ing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um are implicated in teacher guidebooks by analyz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in learning objectives in both documents. Grade 3~4 learning objectives (82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459 in the teacher guidebook, 541 in total) i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s were cod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focused on how the knowledge dimensions and cognitive processes of the curriculum were emphasized and restructured in the teacher guidebooks to examine the coalition between the two important documents. The study found: 1) the learning objectives in Grade 3~4 in both documents were skewed to certain knowledge dimension (conceptual)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2) there was a high coali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however, relatively low coali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acher guidebooks; and 3)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were delivered in teacher guidebooks in various patterns (similar, detailed, additional, in portion, and the same), and 'detailed' and 'additional' were frequently shown. There also appeared new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which were not present in the curriculum.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current project of developing 2015 Science Curriculum in regard to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ir alignments with textbooks and teacher guidebooks.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ective Test Item for the Gifted of Elementary Information Science)

  • 이재호;이재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81-1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개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다양한 측면에서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후 정보과학영재를 정의하였다. 둘째, 제7차 초등수학교육과정 속의 이산수학적 요소를 분석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평가문항을 학교현장에 투입하여 다양한 관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과 초등학교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과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Competency and Elementary School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369-385
    • /
    • 2023
  • 역량 함양을 강조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이 구현된 양상을 역량,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연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연구 보고서의 역량과 그 하위요소,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 성취기준 동사 간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의 다섯 가지 교과 역량(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연결, 정보처리)은 대부분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으로 구현되고, 이는 성취기준 동사로 더욱 구체화되어 제시되었다. 둘째, 다섯 가지 역량은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구현된 것은 아니며, 영역별/학년군별로 다루는 지식·이해의 내용에 따라 적합한 과정·기능이 차별화되어 제시되었다. 셋째, 2022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에 비해 성취기준에서 동사를 더욱 풍부하게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전체 영역을 통하여 '이해하기'는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문제해결 역량의 의미와 타 역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명확히 정립하고 '이해하기'를 보다 구체적인 과정이나 기능으로 개발하여 제시할 것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