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Rock Specimens used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활용하는 암석 표본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권윤경 (서울돈암초등학교) ;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2.01.19
  • Accepted : 2012.02.22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rock specimens used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vide improvements of them. For the study, 20 sets of rock specimen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five elementary schools in K city of Gyeongbuk Province and they were photographed and investigated. Also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scientific career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the sets of rock specimens that reflected the elementary curriculum were only 10%. The sets of rock specimens had many problems as follows: they were purchased a long time ago (up to 30 years),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nameplate and documentation was errorneous, some of rock specimens were too small and they did not show typical characteristics for education. In addition, the purchase and verification procedures of rock specimens were often neglected. With lack of interest and knowledge of teachers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rock specimens, it was difficult to purchase good rock specimens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situation, a set of rock specimens should be verified by experts and should reflect the content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thoroughly. A manual of rock specimens is provided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활용하는 암석 표본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경북 K시 소재 5개 초등학교에서 활용하고 있는 암석 표본 세트 중 대표성을 띠는 암석 표본 세트 20종을 임의로 선정하여 현장 조사와 사진 촬영을 실시하고, 과학 업무를 5년 이상 담당한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 3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반영된 암석 표본 세트는 10%에 불과하였다. 유효 기간이 약 30년 지나 교육적 가치가 떨어지고 명패와 설명서에 제시된 정보들에서 많은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암석 표본의 크기가 너무 작고 특징이 나타나지 않아서 학습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암석 표본의 구입과 검증 절차를 소홀히 하거나 교사의 관심과 관련 지식 부족, 암석 표본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교육을 위한 좋은 암석 표본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암석 표본에 대한 전문가의 검증이 필요하며, 암석 표본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되어야 한다.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서 초등학교 과학 교육용 암석 표본 설명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 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431-439.
  2. 권홍진, 김찬종, 2007,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등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14-23.
  3. 김해경, 김정길, 장병주, 1994, 초등학교의 야외 현장 학습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 195-205.
  4.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 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 241-252.
  5. 송판섭, 김정길, 김석중, 한광래, 최도성, 전경문, 김해경, 박준, 류재인, 2005, 광주.전남 지역 야외 현장학습지 활용 실태 조사. 초등과학교육, 24, 242-248.
  6. 위수민, 곽정실, 조현준, 김현정, 2008,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 교수-학습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 420-436.
  7. 전영호, 권홍진, 최변각, 박정웅, 김찬종, 2007,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84-696. https://doi.org/10.5467/JKESS.2007.28.6.686
  8. 정진규, 박종호, 2009, 초등학생들의 지층학습을 위한 실험 장치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3, 585-609.
  9. 조규성, 2011, 전주시 학교 암석원에 전시된 표품에 대한암석학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32, 113-123. https://doi.org/10.5467/JKESS.2011.32.1.113
  10. 한영욱, 심재윤, 2005, 초등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석 및 암석단원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모색. 부산교육대학교 논문집, 7(1), 59-78.
  11. Akerson, V. L., Flick, L. B. and Lederman, N. G., 2000, The influence of young children's ideas in science on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363-38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200004)37:4<363::AID-TEA5>3.0.CO;2-#
  12. Akerson, V. L., 2005, How do elementary teachers compensate for incomplete science contents knowledg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 245-268. https://doi.org/10.1007/s11165-005-3176-8

Cited by

  1.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Regarding Sedimentary Rock vol.33, pp.2,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2.258